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맥문동탕 용매 분획물의 UV에 의한 피부손상 개선 효능평가
UV-induced skin damage improveme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Maekmoondong-tang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3, 2018년, pp.283 - 290  

유재묘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  강윤환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  김보미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  김동희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  박태순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맥문동탕 열수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W-EA)에서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세포를 이용한 활성 검증에서는 MW-EA를 처리하였을 때 ROS 저해활성에서 34% ($100{\mu}g/mL$), MMPs 저해 50% ($100{\mu}g/mL$) 이상, 미백 활성에서는 tyrosinase를 25% ($50{\mu}g/mL$)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맥문동탕은 피부개선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by using the solvent fractions of Maekmoondong-tang hot water extract. As a result, the ethyl acetate frac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맥문동탕은 맥문동(麥門冬), 진피(陳皮), 반하(半夏), 백출(白朮), 복령(茯 ), 소맥(小麥), 인삼(人蔘), 감초(甘草), 오매(烏梅), 생강 (生薑) 총 10가지 약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고된 연구결과로는 폐활량 개선에 미치는 영향[13], 알레르기 천식[14], 호흡기 점액 생성 및 분비[15], 항암 및 항전이 효능[16] 등이 있는데, 항산화, 주름억제, 미백효과 등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맥문동탕의 신규 적응증 발굴을 위해 항산화, 주름억제, 미백효과에 대한 활성을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맥문동탕의 피부개선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한방 처방을 이용한 피부개선 천연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V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노화란? UV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노화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인한 세포막 손상으로 최종적으로는 피부세 포의 기능을 상실하여 주름을 야기시킨다. 그리고 콜라겐과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expression의 기본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것 또한 중요한데, 이에 대한 피부의 초기 반응 중 하나는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와 tumor necrosis factor (TNF)-α receptor와 같은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 수용체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5].
임상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자외선이 사람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자외선(UV)은 피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염증, 피부암 및 피부 노화(광노화)를 유발할 수 있다[1,2]. 임상에서 노화로 인한 피부는 미세하고 거친 주름, 색소 침착 및 모세 혈관 확장 등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생물학적으로 봤을 때는 콜라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3]. UV에 의한 노화의 경우 프로콜라겐 합성 감소 및 콜라겐의 분해 등으로 인해 노화가 일어난다[4].
맥문동탕의 구성은? 맥문동탕은 맥문동(麥門冬), 진피(陳皮), 반하(半夏), 백출(白朮), 복령(茯 ), 소맥(小麥), 인삼(人蔘), 감초(甘草), 오매(烏梅), 생강 (生薑) 총 10가지 약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고된 연구결과로는 폐활량 개선에 미치는 영향[13], 알레르기 천식[14], 호흡기 점액 생성 및 분비[15], 항암 및 항전이 효능[16] 등이 있는데, 항산화, 주름억제, 미백효과 등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맥문동탕의 신규 적응증 발굴을 위해 항산화, 주름억제, 미백효과에 대한 활성을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mstrong BK, Kricker A (2001) The epidemiology of UV induced skin cancer. J Photochem Photobiol B 63(1): 8-18 

  2. Kligman LH (1989) The ultraviolet-irradiated hairless mouse: a model for photoaging, J Am Acad Dermatol 21: 623-631 

  3. Chung JH (2003) Photoaging in Asians,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9: 109-121 

  4. Busca R, Ballotti R (2000)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3; 60-69 

  5. Rittie L, Fisher GJ (2002) UV-light-induced signal cascade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1: 705-720 

  6. Quan T, Qin Z, Xia W, Shao Y, Voorhees JJ, Fisher GJ (2009) Matrixdegrading metalloproteinases in photoaging.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1: 20-24 

  7. Bentley NJ, Eisen T, Goding CR (1994) Melanocyte-specific expression of the human tyrosinase promoter: activation by the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nd role of the initiator. Mol Cell Biol 14: 7996-8006 

  8. Hodgkinson CA, Moore KJ, Nakayama A, Steingrimsson E, Copeland NG, Jenkins NA, Amheiter H (1993) Mutations at the mouse microphthalmia locus are associated with defects in a gene encoding a novel basic-helix-loophelix-zipper protein. Cell 74: 395-404 

  9. Steingrimsson E, Moore KJ, Lamoreux ML, Ferre-D'Amare AR, Burley SK, Zimring DC, Skow LC, Hodgkinson CA, Arnheiter H, Copeland NG (1994) Molecular basis of mouse microphthalmia (mi) mutations helps explain their developmental and phenotypic consequences. Nat Genet 8: 256-263 

  10. Hearing VJ, Jimenez M (1989) Analysis of mammalian pigmenta-tion at the molecular level. Pigment Cell Res 2: 75-85 

  11. Kobayashi T, Urabe K, Winder A, Jimenez-Cervantes C, Imokawa G, Brewington T, Solano E, Garcia-Borron JC, Hearing VJ (1994)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functions as a DHICA oxidase in melanin biosynthesis. EMBOJ 13: 5818-5825 

  12. Yokoyama K, Suzuki H, Yasumoto K, Tomita Y, Shibahara S (1994)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analysis of a cDNA coding for human DOPAchrome tautomerase/tyrosinase-related protein-2. Biochim Biophys Acta 1217: 317-321 

  13. Park DI (2013) Effects of maekmundong-tang on the improvement of lung capacity. Herbal formula science 21(2): 165-172 

  14. Park S, Sohn SH, Jung KH, Lee KY, Yeom YR, Kim GE, Bae H (2014) The effects of Maekmoondong-tang on cockroach extract-induced allergic asthma.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4: 12 

  15. Sung HK, Min SY, Kim JH (2013) Effect of macmundongtang on production and secretion of respiratory mucus. J Pediatrics Kor Med 27(1): 69-81 

  16. Cheon MS, Chun JM, Yoon TS, Lee A, Moon BC, Choo BK, Kim HK (2009) Anti-carcinogenetic and Anti-metastatic Effects of Extract from Maekmoondong-tang in HepG2 Cells. Kor J Herbology 24(3): 161-167 

  17.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 sitivity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0. Cannell RJ, Kellam SJ, Owsianka AM, Walker JM (199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21.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22. Park SH, Kim KBWR, Kim MJ, Im MH, Ahn DH (2017) Antioxidant Effect of Zostera marina Ethanol and Water Extracts. J Life Sci 27(3): 346-350 

  23. Seo KH, Kim YH, Lee YM, Ghosh M, Park KM, Park DH, Kim JS, Lim BO (2017)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Ganoderma lucidum Cultured on Hulled Barley. Kor J Med Crop Sci 25(1): 29-36 

  24. Jang HL, Park SY, Nam JS (2017)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entinula edodes GNA01 Extract. Kor J Food Nutr 30(1): 51-58 

  25. Lee SH, Lee MS (2017) The Study of Phys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n the Citrus Junos Extracts with its Textures and Skin. J Kor Acad-Ind 18(4): 67-74 

  26. Choi BY, Lee HH (2017)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Fruit Body Crude Extracts. J Kor Acad-Ind 17(8): 415-422 

  27. Joo DH, Yoo DH, Lee JY (2016) A Study on the Anti-wrinkle Activities of Sesamum indicum L. Ethanol Extracts on CCD-986sk. J Soc Cosmet Sci Kor 42(4): 377-385 

  28. Yang SA, Seo GE, Pyo BS, Kim SM, Choi CH (2017)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 Rumex japonicus HOUTT Root and Its Fractions. Kor J Med Crop Sci 25(1): 10-15 

  29. Yang WT, Kim KS, Kwon YS, Kim DH, Kim DH (2016) Whitening and anti-aging effects of Cistanche deserticola extract. J Plant Biotechnol 43: 492-499 

  30. Hwang JY, Kim DH, Kim HJ, Hwang EY, Park TS, Lee JY, Son JH (2012) Effects of Doinsenggitang on Melanin Synthesis and Gene Expression Inhibi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J Life Sci 22(3): 318-32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