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왼쪽 유방암 세기변조방사선 치료시 Skin Flash 적용에 대한 유용성 평가
Evaluating efficiency of application the skin flash for left breast IMRT.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v.30 no.1/2, 2018년, pp.49 - 63  

임경달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서석진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이제희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왼쪽 유방암 세기변조방사선 치료 시 Skin flash를 적용함에 있어 치료계획의 변화를 알아보고,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와 적용 했을 시 피부선량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Skin flash를 다양한 두께별로 적용하여 두께별 피부선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해 보고, 적절한 Skin flash의 적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실험대상은 Anthropomorphic phantom을 이용하였고, 치료계획을 위한 영상획득은 전산화 단층촬영(CT)으로 하였다. 전산화치료계획은 Eclipse(ver 13.7.16, Varian, USA)의 RTP 시스템을 이용하여 2 field hybrid IMRT와 6 field static IMRT의 두 가지 치료계획을 하였다. 위의 치료계획을 바탕으로 각 치료계획마다 Skin flash 두께를 0.5 cm, 1.0 cm, 1.5 cm, 2.0 cm, 2.5 cm으로 변경하여 추가치료계획을 수립하였고, 추가치료계획에 대해 총 MU값과 최대선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치료 장비는 $VitalBeam^{TM}$(Varian Medical System, USA)의 6 MV를 이용하였다. 측정 장비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을 이용하였고, 측정지점은 phantom의 왼쪽 유방의 센터를 기준으로 위(1번), 중간(2번), 아래(3번) 세 부위에 위치시켜 피부선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좌표를 0.5cm 내측(medial), 외측(lateral)으로 이동시켜 피부선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Skin flash를 적용하지 않은 치료계획 2F-hIMRT, 6F-sIMRT의 측정값을 기준선량으로 하였다. 2F-hIMRT의 1번 측정점 206.7 cGy, 2번 186.7 cGy, 3번 222 cGy였고, 6F-sIMRT의 기준값은 1번 192 cGy, 2번 213 cGy, 3번 215 cGy로 측정되었다. 이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2F-hIMRT에서 1번 측정점은 Skin flash 2.0 cm, 2.5 cm 적용시 평균 261.3 cGy로 26.1 %diff로 가장 많은 선량차를 보였고, 2번 측정점은 Skin flash 2.0 cm일 때 평균 197.3 cGy, 5.6 %diff의 선량차가 났고, 3번 측정점은 Skin flash 2.5 cm일 때 최대 245.3 cGy, 10.5 %diff였다. 6F-sIMRT에서는 1번 측정지점이 Skin flash 2.0 cm 적용시에 216.3 cGy, 12.7 %diff로 가장 큰 선량차이를 보였고 측정지점별로 Skin flash 2.5 cm 적용시가 아닌 2.0 cm 적용시 선량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2F-hIMRT, 6F-sIMRT에서 각각 내측 0.5 cm 이동 후 Skin flash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측정치는 2F는 기준값과 비교시 1번, 3번 측정지점에서 -75.2 %diff, -70.1 %diff 차이였고, 6F는 1번, 2번, 3번 측정 지점에서 -14.8, -12.5, -21.0 %diff로 처방선량에 미치지 못하는 저선량이 측정되었다. 두 치료계획 모두 Skin flash 두께가 커질수록 총 MU와 최대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몇몇 결과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diff도 증가했다. 모든 조건에서 0.5 cm의 Skin flash 두께 사용이 기준값의 피부선량과 약 20 % 이하의 차이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결과에 따라 Skin flash의 두께를 0.5 cm으로 최소화 하는 것이 최대선량이나 MU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었고, 기준이 되는 치료계획과도 가장 적은 피부선량차이를 보였기에 0.5 cm으로 최소화 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kin flash 두께를 무한정 크게 한다고 해서 MU나 최대선량, 피부선량차가 증가하지 않고 수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방암 환자의 호흡에 의한 PTV의 변화와 여러 오차의 인자들을 고려한다면 0.5~1.0 cm Skin flash 범위에서 Skin flash를 사용한다면 적용하지 않는 것보다는 더 많은 이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changes of treatment plan and comparing skin dose with or without the skin flash. To investigate optimal applications of the skin flash, the changes of skin dose of each plans by various thicknesses of skin flash were measured and analyzed 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kin flash tool 적용 시 MU값과 최대선량은 어떻게 변하는지와 skin flash 두께에 따라 실제 피부선량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PTV의 변동성에 의한 피부선량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의 Skin flash 영역이 얼마 만큼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위 내용을 토대로 유방암 IMRT 치료계획 시 적절한 Skin flash 플루언스 두께를 알아보고, 유방암 IMRT 치료계획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Skin flash tool 적용 시 MU값과 최대선량은 어떻게 변하는지와 skin flash 두께에 따라 실제 피부선량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PTV의 변동성에 의한 피부선량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의 Skin flash 영역이 얼마 만큼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위 내용을 토대로 유방암 IMRT 치료계획 시 적절한 Skin flash 플루언스 두께를 알아보고, 유방암 IMRT 치료계획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이란? 유방암은 여성에게 발생빈도가 높은 악성종양중의 하나이다.(1) 가장 흔한 수술요법으로는 유방보존술(Breast conserving surgery, BCS)을 시행하고, 종양의 전이여부에 따라 전유방절제술(mastectomy)을 시행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유방암 방사선 치료기술로 사용되온 기법은? 유방암 방사선 치료기술은 전통적으로 쐐기접선 조사기법(wedged tangential field technique)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MLC(Multileaf collimator)의 개발과 치료계획용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순방향 필드 인 필드 접선조사법(Forward planned field-in-field tangential technique, FIF-IMRT), 역방향 세기변조방사선치료(Inverse planne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PIMRT), 용적변조회전방사선치료(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등 여러 치료기법을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효과를 극대화 하고, 방사선 치료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유방암의 수술요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방암은 여성에게 발생빈도가 높은 악성종양중의 하나이다.(1) 가장 흔한 수술요법으로는 유방보존술(Breast conserving surgery, BCS)을 시행하고, 종양의 전이여부에 따라 전유방절제술(mastectomy)을 시행을 하고 있다. 수술 후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 및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한 방사선 치료는 필수적이고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Ghoncheh M, Pournamdar Z, Salehiniya H. Incidence and mortality and epidemiology of breast cancer in the world. Asian Pac J Cancer Prev. 2016;17:43-46 

  2. Liljegren G, Holmberg L, Adami HO, Westman G, GraffmanS, Bergh J. Sector resection with or without postoperativeradiotherapy for stage I breast cancer: five-year resultsof a randomized trial. Uppsala-Orebro Breast Cancer StudyGroup. J Natl Cancer Inst 1994;86:717-22 

  3. Whelan T, Clark R, Roberts R, Levine M, Foster G. Ipsilateralbreast tumor recurrence postlumpectomy is predictive ofsubsequent mortality: results from a randomized trial. Investigatorsof the Ontario Clinical Oncology Group. Int JRadiat Oncol Biol Phys 1994;30:11-6 

  4. Clark RM, Whelan T, Levine M, Roberts R, Willan A,McCulloch P,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breast irradiationfollowing lumpectomy and axillary dissection fornode-negative breast cancer: an update. Ontario Clinical OncologyGroup. J Natl Cancer Inst 1996;88:1659-64 

  5. Forrest AP, Stewart HJ, Everington D, Prescott RJ, McArdleCS, Harnett AN, et a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conservationtherapy for breast cancer: 6-year analysis of the Scottish trial. Scottish Cancer Trials Breast Group. Lancet1996;348:708-13.10) Nattinger AB, Hoffmann RG, Kneusel RT, Schapira MM. 

  6.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Collaborative Working Group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interest 

  7. Schubert LK, Gondi V, Sengbusch E, et al. Dosimetric comparison of left-sided whole breast irradiation with 3DCRT, forward-planned IMRT, inverseplanned IMRT, helical tomotherapy and topotherapy. Radiother Oncol 2011; 100: 241-6. [PubMed] 

  8. van Asselen B, Raaijmakers CPJ, Hofman P, Lagendijk JJW. An improved breast irradiation technique using three-dimensional geometrical information and intensity modulation. Radiother Oncol 2001; 58: 341-7. [PubMed] 

  9. Jain P, Marchant T, Green M, et al. Inter-fraction motion and dosimetric consequences during breas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Radiother Oncol 2009; 90: 93-8. [PubMed] 

  10. Hong J, Hunt M, Chui C, et al. Intensity-modulated tangential beam irradiation of the intact breast.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9; 44: 1155-64. [PubMed] 

  11. Landau D, Adams EJ, Webb S, Ross G. Cardiac avoidance in breast radiotherapy: A comparison of simple shielding techniques with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Radiother Oncol 2001; 60: 247-55. [PubMed] 

  12. Hybrid IMRT plans concurrently treating conventional and IMRT beams for improved breast irradiation and reduced planning time. Mayo CS1, Urie MM, Fitzgerald TJ.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5 Mar 1;61(3):922-32 

  13. M. Clarke, R. Collins, S. Darby, et al. Effects of radiotherapy and of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surgery for early breast cancer on local recurrence and 15-year survival: An overview of the randomised trials Lancet, 366 (2005), pp. 2087-2106 

  14. G. Gyenes, L.E. Rutqvist, A. Liedberg, et al. Longterm cardiac morbidity and mortality in a randomized trial of pre-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versus surgery alone in primary breast cancer Radiother Oncol, 48 (1998), pp. 185-190 

  15. L.F. Paszat, W.J. Mackillop, P.A. Groome, et al. Mortality from myocardial infarction following postlumpectomy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study in Ontario, Canad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3 (1999), pp. 755-762 

  16. J.A. Van Dongen, H. Bartelink, I.S. Fentiman, et al.Randomized clinical trial to assess the value of breast-conserving therapy in stage I and II breast cancer, EORTC 10801 Trial J Natl Cancer Inst Monogr, 11 (1992), pp. 15-18 

  17. Royal College of RadiologistsOn target: ensuring geometric accuracy in radiotherapy (2008), pp. 1-76 View Record in Scopus 

  18. T. Gupta, S. Chopra, A. Kadam, et al. Assessment of three-dimensional set-up errors in conventional head and neck radiotherapy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Radiat Oncol, 2 (2007), p. 44, 10.1186/1748-717X-2-44 

  19. 이보람(Bo-Ram Lee), 이선영(Sun-Young Lee), 윤명근 (Myong-Geun Yoon). (2013). 유방암 방사선치료 기법에 따른 선량 비교. 방사선기술과학, 36(3): 237-244 

  20. ESTRO consensus guideline on target volume delineation for elective radiation therapy of early stage breast cancer.Radiother Oncol. 2015 Jan;114(1):3-10. doi: 10.1016/j.radonc.2014.11.030. Epub 2015 Jan 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