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1인가구 성인여성의 음주행위
Alcohol Drinking Behaviors of Living Alone Wome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9 no.2, 2018년, pp.87 - 98  

권미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lcohol drinking behaviors between living alone and living together women in Korea. Methods: 6~7th National Hea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3~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complex samples. 9,373 Korean Women, aged 19-65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인가구 여부에 따른 국내 성인여성의 음주행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6∼7기(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분석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1인가구 여부와 음주행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음주행위는 연령, 거주지역, 학력, 결혼 여부, 경제활동 여부, 가구의경제적 수준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음이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 있으나, 1인가구와 음주행위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성별을 분리하지 않거나, 음주여부만을 제시하고 있어 성인여성만을 대상으로 이들의 음주행위 정도에 1인가구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성인여성의 음주행위에는 도시 거주, 높은 학력, 미혼, 높은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전경숙과 이효영, 2010; 류현숙과 백민자, 2012; 임정재와 이민아, 2013; 김효정과 정재원, 2016; 신원우, 2017; 박숙경과 김은경,201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통제한 후 1인가구 여부가 성인여성의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성인여성의 적절한 음주를 위한 절주교육과 건강증진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65세 성인여성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1인가구와 다인가구로 분류하고 1인가구 여부가 비음주, 음주 및 폭음으로 분류한 음주행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 지 확인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적합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여성의 음주경험과 음주량에 따라 음주행위를 범주화하고, 성인여성의 음주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통제한 후 1인가구 여부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가구란 무엇인가? 통계청에서는 1인가구를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를 말한다(통계청, 2018). 국내 전체 가구 중 1인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 지난 25년간 1인가구의 비중은 9.
혼술의 비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국내 17개 시 도에 거주하는 20∼40대를 대상으로 주류 소비 섭취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며 음주자 중 ‘혼술’을 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1인가구 비율의 증가로 의 식 주를 혼자서해결해야 하는 생활상이 음주문화에도 반영되어 발생된 것으로 보고 있다(식품의약안전처, 2016).또한 혼자서 술을 마시는 경우 고위험 음주의 위험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식품의약안전처, 2016).
성인여성의 1인가구 여부와 음주행위의 관련성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65세 성인여성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1인가구와 다인가구로 분류하고 1인가구 여부가 비음주, 음주 및 폭음으로 분류한 음주행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 지 확인 하였다. 그 결과 성인여성의 음주와 관련된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다인가구 대비 1인가구 성인여성에서 폭음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차자료의 특성 상 성인여성의 음주행위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지 못하였기에 추후 이를 반영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영미, 이원재. 여성 독거노인의 음주 영향요인.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2013;14(1):17-32. 

  2. 김영주. 성별에 따른 성인 독신가구와 다가구간의 건강행위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9;23(2):219-231. 

  3. 김은숙, 정혜선. 한국 고위험 음주 성인여성의 특성과 영향요인.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2010;11(1):45-56. 

  4. 김진영. 가족 요인에 따른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13;30(1):13-25. 

  5. 김효정, 정재원. 미혼여성의 스트레스, 우울에 따른 음주 정도의 차이.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6;13(1):10-16. 

  6. 류현숙, 백민자. 여대생의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2;23(3):307-315. 

  7. 박숙경, 김은경. 고위험 음주여성의 건강행태, 질병이환 및 고위험 음주 위험요인 분석.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17;21(1):35-45. 

  8. 변미리. 도시에서 혼자 사는 것의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15;21(3):551-573. 

  9. 식품의약안전처. 혼자서 술 마시는 '혼술' 늘어나 http://www.mfds.go.kr/brd/m_99/view.do?seq34926. 2016. 

  10. 신원우. 성인 여성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7:923-932. 

  11. 오수연. 나 혼자 산다!. 마케팅 2017;51(1):56-61. 

  12. 이명선, 송현종, 김보영. 1 인 가구의 신체적 건강 수준, 건강행태와 주관적 우울감의 관련성.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18;35(2):61-71. 

  13. 이영성, 유현지. 1인가구의 증가와 주택시장 및 주거형태의 변화. 통계청:한국의 사회동향 2016;1:225-230. 

  14. 이혜규. 음주자 유형별 정신건강 분석: 혼술 대 집단음주의 비교연구.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2017;18(2):1-14. 

  15. 임정재, 이민아. 동거형태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2013;33:189-220. 

  16. 장승옥. 성별과 직장 규모, 직위에 따른 근로자 음주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2008;27(1):123-138. 

  17. 전경숙, 이효영. 우리나라 남녀 성인의 폭음 및 문제음주 영향 요인.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10;27(1):91-103. 

  18. 정성식, 정경화. 한국 성인의 음주 유형에 대한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12;24(5): 441-453. 

  19. 정순희, 임은정. 청년 1 인 가구의 삶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2014;7(4):1-19. 

  20. 질병관리본부. 2016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오송:질병관리본부. 2017. 

  21.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0-2035.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6/index.board?bmoderead&aSeq255176. 2012. 

  22. 통계청. 통계표준용어 및 지표. http://kostat.go.kr/understand/info/info_lge/1/detail_lang.action?bmodedetail_lang&pageNo1&keyWord0&cdSL3930&sTt. 2018. 

  23. 하지경, 이성림. 1 인가구의 건강관련 습관적 소비, 생활시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비 1 인가구와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7;55(2):141-152. 

  24. 한금선, 양승희, 전겸구.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가 여대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음주관련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03;8(3):565-579. 

  25. Courtney KE, Polich J. Binge drinking in young adults: Data, definitions, and determinants. Psychological Bulletin 2009;135(1):142-156. 

  26. Fitzgerald N, Angus K, Emslie C, Shipton D, & Bauld L.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population level alcohol policy interventions: evidence synthesis of systematic reviews. Addiction 2016;111(10):1735-1747. 

  27. Harrison EL, & McKee SA. Young adult non-daily smokers: patterns of alcohol and cigarette use. Addictive Behaviors 2008;33(5):668-674. 

  28. Joutsenniemi K et al. Living arrangements, heavy drinking and alcohol dependence. Alcohol & Alcoholism 2007;42(5):480-491. 

  29. Rehm J, et al. The relationship of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and patterns of drinking to burden of disease: an overview. Addiction 2003;98(9):1209-1228. 

  30. Rico-Uribe LA, et al. Loneliness, social networks, and health: a cross-sectional study in three countries. PloS one 2016;11(1):e0145264. 

  31. Robin RW, Long JC, Rasmussen JK, Albaugh B, & Goldman D. Relationship of binge drinking to alcohol dependence,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nd behavioral problems in an American Indian tribe.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998;22(2):518-523. 

  32. Umberson D, & Karas Montez J.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 flashpoint for health polic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10;51(1_suppl): S54-S66. 

  33. Yang S, Lynch JW, Raghunathan TE, Kauhanen J, Salonen JT, & Kaplan GA. Socioeconomic and psychosocial exposures across the life course and binge drinking in adulthood: population-based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6;165(2): 184-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