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항만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er Shipping Network of the Container Port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0 no.1, 2014년, pp.73 - 96  

강동준 (중앙대학교) ,  방희석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우수한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상과 육상운송의 접점인 항만은 생산, 거래, 물류 및 정보 교류의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각 항만을 교차하는 공급사슬 시스템의 노드이다. 또한, 항만은 이를 이용하는 선사와 화주에게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항만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항만의 경쟁력을 TEU 단위의 항만처리물동량(Throughput)으로 평가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컨테이너 처리물동량이 허브항만으로서의 주된 혹은 유일한 조건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항만과 항만을 연결하는 해운선사들에 의한 주변 항만들과의 연결성 정도가 지역 내 확실한 허브 항만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11년까지 19개 선사의 기항패턴과 선박투입량을 대상으로 전 세계 항만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좁은세상, 멱함수 법칙 등과 같은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네 가지 항만중심성을 나타냈으며 시계열 자료(2006년~2011년)를 이용하여 연도별 중심성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항만운영자 및 선사의 항만개발계획 및 선대운영시 항만물동량만을 기준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아닌 새로운 개선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ports has been traditionally evaluated by capability of individual ports to provide services to customers or their service quality. However, since container ports are connected by container shipping networks to varying degrees, the status of the ports in liner shipp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8)의 연구에서는 Node가 항만이고 Link가 컨테이너 운송인 전 세계 해상운송네트워크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위상(망 접속 형태)의 다른 형태(spaces L and P)를 제시하여 해운 네트워크의 통계적인 특징(연결수 분포, 가중치 분포, 힘 분포, 평균 최단경로, 선 길이 분포 및 중심성 측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계해운네트워크는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 좁은 세상 네트워크임을 확인하였으며, 중심성 지표들-연결정도, 근접, 매개 중심성-간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항만 네트워크는 다른 운송 네트워크와 같이 계층형 구조와 부익부 빈익빈(부의 불평등 현상) 현상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이론 관점에서 정기선 운항에 따른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과 세계 주요항만의 4가지 중심성을 파악하여 항만 네트워크를 살펴보고 과거 주 평가기준이 되어왔던 물동량의 관점이 아닌 네트워크 관점에서 항만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 (2010a)은 선박 기항 데이터를 이용하여 1996년과 2006년 동북아시아 정기선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 허브항만의 이동여부에 관한 분석과 각 지역의 인근 지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내 중국항만의 급격한 물동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홍콩항만의 허브항만 양극화 현상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해운네트워크 디자인의 진화와 지역항만의 정책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 박용안(2012)은 항만과 해운네트워크 그리고 배후지와 내륙 네트워크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광양항의 컨테이너 처리 기능에 한정하여 해운네트워크 발달을 분석하고 내륙네트워크와 화주분포를 살펴봄으로써 광양항의 기능발달과 배후지 형성(형성기, 성장기, 현재)을 고찰하였다. 하지만 해운 네트워크를 우리나라 항만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산출된 중심성 지수가 우리나라 항만끼리만 비교할 수 있는 한계점을 보유하고 있다.
  • (2011)의 연구에서는 공급사슬 시스템 상의 항만 간 관계와 항만 연결성과의 역학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해운 서비스의 기항요청 패턴을 분석하여 동 분야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정기선 해운 네트워크 관점에서 4개 주요 항만(상하이, 부산, 카오슝 및 닝보항)간의 선적능력, 무역 경로, 항만 간 지리적 지역연결정도, 해운회사 및 항만 간 관계의 범위와 집중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주요 동-서 무역 경로의 선적능력의 대부분은 독점되지 않고 2~4개 항만에 분산되었으며 항만 계획자, 항만 운영업자 및 운송인들은 같은 터미널 운영업자로서 터미널을 소유하는 포트폴리오를 선사에게 제공하여 선택된 항만 간에 존재하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의 개발을 통해 기회를 축적한다고 하였다.
  • 또한 이를 바탕으로 주로 회귀분석이나 AHP 및 ANOVA분석을 통해 항만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계량분석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만선택에 관한 글로벌선사들의 의사결정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으로 SNA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점에서 항만을 평가하고 전통적인 기준인 물동량을 기준으로 항만 내부에서 항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항만의 경쟁력을 항만 외부인 선사의 관점에서 항만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으로 항만을 바라본 기존 연구의 경우 단년도 비교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년도의 연구를 통해 추세를 살펴볼 수 있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 항만 평가와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이론적 배경이 부족하거나 결정요인 규명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본 연구는 네트워크(Network) 이론, 특히 SNA를 통해 선사들의 항만선택 결정요인을 찾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공신력 있는 2차 자료를 활용하기 보다는 설문조사 방식에 의한 분석을 중심으로 항만을 운영하거나 이용하는 주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진행하여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운송이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세계 교역량의 85%는 해상운송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역과 해상운송은 상호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하나의 수송시스템은 연결점(Node), 수송수단(Mode) 및 물적 유통(Flow, Link)으로 구성된다(방희석, 2013).
수출입 해상물동량과 환적수요에 근거해 수립되어 온 우리나라의 기존 항만 개발전략이 실패할 가능성이 큰 이유는? 이러한 전략은 기계론적 세계관에 입각한 것으로 항만 수가 많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단순 물동량에 근거한 항만 개발전략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세계 다수의 항만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항만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항만 개발전략은 기존의 경쟁력 요인과 더불어 선사와 항만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하나의 수송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나? 세계 교역량의 85%는 해상운송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역과 해상운송은 상호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하나의 수송시스템은 연결점(Node), 수송수단(Mode) 및 물적 유통(Flow, Link)으로 구성된다(방희석, 2013). 해상과 육상운송의 접점인 항만은 생산, 거래, 물류 및 정보 교류의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각 항만을 교차하는 공급사슬 시스템의 노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제3판, 박영사, 2011 

  2. 방희석, 국제운송론, 개정3판, 박영사, 2013 

  3. 임병학, 선사국적을 기반으로 한 아시아 주요항만 네트워크비교: 사회네트워크(SNA)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지, 제6권 제5호, 2011, 45-56, 

  4. 임병학, 컨테이너항만 네트워크가 항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제19권 제5호, 2011, 19-35. 

  5. Ahuja, G., "Collaboration networks, structural holes, and innovation: A longitudinal stud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5, No.3, 425-455. 

  6. Bergantino, A. S. and Veenstra, A. W., "Interconnection and co-ordination: an application of network theory to liner shipp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time Economics, Vol.4, No.3, 2002, 231-248. 

  7. Ducruet, C. and Notteboom, T. E., "The Worldwide maritime network of container shipping: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dynamics," GaWC Research Bulletin, Vol.364, 2010, http://www.lboro.ac.uk/fawc/rb/rb364.html. 

  8. Ducruet, C. and Notteboom, T. E., "Developing Liner Service Networks in Container Shipping," in: Song, D. W., Panayides, P. (eds.), Maritime Logistics: A complete guide to effective shipping and port management, Kogan Page, Londen, ISBN 9780 7494 6369 4, 2012, 77-100. 

  9. Ducruet, C., Rozenblat, C. and Zaidi, F., "Port in multi-level maritime networks: evidence from the Atlantic(1996-2006),"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8, No.4, 2010, 508-518. 

  10. Ducruet, C., Sung-Woo Lee. and Adolf K. Y.,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in liner shipping network: revisiting the Northeast Asian port hierarchy," Marit. Pol. MGMT., Vol.37, No.1, 2010, 17-36. 

  11. Ducruet, C., Sung-Woo Lee. and Stanislas Roussin., "Local strength, global weakness: A maritime network perspective on South Korea as Northeast Asia's logistics hub,"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Vol.1, No.1, 2009, 32-50. 

  12. Fremont, A., "Global maritime networks: The case of Maersk,"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5, No.6, 2007, 431-442. 

  13. Garrison, W. L., "Connectivity of the interstate highway system," Papers in Regional Science, Vol.6, No.1, 1960, 121-137. 

  14. Hyung-Sik, Nam. and Dong-Wook, Song., "Defining maritime logistics hub and its implication for container port,"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38, No.3, 2011, 269-292. 

  15. Jasmine S. L. L. and Wei Y. Y., "Dynamics of liner shipping network and port connectivity in supply chain systems: analysis on East Asia,"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9, 2011, 1272-1281. 

  16. Laxe, F. G., Seoane, M. J. F. and Montes, C. P., "Maritime degree, centrality and vulnerability: port hierarchies and emerging areas in containerized transport,"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24, 2012, 33-44. 

  17. Notteboom, T. E., "Traffic inequality in seaport systems revisited,"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4, 2006, 95-108. 

  18. Notteboom, T. E., "Complementarity and substitutability among adjacent gateway port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41, No.3, 2009, 743. 

  19. Parola, F. and Veenstra, A. W., "The spatial coverage of shipping lines and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6, No.4, 2008, 292-299. 

  20. Reynolds-Feighan, A. J., "The impact of US airline deregulation on airport traffic patterns," Geographical Analysis, Vol.30, No.3, 1998, 234-253. 

  21. Rimmer, P. J. and Comtois, C.. "China's extra and intra-Asian liner shipping connections 1990-2000," Journal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rade, Vol.3, 2005, 75-97. 

  22. Scott, N., Baggio, R. and Cooper, C., "Network analysis and tourism: From theory to practice," Channel View Publications, Vol.35, 2008. 

  23. Slack, B., "Containerization, inter-port competition, and port selection,"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12, 1985, 293-303. 

  24. Tiam W., Ghushi D. and Peijian W., "Analysis of Network Effect in Port and Shipping System Characterized by Scale-free Network," Chinese Journal of Management, Vol.3, 2008, 1272-1281. 

  25. Tongzon, J. L. and Sawant, L., "Port choice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from the shipping lines' perspective," Applied Economics, Vol.39, No.4, 2007, 477-492. 

  26. Wasserman, S. and Katherine, F.,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 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7. Yihong H. and Daoli Z.,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ldwid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Physica A, Vol.388, 2008, 2061-20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