$\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비만도에 따른 칫솔질 실천과 손씻기의 연관성 분석
Correlation of toothbrushing and washing hands according to obesity i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9 no.2, 2018년, pp.65 - 76  

김선일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남궁은정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및 구강과학연구소) ,  김혜진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giene behaviors according to obesity in adolesc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chool health project. Methods: The data from the 1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KYRBWS) were analyzed by STATA 13.0 statistical packag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비만도에 따른 학교에서의 개인과 구강위생 실천 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기의 올바른 건강증진행위를 위해 손 씻기와 점심식사 후 칫솔실 실천율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학교구강보건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가 정의한 '비만'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는 비만을 ‘건강에 해를 끼치는 비정상적 또는 과도한 지방의 축적’이라 정의하며, 국제적으로 중요한 건강문제로 분류하였다(WHO, 2016).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0년간 성인의 비만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보건복지부, 2014), 아동과 청소년의 비만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학교건강검사통계보고, 2006- 2016).
구강건강 측면에서 비만은 정상체중에 비해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결과는 높은 비만도가 치주조직에 염증을 촉진시키는 인자라고 보고한 구강건강과의 연관성 분석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Yoshii 등, 2011; 진혜정 등, 2010). 또한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사람에 비해 과체중자에게서 치주질환유병위 험이 1.65배 높게 나타났으며(Khader YS등, 2009), 신체의 지방지수가 5% 증가 할 때마다 치주질환은 1.30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elum W등, 1997). 그러나 비만이 치주질환의 필수적인 요인으로서의 매커니즘으로는 제한점을 두고 설명되어지기도 한다(Seda와 Ehizele, 2014).
비만은 인체에 어떤 악영향을 주는가? 이러한 비만은 고혈압과 고지혈증, 심혈관질환과 같은 다양한 만성질환 뿐 아니라, 수면 무호흡과 암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여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HO, 2016). 또한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정상인에 비해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치아상실, 치아마모와 같은 구강질환에 이환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박정건, 2001; 양귀혜,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선일, 이혜린, 마득상, 박덕영, 정세환. 강릉시 고등학생의 계열에 따른 구강건강행태의차이.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2;36(4):309-314. 

  2. 김현화. 광주와 진도지역 중학생의 BMI에 따른 식생활 양상과 체중조절 관심도 및 식품섭취 실태에 대한 비교 연구. 동신대학교, 2009. 

  3. 문경래. 소아비만의 진단과 치료.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1999;2(1):8-20. 

  4. 박정건.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5. 박희정, 이문재, 김석환, 정미애. 일부 대학생의 건강 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11(9):395-46. 

  6.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 제6기 2차년도, 2014 

  7. 아동 청소년 비만율. 교육부(학교건강검사통계 보고)자료:교육부,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Search.do?idx_cd2932&stts_cd293203&clas_div&idx_sys_cd556&idx_clas_cd1 

  8. 양귀혜. 서울일부지역 성인들의 구강건강과 그 영향 요인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2. 

  9. 우민지, 이정윤. 아동, 청소년 상담:비만아동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신체상의 매개효과 및 인구학적 변인의 중재효과. 상담학연구학회지 2007;8(2):675-690. 

  10. 유승현, 윤난희, 하은지. 비만 예방 관리 전략에 대한사회생태학적 다차원 인식과 경험 탐색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2016;3:1-113. 

  11. 유자혜, 남용옥. 일부 중학생의 보건교육경험에 따른 칫솔질과 손 씻기 실천의 연관성. 한국치위생학회지 2015;15(1):171-177. 

  12. 이연경, 박정란. 연령에 따른 비만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지 2013;13(6): 1015-1021. 

  13. 진혜정 외. 소아, 청소년의 대사증후군과 치은 건강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0;34(4):628-635. 

  14. 진혜정 외. 한국 청소년의 위생습관 중 잇솔질과 손 씻기의 연관성. 한국치위생학회지 2013;13(1): 82-88. 

  15. 한지형, 황지민. 청소년의 BMI와 건강 및 구강 건강증진행위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지2010;10(1):141-156. 

  16.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6년 건강증진연구사업 건강증진연구보고서. 정책기획 2016;1:1-86 

  17. Baelum, W. Luan, X. Chen, O. Fejerskov, A. 10-year study of the progression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in adult and elderly Chinese. J Periodontology, 1997; 68(11):1033-1042. 

  18. Jarvis WR. Handwashing the Semmelweis lesson forgotten. The Lancet 1994:344:1311-1312. 

  19. Khader YS, Bawadi HA, Haroun TF, Alomari M, Tayyem RF.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obesity among adults in Jordan. J Clin Periodontology 2009;36(1):18-24. 

  20. McGue M, Lacono W, Krueger R. The association of early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adult psychopathology: A multivariate behavioral genetic perspectives. Behavior Genetics 2006;36(4):591-602. 

  21. Morris S. The impact of obesity on employment. Labour Econ 2007;14:413-433. 

  22. Pischon N, et al. Obesity, inflammation, and periodontal disease. J Dent Res 2007;86:400-409. 

  23. Rexrode KM,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and risk of stroke in women. JAMA 1997;277:1539-1545. 

  24. Suvan J, D'Aiuto F, Moles DR, Petrie A, Donos N. Association between overweight/ obesity and periodontitis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Obes Rev 2011;12: 381-404. 

  25. Suvan J, et al. Body mass index as a predictive factor of periodontal therapy outcomes. J Dent Res 2014;93:49-54. 

  26. Sede MA, Ehizele AO.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oral diseases. Niger J Clin Pract 2014;17:683-690.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Report 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http://www.wpro.who.int/nutrition/documents/Redefining_obesity/en/ (Nov.24, 2016)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and overweight: Fact sheet No. 311.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 (Nov.24, 2016) 

  29. Yoshii S, Nakagaki H, Mizuno K, Sheiham A, Sabbah W. Five-year incidence of periodontal disease is related to body mass index. Morita I, Okamoto. J Dent Res 2011; 90(2):199-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