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ietary habits on their self-esteem by the medium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stres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9, 2018년, pp.345 - 352  

이현숙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이다. J도와 K도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90부의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과 건강관련 행위, 식생활 습관과 스트레스, 식생활 습관과 자아존중감 간에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로분석 결과 식생활 습관은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하여 올바른 식생활과 바람직한 건강관련 행위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시행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onvergence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ietary habits on their self-esteem by the medium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stress. 390 copies of questionnaire completed by university students in Province J and Province K were used as the study data. As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한다.
  •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 건강관련 행위,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수준과 이들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식생활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한편, 대학생의 식생활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있으나[1,9], 식생활과 연관성이 있는 변인인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식생활 습관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파악을 위한 융합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식생활 습관이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식생활은 어떠한가? 식생활은 한 사람의 행동양식과 관련 있으며, 바람직한 영양섭취는 신체의 건강, 정신적 안정, 정상적인 생활에 필수적인 요건으로 한 개인의 식습관은 개인의 생활태도 및 환경, 심리상태,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2]. 대학생 시기의 식습관이나 신체활동 등의 건강관련 행위는 향후 성인기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3], 성공적인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이 요구된다[4,5] 하지만 대학생은 빈약한 아침식사, 불규칙한 식사, 적절하지 못한 간식 등으로 올바른 식생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학생들 자신도 불규칙한 식사를 문제로 여기고 있다[6,7]. 선행연구를 보면 식생활습관과 자아존중감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는데[1], 자아존중감이란 인간의 적응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8], 개인이 생활에서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9].
식생활이란? 인간이 건강하고 능률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영양섭취와 바람직한 식생활이 필요하다[1]. 식생활은 한 사람의 행동양식과 관련 있으며, 바람직한 영양섭취는 신체의 건강, 정신적 안정, 정상적인 생활에 필수적인 요건으로 한 개인의 식습관은 개인의 생활태도 및 환경, 심리상태,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2]. 대학생 시기의 식습관이나 신체활동 등의 건강관련 행위는 향후 성인기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3], 성공적인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이 요구된다[4,5] 하지만 대학생은 빈약한 아침식사, 불규칙한 식사, 적절하지 못한 간식 등으로 올바른 식생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학생들 자신도 불규칙한 식사를 문제로 여기고 있다[6,7].
식생활 습관과 건강관련 행위,자아존중감,스트레스 수준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대상자의 식생활 습관과 건강관련 행위, 식생활 습관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식생활 습관과 스트레스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식생활 습관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관련 행위와 자아존중감의 수준은 높아지는 반면에 스트레스 수준은 낮아짐을 의미한다. 건강관련 행위와 스트레스,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은 각각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건강관련 행위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 J. Kim.(2009). An Effect of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on DietarBehavior-Focused on Chungcheongnam-do area. Department of Nutrition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 B. R. M. Ahn.(2005). Comparison among the Interest of Weight Control, Health Related Factor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e Index in Female College Students. Department of Home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3. Y. G. Lee.(2018).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 Society. 9(1), 161-169. DOI : 10.15207/JKCS.2018.9.1.161 

  4. K. E. Song & J. S. Park. (2003). Eating habit, trend of disordered eating, weight reduction practice and body size evaluation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4), 457-466. 

  5. K. H. Kim. (2003). A study of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2), 181-191, 

  6. Y. H. Lee.(2006). The Nuutritional Status by Health practice and Stress on Freshmen of University.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uwon. Suwon. 

  7. E. Y. Jung. (2000). A Survey on Consumption about Convenience Foods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Graduate school. Taejon University. Taejon. 

  8. J. R. Crocker, B. Luthanen ,& S. Broadnax. (1994). Collective Self- 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White, Black, and Asian College Stud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5), 503-513. 

  9. S. H. Choi.(2017), Effects of self esteem, dietary self-efficacy and life stress on dietary behavior of femal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366-374. DOI : 10.5762/KAIS.2017.18.6.366 

  10. M. S. Kim & S. Y. Yun.(2017), Effectsof eating Habits and Self-efficacy on Nursing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2), 111-117. DOI : 10.22156/CS4SMB 2017.7.2.111 

  11. J. E. Moon. (2018).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Affecting Physical-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1-39. DOI : 10.15207/JKCS.2018.9.1.031 

  12. C. K. Lee & Y. S. Park.(2017). The Study of Eval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517-529. DOI : 10.14400/JDC.2017.15.12.517 

  13. Steptoe A, Phill D, Wardle J, Cui J,Bellisle F, Zotti A, Baranyai R &Sanderman R. (2002). Trends in Smoking, diet, physical exercise, and attitudes toward health in European university students from 13countries, 1990-2000. Preventive Medicine, 35, 97-104. 

  14. M. H. Han. (2017).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preparation capacity and stress from college lif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1), 81-86. DOI : 10.22156/CS4SMB 2017.7.1.081 

  15. J. Y. Cho &J. C. Song, (2007).Dietary behavior, health status,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4), 476-486. 

  16. M. R. Lee. (1997).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1). 156-168. 

  17. Y. G. Park & I. S. Kang. (2012). University Students' of Campus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4). 177-189. 

  18. S. L. Johnson, B. Meyer, C. Winnett & J. Small. (2000).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Predict Changes in Bipolar Depression but not Mani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58(1), 79-86. 

  19. H. S. Yoon.(2010). The Study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 by the Self-Esteem.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1(2), 115-127. 

  20. H. S. Lee. (2017). A Convergence Study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Stress and Mental Health as Mediating Fact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139-148. DOI : 10.15207/JKCS.2017.8.1.139 

  21. H. S. Yoon &Y. S. Choi. (2002). Analysis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Correlation among Health Consciousness and Nutrition Attitu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Masan City. Korea Journal Food and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22. S. H. Park. (2005). Analysis of Dietary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 According to Stress and Age of Wome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23. Stress self-diagnosis. (1999). Ministry of Heaith & Welfare. Korea. 

  24. M. Resenberg. (1965).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B. J. Jon.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07-129, 

  26. J. S. Kim & Y. N. Kim. (2009). Body Perception, Dietary Attitude and Self-Esteem i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1). 123-139. 

  27. N. Y. Yang & M. S. Song. (2014).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urpose-in-Life depending on their Ability to Manage Ange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1). 46-56. DOI : 10.5932/JKPHN.2014.28.1.46 

  28. W. S. Son. (2010). The Relations of Self-Body Evaluation, Self-Esteem,and Health yBehavior of Junior High School Girls-In partia lareas of Seoul.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J. H. Lee & J. H. Lee. (2015). Convergence Study on Health Risk Behavior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eoul vs. Non-Seoul A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345-356. DOI : 10.14400/JDC.2015.13.5.345 

  30. E. Y. Yu. (2009). Self-Esteem and Stress-Coping Strategies of the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6), 225-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