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발문유형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Type on the Grade 3 and 4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comparing questions presented in the 2009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 w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comparing questions presented in the 2009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at may help. Therefore, questioning type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2009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 in the present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applied question as it aims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econd,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open-ended questions that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think freely is a desirable change.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mportance of the question that can be applied to content learned and can be thought of as diffusive and evalu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comparing questions presented in the 2009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at may help. Therefore, questioning type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2009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 in the present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applied question as it aims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econd,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open-ended questions that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think freely is a desirable change.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mportance of the question that can be applied to content learned and can be thought of as diffusive and evaluativ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를 진행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는 2009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09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어떤 발문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학습자의 흥미 또는 성취도가 달라진다는 점은 여러 연구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박주현과 권혁순(2007)의 발문 분류 체계와 김민정 등(2014)의 발문 분류 체계를 참고하여 만들어진 최윤미와 이형철(2012)의 발문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발문을 분석하였다. 최윤미와 이형철(2012)의 발문 분류 체계의 경우 크게 폐쇄적 발문과 개방적 발문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초등 과학교과서의 목적에 부합하는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 기술 창조력을 갖추고 바른 인성을 겸비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발문의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아래 본 연구에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의 발문유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교과서는 2009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3~4학년 1·2학기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과 3~4학년 1학기 교과서와 2018년 9월 현장에서 사용될 2학기 교과서이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교과서는 2009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3~4학년 1·2학기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과 3~4학년 1학기 교과서와 2018년 9월 현장에서 사용될 2학기 교과서이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2009 교육과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1320개의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1391개의 발문을 대상으로 유형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able 4에 나와 있는 최윤미와 이형철(2012)의 발문 분류 체계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발문 유형의 분석에 있어서 모호한 것은 5인의 과학 교육 전문가들에게 문의하여 결정하였다.
성능/효과
Table 2에서 보면 전체 발문 중 재생적 발문은 7.5%, 제안적 발문은 54.2%, 예상적 발문은 22%, 적용적 발문은 2.9%, 확산적 발문은 8.5%, 평가적 발문은 4.9%로 조사되었다. 전체 발문 중 제안적 발문이 절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과학 교과 특성상 “돋보기로 알갱이를 관찰하여 봅시다.
Fig. 3에서 보면 전체 발문 중 재생적 발문은 6.3%, 제안적 발문은 44.8%, 예상적 발문은 28.8%, 적용적 발문은 2.9%, 확산적 발문은 9.7%, 평가적 발문은 7.5%로 조사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체 발문 중 제안적 발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예상적 발문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4에서 보면 가장 큰 특징은 제안적 발문의 감소와 예상적 발문의 증가이다. 제안적 발문의 경우 무려 10.9%가 감소하였는데, 조작 활동을 안내하는 발문이 줄어든 것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예상적 발문은 6.
9%가 감소하였는데, 조작 활동을 안내하는 발문이 줄어든 것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예상적 발문은 6.8%가 증가하였고, 개방적 발문에 해당하는 확산적 발문과 평가적 발문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폭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비전인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목적과도 부합한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3∼4학년 과학과 교과서의 발문은 제안적 발문이 44.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28.8%의 예상적 발문이었으며, 적용적 발문이 2.9%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3∼4학년 과학과 교과서의 발문은 2009 교육과정의 발문과 비교하였을 때 재생적 발문은 1.2%, 제안적 발문은 9.4% 감소하였고, 예상적 발문은 6.8%, 확산적 발문은 1.2%, 평가적 발문은 2.6%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은 인지 기억적 사고를 자극하는 폐쇄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개방적 발문이 증가하는 바람직한 변화를 보였다.
셋째, 학습자의 창의적인 사고를 자극하기 위하여 지시적 성격을 지닌 제안적 발문의 비율을 줄인 점은 바람직하나, 교과서에 과학과 생활 단계가 도입되며 적용적, 확산적 발문은 해당 차시에서만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모든 차시에서 “생각해 볼까요?”라는 발문을 던진 것처럼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
따라서 본 연구를 진행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는 2009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5개 정도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량을 적정화하면서 2009 교육과정 성취 기준 및 내용의 80% 선으로 내용을 적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문의 개수가 늘어난 점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향후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단순히 배우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습득한 지식을 실제로 다양하게 활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재생적 제안적 예상적 발문의 비율을 줄이고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변화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비전인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목적과도 부합한다. 재생적 발문과 적용적 발문은 두 교육과정 모두 크게 차이가 없었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을 강조하는 만큼 적용적 발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향후 교과서 개정 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이란?
교육이란 교육의 내용, 교수자, 학습자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는 하나의 장을 일컫는다. 다음의 의도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교사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매개로 하여 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한다.
발문의 역할은?
한편으로 발문은 학교 수업에서 핵심적인 기술로 교육적인 연구 대상으로서(구순란, 2000) 이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발문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였을 때 발문은 단순히 답을 묻는 물음이 아니라 학습자를 수업에 참여하게 하고,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하며, 나아가 발문으로 학습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평가까지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같은 내용이라도 어떤 발문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서 학생의 반응, 참여도, 성취도 등이 달라질 정도로 발문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노현진, 2017).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 비교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3∼4학년 과학과 교과서의 발문은 제안적 발문이 44.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28.8%의 예상적 발문이었으며, 적용적 발문이 2.9%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3∼4학년 수준을 고려하였을 때 여러 가지 절차를 안내하는 제안적 발문의 비중이 많은 것은 어쩔 수 없으나,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3∼4학년 과학과 교과서의 발문은 2009 교육과정의 발문과 비교하였을 때 재생적 발문은 1.2%, 제안적 발문은 9.4% 감소하였고, 예상적 발문은 6.8%, 확산적 발문은 1.2%, 평가적 발문은 2.6% 증가하였다.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창의적인 사고를 자극하기 위하여 지시적 성격을 지닌 제안적 발문의 비율을 줄인 점은 바람직하나, 교과서에 과학과 생활 단계가 도입되며 적용적, 확산적 발문은 해당 차시에서만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모든 차시에서 “생각해 볼까요?”라는 발문을 던진 것처럼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6)
구순란(2000).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발문 분석.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윤미, 이형철(201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의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1), 120-129.
Blosser, P. E. (1973). Handbook of effective questioning techniques. Worthington, Ohio : Education Associates.
Hyman, R. T. (1974). Ways of teaching. Philadelphia : Lippincott.
Kewley, L. (1998). Peer collaboration versus teacher-directed instruction: How two methodologies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3(1), 27-3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