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 성인 여성과 다인 가구 성인 여성의 건강행태, 의료서비스이용과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 Behavior, Health Service Us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 Women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3, 2019년, pp.299 - 314  

채현주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종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behavior, health service us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 women i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Methods: It was used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017). Subjects were 2,52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인 가구 성인 여성과 다인 가구 성인 여성의 건강행태, 의료서비스 이용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1인 가구 여성과 다인 가구 여성의 건강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년도인 2017년도 조사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1인 가구 여성은 다인 가구 여성에 비해 건강행태에 있어 음주와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서비스 이용에 있어 미충족 의료와 암검진 미실시율이 높게 나타났다.
  • 연구는 1인 가구 성인 여성과 다인 가구 성인 여성의 건강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년인2017년도 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 따라서 1인 가구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제공 및 정책적 지원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 인 1인 가구원에 대한 기초자료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간호의 새로운 대상자로 부상하는 1인 가구 성인 여성의 건강을 개선하고 증진할 간호 전략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충족 의료(unmet medical needs)란? 의료서비스 이용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설문조사 중 필요한 의료서비스의 미충족 여부, 독감예방접종여부, 건강검진 수진 여부, 치과진료 수진 여부, 최근 1년간 구강검진 여부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미충족 의료(unmet medical needs)란 최근 1년간 병의원 및 치과의 진료(검사 또는 치료)가 필요하였으나 받지 못한 경우를 의미하는데, 필요 의료서비스 미충족 여부에서 예는 ‘미충족 의료 있음’, 아니오와 병의원 진료(검사 또는 치료)가 필요한 적 없었다는 ‘미충족 의료 없음’으로 분류하였다. 치과진료 미치료 여부에서 예는 ‘미충족 치과치료 있음’, 아니오와 진료(검사 또는 치료) 미필요는 ‘미충족 치과치료 없음’으로 분류하였다.
건강행태에서 음주, 흡연, 건강에 대한 구분? 건강행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설문조사 중 월간음주, 현재흡연,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월간음주에서 평생 비음주와 최근 1년간 월 1잔 미만의 음주는‘비음주’, 최근 1년간 월 1잔 이상의 음주는 ‘음주’로 분류하였다. 현재 흡연에서 비흡연과 과거흡연은 ‘비흡연’, 현재 흡연은 ‘흡연’으로 분류하였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에서 실천하지 않음은 ‘운동하지 않음’, 실천은 ‘운동함’으로 분류하였다.
1인 가구를 이루는 성인 구성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는 이유? 또한 그 동안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주로 노인계층에 집중되어 주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17-19]. 최근 1인 가구 노인뿐만 아니라 성인의 비율도 급증하고 있으며, 혼자 사는 중년 성인의 외로움 또는 우울 경향이나 고독사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20-23], 1인 가구를 이루는 성인 구성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독거 성인들의 건강은 독거노인의 비해 비가역적인 건강상태로 건강 기능회복 가능성이 부족한 건강행태의 개선으로 예방가능성이 높아 비용 효과적(cost-effective)이므로 이들의 식이, 금연, 금주, 운동 등의 건강형태 또는 의료서비스 이용 그리고 궁극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Statistical indicator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Jul 26.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2.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Byun 21 3 551 2015 10.20406/kjcs.2015.08.21.3.551 

  3. Journal of Leisure Studies Kim 17 1 73 2019 

  4.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social policy: looking forwards Bennett 2006 

  5.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Choi 19 3 362 2012 10.5953/JMJH.2012.19.3.362 

  6. Study on employment and poverty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an 55 2012 

  7. Lifestyle survey of single-woman households in Seou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support policy plans for individuals in their 40s and 50s with a focus on preparations for old age and social relationships Park 1 2016 

  8. Demographic Research Yeung 32 40 1099 2015 10.4054/DemRes.2015.32.40 

  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Park 28 2 118 2017 10.12799/jkachn.2017.28.2.118 

  10. Lim G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1. 

  1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Kim 23 2 219 2009 

  12.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Park 30 1 142 2010 10.15709/hswr.2010.30.1.142 

  13.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Yoo 25 4 269 2016 

  14.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Kim 26 1 72 2019 

  15.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Kim 30 3 483 2016 10.5932/JKPHN.2016.30.3.483 

  16.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Jeong 28 1 117 2018 

  17. Journal of Asian Women Lee 50 1 169 2011 10.14431/jaw.2023.4.62.1.169 

  18.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Won 2013 972194 2013 10.1155/2013/972194 

  19.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Statistics in Society) Alho 173 1 117 2010 10.1111/j.1467-985X.2009.00605.x 

  20. The Journal of psychology Victor 146 1-2 85 2012 10.1080/00223980.2011.613875 

  21.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Seok 71 2 321 2016 10.21194/kjgsw.71.2.201606.321 

  22.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the number of the die alone. Medical Today [Internet]. 2019. cited 2019 Jul 26. Available from: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60097 

  2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Directly listens to the difficulti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30s and 40s [Internet]. Sejong. Policy Briefing. 2019. cited 2019 Jul 18. Available from: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17172 

  24.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Kim 23 3 463 2018 10.13049/kfwa.2018.23.3.4 

  2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Lee 48 3 269 2015 10.4163/jnh.2015.48.3.269 

  26.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Hur 22 1 59 2016 

  27.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Kim 29 1 82 2019 

  2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Yim 21 4 502 2010 10.12799/jkachn.2010.21.4.502 

  29. 10.4082/kjfm.2018.39.2.90 Park JT.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status and infleunza vaccination coverage rate in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ster's thesis]. Seoul:Korea University;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