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 교과교육학 출제동향 및 개선방안 분석
Analysis of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1 no.2, 2018년, pp.78 - 89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개선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등교사자격증 표시과목 '지구과학'의 기본이수과목 중 '지구과학교육론'에 해당하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틀은 대영역, 평가영역, 평가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중등교사임용시험의 변천 과정을 시기별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체제가 현재와 같은 2단계 전형으로 바뀐 2014학년도 부터 2018학년도까지 출제된 1차 전공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전공 80점 중에서 지구과학교육학에는 22-24점이 배정되어 출제되어왔다. 평가영역별 출제 경향과 배점을 살펴보면, 지구과학 교수학습 영역의 출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지구과학 탐구, 과학사과학철학 등의 순으로 출제되었다. 각 평가영역별로 출제경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및 평가 개선방안과, 교사양성대학의 지구과학교육학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developing exam question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TET, hereaft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n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item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 교육학 과목의 출제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개선방안과, 지구과학 교사양성 과정의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 틀을 도출하고, 중등교사임용시험 체제가 현재와 같은 2단계 전형으로 바뀐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출제된 1차 전공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들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지구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출제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중등 지구과학 교사 전문성의 핵심영역 중 하나인 지구과학교육학 구성영역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중등 지구과학 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및 평가의 개선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교사양성대학의 지구과학교육학 관련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 중등교사임용시험의 경우 여러 차례 시험 양식의 변동을 거쳤으며 2014학년도(즉, 2013년도) 시험 이래로 선택형 시험에서 벗어나 1차 시험에서부터 서술(논술)형 시험을 정착시켰으며 앞으로도 교육학이나 전공 배경지식을 평가하는 1차 시험에서 선택형 문항 체제로 회귀할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KICE, 2017). 이러한 맥락에서 1차 교육학 및 전공 시험에서 서술(논술)형 시험으로 전환한 2014학년도부터 현재까지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 교사 선발시험을 중심으로 출제 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지식기반 중에서, 지구과학 교과교육학(이하 지구과학교육학) 구성영역을 규명하고자 한다. 지구과학 교사의 지구과학교육학 구성영역은 중등 지구과학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영역)이면서, 동시에 중등 지구과학 교사임용시험의 출제 영역이기도 하다.
  • 지구과학 교사의 지구과학교육학 구성영역은 중등 지구과학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영역)이면서, 동시에 중등 지구과학 교사임용시험의 출제 영역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 지구과학과 교사임용시험에 반영된 지구과학교육학 전문성의 출제영역과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지구과학교육학 시험의 출제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지구과학 교원양성대학에서 제공해야 할 교육과정 계획(backward design)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틀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틀은 3개 대영역과 10개의 평가영역 및 13개 평가요소로 구성된다. 10개 평가영역은 크게 지구과학의 본성, 지구과학의 철학 및 과학사, 지구과학 교육과정, 지구과학 교수학습, 지구과학 교육 평가, 지구과학교육 시설과 환경, 지구과학교육 연구, 지구과학 교사교육과 재교육 등으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 ‘과학교육의 환경과 지원 체제’를 구성하는 평가영역은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지필평가에서는 거의 출제되지 않는다.
중등교사임용시험의 내용 중복 문제는 어떤 것인가요? 또한, 중등교사임용시험의 1교시 교육학과 2,3교시 전공 분야의 교과교육학은 내용 중복 문제가 제기되었다. 예컨대 동일한 비고츠키의 학습이론을 1교시 교육학에서는 선택형으로 평가하고, 2,3교시 전공의 과학 교육학 시험에서는 과학내용과 수업의 맥락에서 다시 질문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과학내용과 수업의 맥락 속에서 학습이론이나 교육과정 이론 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전 서계적으로 교육의 질 향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강조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교육의 질 향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교사의 질(teacher quality)이 강조된다. 이에 따라 모든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지역과 모든 학년에 걸쳐서 능력을 갖춘 교사를 발굴하고 교직에 머물게 하는 것이 최대의 관심사로 떠올랐다(Allen, 2003; KIC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AAS (1994).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Project 2061. 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2. AKESE (2009). Earth science teaching-learning theories. Kyoyookgwahaksa. 

  3. Allen, M. (2003). Eight questions on teacher preparation. Denver, CO: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 (ECS). 

  4. Cho, H. H., Kim, H. K., Yoon, H. S. & Lee, K. Y. (2014). Science Education. Kyoyookgwahaksa. 

  5. Jang, M-D. (2018).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question 'why should students learn sci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1(1), 55-62. 

  6. Kang, K. (2018). Analysis of Physics Education Theory in the Questions on the Employ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Physics Teacher. New Physics: Sae Mulli, 68(1), 117-123. 

  7. KICE (2008). Assessment domains and components for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Seoul: KICE. 

  8. KICE (2017). A Study on Improving the Assessment System to Selec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II - Pilot-testing and Sophistication. Seoul: KICE. 

  9. Kim, E., Park, S. & Lee, T. (2005). The OECD Review on Korean teacher policy: A critical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2), 297-319. 

  10. Kim, I-W., Cha, J., Kim, C. & Kim, H. (2010).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tudying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 Selection Te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4), 429-436. 

  11. Kim, S., Lee, S., Shin, J., Kim, J., Yoo, J., Lee, K. etc. (2015). A Study on Site Suitability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Science and Math Subject.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4), 1-30. 

  12. Kwak (2009).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6), 611-625. 

  13. Kwon, J. S., Kim, B., Kang, N., Choi, B., Kim, H., etc. (2013).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Kyoyookgwahaksa. 

  14. Kwon, Y. J., Nam, J. H., Lee, K. Y., Lee, H. Y. & Choi, K. H. (2013). Science education: from thinking to learning. Bookshill. 

  15. Larsen M., Lock, C. & Lee, M. (2005). Professional Certification and Entry-to-Practice Assessments: A Report for the Teaching Policy and Standards Branch.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16. Lee, B. W., Shim, K. C., Shin, M. K., Kim, J. H., Choi, J. H., Park, E. M., Yoon, J. H., Kwon, Y. J. & Kim, Y. J. (2013). Analyse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in the Question Items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4), 794-806. 

  17. Lee, Y. & Kwak, Y. (2017).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employment test in Korea. Kyoyookgwahaksa, 

  18. Lim, S-M. (2017). What did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feel through teaching practic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0(1), 38-49. 

  19. MOE (2017). 2017 Manual for teacher certification. MOE. 

  20.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21. 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22.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