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좌측 유방암 방사선 치료 시 치료 기법에 따른 선량적 고찰
The dosimetric guide of treatment modalities for Left side breast irradiation after conservative surgery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v.30 no.1/2, 2018년, pp.153 - 160  

김태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문성공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이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세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박령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주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조정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부분절제술 시행 후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적용된 각 방사선 치료 기법 별 선량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정상장기와 종양용적의 선량적 결과를 전형적인 분할치료 선량(EQD2)을 고려한 선량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임상적 참고 지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시행한 좌측 유방암 환자 중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40명을 대상으로 3가지의 치료기법으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각 치료법의 총 종양용적과 임상적 표적용적에서 HI(homogeneity index), $D_{95%}$, 그리고 CI(conformity index)값, 그리고 $V_{hot}$ 수치를 도출한 후 치료계획을 평가하였다.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경우 종양용적은 타 기법에서의 고선량 용적과 동일하여 임상적 표적용적는 고려하지 않았다. 정상장기에 대한 평가는 평균선량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세가지 치료법의 HI는 3D-CRT, VMAT, RIMRT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적조절 호형 방사선치료(VMAT)을 이용한 치료의 경우 임상적 표적용적의 $D_{95%}$의 경우 $95.84{\pm}0.75%$로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3D-CRT) 치료법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총 종양용적의 $D_{95%}$값은 다른 치료법들에 비해 미세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줬다.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치료법은 정상장기들에 조사되는 선량이 타 치료법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결 론 : 3D-CRT의 경우 DIBH를 동반하여 치료할 경우 전반적으로 심장을 보호하는데 유용한 치료 기법이며 VMAT의 경우 탁월한 TARGET COVERAGE를 나타내지만 저 선량 영역이 타 기법에 비해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앞선 두 가지 치료법에서 치료계획 평가를 위한 대부분의 선량적 지표에서 비슷한 값을 보여 치료 계획 결과 및 평가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나 호흡 조절 가능 유무에 따라 치료기법 선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치료의 경우 종양용적에 정확한 고 선량을 주며 정상장기 보호에 매우 유용한 치료법이지만 국소부위 치료만 가능한 점, 치료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점, 치료 전 침습적 시술인 금침 삽입술을 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oses of each radiation therapy technique used in the treatment for left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partial mastectomy through dose results for normalorgans and tumor volume to use this as a clinical reference for radiation therapy of domestic left breast c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분절제술 시행 후 좌측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적용된 각 방사선 치료 기법별 선량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중요장기와 종양용적의 선량적 결과를 고찰하고 비록 단일 기관의 통계적 결과일지라도 전형적인 분할치료 선량(EQD2)을 고려한 선량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국내 부분절제술 환자의 방사선 치료 시 임상적 참고 지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 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부분 절제술이 시행된 모든 유방암 환자는 방사선치료가 대부분 시행되고 있는 실정으로 현재 검진 기술의 발달로 유방암 조기발견 빈도가 증가하고 미용적인 면이 강조된 환자 삶의 질 측면에서 방사선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유방암 방사선 치료 시 심장 및 심장혈관 장기에서 위해를 줄이기 위해 어떠한 시도를 하고 있는가? 42(10년 이후) 1.58(15년 이후)배 증가된다는 보고 등과 관련하여 현재 많은 연구자들은 유방암 방사선 치료 시 심장 및 심장혈관 장기에서 방사선 위해를 줄이기 위한 3차원 치료를 비롯한 토모테라피, VMAT와 같은 IMRT 등의 다양한 치료 기법을 통해 치료를 수행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3D-CRT, VMAT 및 다른 치료법을 비교한 결과 GTV, CTV 값은 어떤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VMAT을 이용한 치료의 경우 GTV의 D95 %값은 다른 치료법들에 비해 미세하게 높은 정도였으나 CTV의 D95 %의 경우 3D-CRT치료법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conformal target coverage가 VMAT치료의 장점임을 나타난다. 세가지 치료기법에서 CI_95 %값은 모두 1에 가까워 target coverage는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Ebctcg. Effect of radiotherapy after mastectomy and axillary surgery on 10-year recurrence and 20-year breast cancer mortality: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or 8135 women in 22 randomised trials. The Lancet. 2014;383(9935):2127-35 

  2. Darby SC, McGale P, Taylor CW, Peto R. Longterm mortality from heart disease and lung cancer after radio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prospective cohort study of about 300 000 women in US SEER cancer registries. The Lancet Oncology. 2005;6(8):557-65 

  3. Hooning MJ, Botma A, Aleman BM, Baaijens MH, Bartelink H, Klijn JG, et al. Long-term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10-year survivors of breast cancer. J Natl Cancer Inst. 2007;99(5):365-75 

  4. McGale P, Darby SC, Hall P, Adolfsson J, Bengtsson NO, Bennet AM, et al. Incidence of heart disease in 35,000 women treated with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in Denmark and Sweden. Radiother Oncol. 2011;100(2):167-75 

  5. Darby SC, Ewertz M, McGale P, Bennet AM, Blom-Goldman U, Bronnum D, et al.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women after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N Engl J Med. 2013;368(11):987-98 

  6. Borst GR, Sonke JJ, den Hollander S, Betgen A, Remeijer P, van Giersbergen A, et al. Clinical results of image-guided deep inspiration breath hold breast irradia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10;78(5):1345-51 

  7. Coon AB, Dickler A, Kirk MC, Liao Y, Shah AP, Strauss JB, et al. Tomotherapy and multifield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planning reduce cardiac doses in left-sided breast cancer patients with unfavorable cardiac anatom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10;78(1):104-10 

  8. Boman E, Rossi M, Haltamo M, Skytta T, Kapanen M. A new split arc VMAT technique for lymph node positive breast cancer. Phys Med. 2016 

  9. Schubert LK, Gondi V, Sengbusch E, Westerly DC, Soisson ET, Paliwal BR, et al. Dosimetric comparison of left-sided whole breast irradiation with 3DCRT, forward-planned IMRT, inverse-planned IMRT, helical tomotherapy, and topotherapy. Radiother Oncol. 2011;100(2):241-6 

  10. Osman SO, Hol S, Poortmans PM, Essers M.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and breath-hold in image-guided locoregional left-sided breast irradiation. Radiother Oncol. 2014;112(1):17-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