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장애유형별 이용자 핵심요구 연구
A Study on Disabled Users' Core Need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orders for Library Servic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1, 2018년, pp.173 - 191  

강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10년간 국내 도서관계에서는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관련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관련 법안이 마련되고, 시설과 설비가 확대되고, 관련 장서와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비율이 증가추세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장애유형별 이용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이용자 면담과 전문가 델파이 연구를 통해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핵심요구를 파악하였다. 이용자들은 자원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확대, 개별화된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시설 편의성 증대, 웹과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향상, 전문적인 인력 배치 등을 요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decade, the environment around libraries for the disabled has been greatly improved. Related legislation was established, facilities and facilities expanded, and the number of related collections and programs increa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urvey of users' needs in accor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청각 장애인들이 도서관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이런 양적인 기반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의 도서관 활용빈도는 낮은 편이다. 국립중앙도서관(2016)의 연구에 의하면, 최근 1년 이내 독서경험이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도서를 구하는 경로를 질문했을 때, 시각/청각 장애인 모두 ‘도서관을 찾아가기 힘들다’(시각 53.3%, 청각 48.6%)는 접근성의 이유와 ‘도서관의 장애인 편의시설이 부족하다’(시각 15.0%, 청각 11.0%)는 시설의 이유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같은 조사에서는 청각장애인이 시각장애인보다 더 독서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하였는데, 청각장애인의 경우 도서관 이용의 장애요인으로 ‘도서관 직원의 장애인에 대한 낮은 전문성’(34.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은? 2012년 국립장애인도서관 설립 이후 공공 도서관 내의 장애인서비스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2015년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국립중앙도서관 2016)에서 장애인자료실을 설치한 공공도서관(99개관, 10.9%)과 장애인코너를 설치한 공공도서관(218개관, 24.0%)의 수는 2013년(240개관) 대비 32% 증가하였다. 시각, 청각, 발달장애인을 위한 자료의 종류와 권(점)수 역시 증가추세이다.
과거 장애인 이용자가 직접적인 도서관 서비스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가 시작되던 초창기에는, 장애인 이용자는 직접적인 도서관 서비스 대상에 포함되지 못하였다(배경재 2016, 272). 당시에는 복지관에 딸린 자료실이나 도서관, 또는 사립 점자도서관 등이 장애인들을 위한 도서관 역할을 수행한다는 인식이 보편적이었다. 공공도서관에서 장애인이 차별 없이 장서와 시설을 이용하고, 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된 시점은 2009년 도서관법이 개정되고, 2012년 일부 개정법률이 공포·시행된 이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6. National survey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oul. 

  2. Kim, J.-S., Nam, Y.-J., and Seo, M.-D. 2015. "A Study on the Needs of the Print-Disabled for Utilization of the Electronic Publication - Focused on the Visually Disabled and the Deaf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75-97. 

  3. Ministry of Culture.Sports and Tourism. 2016. Libraries Act. 

  4. Ministry of Culture.Sports and Tourism. 2017. Enforcement Decree for Libraries Act. 

  5. Bae, K.-J. 2015.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tandards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379-400. 

  6. Bae, K.-J. 2016. "A Study on the Empirical Evaluation of Quality Factor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2): 271-287.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Act on Guarantee of Promotion of Conven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Aged, Pregnant Women.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9. Oh, S.-K., & Lee, J.-Y. 2011. "A Study on the Non-use Factors of the Visually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141-162. 

  10. Jang, B.-S., Kim, E.-J., and Nam, Y.-J. 2010.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Anxiety among Library Handicapped Use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309-327. 

  11. Pyo, Y., et al. 2013. "A Qualitative Research on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1): 123-148. 

  12.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3. Korean Library Standards. Seoul: KL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