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성의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복합적 함의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isky drinking of adult women: Focused on convergent implication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469 - 478  

박소연 (경기대학교 지식정보서비스 대학 휴먼서비스학부) ,  양소남 (경기대학교 지식정보서비스 대학 휴먼서비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성년기, 중년기,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적 관계 요인, 건강관련 요인이 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년기 여성 1,143명, 중년기 여성 1,306명, 노년기 여성 875명을 대상으로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각 연령집단별로 각각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년기 여성의 경우,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상태, 우울감, 흡연이 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여성의 경우,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과 흡연만이 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여성의 경우, 교육수준, 자살생각, 주관적 건강상태가 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애주기에 따라 여성의 위험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생애주기별 여성의 위험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한 융복합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social relation, and health related factors on risky drinking among early, middle, and older adulthoods. Using the sixth(2013-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par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여성의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관계 요인, 그리고 건강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특히 성년기, 중년기, 노년기의 연령별 특성에 따라여성의 위험음주에 어떠한 상이한 모습을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고위험 음주 여성 비율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여성의 연령을 고려한 음주 관리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음주 관리 시, 우울과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고위험 음주여성을 대상으로 위험요인을 분석한 연구에서는[4,5], 미혼이고, 학력이 낮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우울한 경우에 고위험 음주율이 높다고 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여성의 음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스트레스를 들고 있고[6-8], 우울증 같은 경우는 여성의 나이와 관계없이 문제음주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다[9,10].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여성의 음주 관리 시 우울과 스트레스 관리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연령별 위험음주자 비율에서 위험음주문제가 가장 심각한 연령은? 1%, 중년기 여성은 33.45%의 순으로 나타나 세 집단 중 노년기 여성의 위험음주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대별로 위험음주를 비교한 관련 선행연구가 없어 본 연구결과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여대생과 20대 여성의 위험음주자 비율이 높게 나타난선행연구[4,13]결과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여성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따라서 음주로 인한 병리적 질환이 발생하기 전에 위험음주군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여성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되고 있다.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교육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우울감, 자살생각,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스트레스, 흡연여부 등의 건강관련 요인이 있다.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결혼상태, 경제활동상태 등의 사회적 관계 요인이 언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Chung. (2007).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7, 176-19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3. G. Jeon & H. Lee. (2010). Associated factors of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1), 91-103. 

  4. E. Kim & H. Jung. (2010).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high risk drinking of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1(1), 45-56. 

  5. S. Park & E. Kim. (2017). The health behavior, disease prevalence and risk factor analysis of high-risk drinking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1(1), 35-45. 

  6. S. Yang & G. Han. (2003). Drinking pattern, problem related drinking, perceived stress, ways of coping, and symptoms of stres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1057-1064. 

  7. H. Kim & C. Chung. (2016). Differences in drinking scores according to stress and depression in unmarried women. Perspective in Nursing Science, 13(1), 10-16. 

  8. G. W. Redgrave, K. L. Swartz A. Romanoski. (2003). Alcohol misuse by women.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15, 256-268. 

  9. Y. Park & K. Park. (2015). The socio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statu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6(2), 31-43. 

  10. J. E. Helzer & T. R. Pryzbeck. (1988). The co-occurence of alcoholism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ts impact on treatment.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9, 219-224. 

  11. O. Kim & G. Kim. (2001). Social support,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in college and working femal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3(3), 363-372. 

  12. S. Lee. (2006). Study on factors having effect on drinking behavior of office worker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7(2), 113-136. 

  13. E. Do, Y. Kim & J. Kim. (2009). Comparison of problem drinking and alcohol expectanc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workers and housewive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0(1), 93-106. 

  14. M. D. Dixon & K. G. Chartier. (2016). Alcohol use patterns among urban and rural residents. Alcohol Research: Current Reviews, 38(1), 69-77. 

  15. W. Sin. (2017).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of adult women.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8), 923-932. 

  16. M. Sim. (2006). Drinking problems for women living alone. Korean Health Association, 59, 12-14. 

  17. E. Ko & W. Lee. (2013). Factors leading to drinking among female elderly living along.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4(1), 17-32.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orl and Prevention(2016).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19. B. Carter & M. McGildrick. (2000).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Chung Moon Ja(translator). Seoul: Jungangjeoksung Publication. 

  20. K. Joe, S Chai, A. Park, H. Lee, I. Shin, & S. Min. (2009). Optimum cut-off score for screening hazardous drinking using 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AUDIT-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13(1), 34-40. 

  21. A. R. Muschquash, S. H. Stewart, S. B. Sherry, D. L. Sherry, C. J. Mushquash &A. L. McKinnon. (2013). Depressive symptoms are a vulnerability factor for heavy episodic drinking: a short-term, four-wave longitudinal study of undergraduate women. Addictive Behaviors, 38, 2180-2186. 

  22. J. Kwon, Y. Kim & T. Um. (2011).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who live along with care services: a moderating effect of alcohol dr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vious suicidal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 297-320. 

  23. O. Kim. (2004). Drinking, smoking, self-rated health, and health supplement foods use in adult men. Health & Nursing, 16(1), 1-8. 

  24. J. Lee, J. Park & G. Kim. (2011). The effects of stress,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of smokers and drinkers on tobacco and alcohol us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7(1), 29-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