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 컨테이너 선대 운항네트워크 변화와 우리항만의 전략
Dynamics of Global Liner Shipping Network and Strategy of Korean Ports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4 no.3, 2018년, pp.133 - 158  

박병인 (전남대학교 물류통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년 초 한진해운의 파산에 따라 세계 컨테이너 운송시장에서 차지하는 국적선의 비중 및 역할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수출입 기업 뿐만아니라 항만들도 위기를 맞게 되었다. 더구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및 무역전쟁은 북미 향발 화물의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반대로 초대형 선사들인 머스크나 CMA CGM과 자국 내 컨테이너 선사간 인수 합병한 중국 및 일본 컨테이너 선사들은 국내 유일의 세계 10대 국적 컨테이너 선사이던 한진해운이 파산함에 따라 선복 공급 감소의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수출입화물의 무역거래에서 외국적선사의 권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 및 광양 등 국내 항만은 해외선사와의 협상력 약화가 초래 되어 선사 유치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연결망의 위상학적 분석과 LSCI 및 CPCI의 경제학적 분석능력을 결합하여 2007년과 2017년의 전 세계 컨테이너 운송네트워크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항만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으며, CPCI가 중심성지수 및 물동량자료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별도의 중심성 분석 없이도 필요한 중심성지수가 갖는 의미를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선사들의 기항 전략과 우리항만의 제휴항만전략 및 발전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le and ratio of national vessels in the global container shipping market have reduced significantly due to the bankruptcy of Hanjin Shipping in early 2017. All import-export companies, as well as container ports in Korea, are facing a crisis. The Trump's tariff and trade battles have had a ne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수출입 기업과 항만들이 위기를 맞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2017년 초 한진해운의 파산에 따라 세계 컨테이너 운송시장에서 차지하는 국적선의 비중 및 역할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수출입 기업 뿐만아니라 항만들도 위기를 맞게 되었다.
오세아니아항로는 어떤 특징을 가진 항로인가? 10년 후인 2017년 에는 85개의 항만 간 305개의 직항노선에 평균 3,414TEU의 선박이 운항되었다. 오세아니아항로는 동서항로 다음으로 길고 물동량이 점증하는 중요한 항로이기 때문에 2007년경에 장거리인 동서 항로에 운항되던 파나막스급 선박들이 2017년경에는 새롭게 오세아니아항로에 전배됨에 따라 운항선형이 크게 대형화되었다.
초대형 선사들인 머스크나 CMA CGM과 자국 내 컨테이너 선사간 인수 합병한 중국 및 일본 컨테이너 선사들은 한진해운의 파산에 어떠한 영향을 입었는가? 더구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및 무역전쟁은 북미 향발 화물의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반대로 초대형 선사들인 머스크나 CMA CGM과 자국 내 컨테이너 선사간 인수 합병한 중국 및 일본 컨테이너 선사들은 국내 유일의 세계 10대 국적 컨테이너 선사이던 한진해운이 파산함에 따라 선복 공급 감소의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수출입화물의 무역거래에서 외국적선사의 권력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동준(2015), 세계 주요지역 항만의 네트워크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1(4), 189-207. 

  2. 곽기영(2017), 소셜네트워크분석, 제2판, 청람 

  3. 김용학(2014), 사회연결망분석, 제3판, 박영사 

  4. 김주혜.권오경(2014), 항만 네트워크 중심성과 효율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22(4), 1-14. 

  5. 박병인(2015), 광양항과 동북아 주요 컨테이너항만간 경협 추세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1(2), 85-101. 

  6. 이상윤(2015), 동서기간항로 항만중심성에 관한 연구 -사회 연결망 분석을 기반으로-, 해양정책연구, 30(2), 111-141. 

  7. 임병학(2011), 컨테이너항만 네트워크가 항만 생산성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19(3), 19-35. 

  8. 임병학(201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항만의 영향력과 순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SCM학회지, 12(1), 37-47. 

  9. Bartholdi III, J. J., Jarumaneeroj, P., and Ramudhin, A.(2016), A New Connectivity Index for Container Ports, Maritime Economics and Logistics, 18(3), 231-249. 

  10. Borgatti, S.P., Everett, M. G., and Freeman, L.C. (2002), Ucinet 6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11. Cisic, D., Komadina, P., and Hlaca, B.(2007), Network Analysis of the Mediterranean Port Supply Chain Structures, Pomorstvo, 21(1), 211-220. 

  12. Cullinane, K. and Wang, Y.(2012), The hierarch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port industry: an application of multiple linkage analysi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39(2), 169-187. 

  13. de Langen, P. W., Udenio, M., Fransoo, J. C., and Helminen, R.(2016), Port Connectivity Indices: An Application to European RoRo Shipping, Journal of Shipping and Trade, 1(6), DOI: 10.1186/s41072-016-0008-0. 

  14. Ducruet, C.(2013), Network diversity and maritime flow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0, 77-88. 

  15. Ducruet, C. and Zaidi, F.(2012), Maritime constellations: A complex network approach to shipping and port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39(2), 151-168. 

  16. Ducruet, C. and Notteboom, T.(2012a), Developing Liner Service Networks in Container Shipping, In Song, D.W. and P. Panayides(Eds.) Maritime Logistics: A Complete Guide to Effective Shipping and Port Management, London: Kogan Page, 77-100. 

  17. Ducruet, C. and Notteboom, T.(2012b), The Worldwide maritime network of container shipping: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dynamics, Global Networks, 12(3), 395-423. 

  18. Ducruet, C., Ietri, D., and Rozenblat, C.(2011a), Cities in worldwide air and sea flows: A multiple networks analysis. Cybergeo: European Journal of Geography, 528. 

  19. Ducruet, C., Lee, S. W., and Roussin, S.(2009), Local strength, global weakness: a maritime network perspective on South Korea as Northeast Asia's logistics hub,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 32-50. 

  20. Ducruet, C., Lee, S. W., and Ng, A. K. Y.(2010),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in liner shipping networks: revisiting the Northeast Asian port hierarchy,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37(1), 17-36. 

  21. Ducruet, C., Lee, S. W., and Song, J. M.(2011b), Network position and throughput performance of seaports, In Notteboom, T. E. (Ed.), Current Issues in Shipping, Ports, and Logistics, Bruxelles: Academic and Scientific Publishers(ASP), 189-201. 

  22. Fremont, A., and Parola, F.(2011), Carriers' Role in Opening Gateways: Experiences from Major Port Regions, in Hall, P., McCalla, R.J., Comtois, C., and Slack, B.(Eds.) Integrating Seaports and Trade Corridors, Ahsgate Farnham and Burlington, 47-63. 

  23. Fugazza, M. and Hoffmann, J.(2017), Liner shipping connectivity as determinant of trade, Journal of Shipping and Trade, 2(1), DOI 10.1186/s41072-017-0019-5 

  24. Hoffmann, J.(2012), Corridors of the Sea: An investigation into liner shipping connectivity, Les Corridors de Transport, Les Oceanides, 263-276. 

  25. Hoffmann, J.(2013), Liner Shipping Connectivity Matrix, UNCTAD. 

  26. Hu, Y. and Zhu, D.(2009),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ldwid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Phisica A, 388, 2061-2071. 

  27. Kaluza, P., Kolzsch, A., Gastner, M. T., and Blasius, B.(2010), The complex network of global cargo ship movements,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 doi:10.1098/rsif.2009.0495. 

  28. Kleinberg, J.(1999), Authoritative sources in a hyperlinked environment, J. ACM, 46, 604-632. 

  29. Laxe, F. G., Seoane, M. J. F., and Montes, C. P.(2012), Maritime degree,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port hierarchies and emerging areas in containerized transport(2008-2010),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24, 33-44. 

  30. Lloyd's List(2017), One Hundred Ports 2017, Informa. 

  31. Low, J. M. W. and Tang, L. C.(2012), Network effects in the East Asia container port industry,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39(4), 369-386. 

  32. McCalla, R., Slack, B., and Comtois, C.(2005), The Caribbean basin: adjusting to global trends in containerization,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32(3), 245-261. 

  33. Montes, C. P., Seoane, M. J. F., and Laxe, F. G.(2012), General cargo and containership emergent routes: A complex networks description, Transport Policy, 24, 126-140. 

  34. Seoane, M. J. F., Laxe, F. G., and Montes, C. P.(2013), Foreland determination for containership and general cargo ports in Europe(2007-2011),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0, 56-67. 

  35. Tran, N. K. and Haasis, H.(2014), Empirical analysis of the container liner shipping network on the East-West corridor(1995-2011), Netnomics, 15(3), 121-153. 

  36. UNCTAD(2017),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2017, UN. 

  37. Veenstra, A. W. and Mulder, H. M.(2005), Analysing container flows in the Caribbea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3(4), 295-305. 

  38. Wang, C. and Wang, J.(2011), Spatial pattern of the global shipping network and its hub-nd-spoke system, Research in Transportation Economics, 32(1), 54-63. 

  39. Wang, Y. and Cullinane, K.(2016), Determinants of Port Centrality in Maritime Container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95, 326-340. 

  40. Wang, Y.(2013), Multiple centrality assessment of ports in maritime container transportation, In Proceedings of IAME conference, Marseille, France. 

  41. Wang, Y., and Cullinane, K.(2008), Measuring Container Port Accessibility: An Application of the Principal Eigenvector Method(PEM),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10(1&2), 75-89. 

  42. Wilmsmeier, G. and Hoffmann, J.(2008), Liner Shipping Connectivity and Port Infrastructure as Determinants of Freight Rates in the Carribbean, Maritime Economics and Logistics, 10(1&2), 130-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