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우선관리 지역 선정 및 관리목표 설정 연구
Identifying Priority Area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nd Setting up Load Reduction Goals using the Load Duration Curve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0 no.5, 2018년, pp.17 - 27  

장선숙 (Institutes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지현서 (Institutes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학관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Institutes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ority area where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NPS) management is required and to set up the load reduction goals for the identified priority area. In this study, the load duration curve (LDC) was first developed using the flow and water quality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질측정망에서 관측된 하천 유량 및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LDC를 작성하고, 유량조건별 수질특성을 평가하여 비점오염원 관리가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을 도출하고 관리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LDC 분석을 위해 총량측정지점 중 120지점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목표수질을 이용하였으며, 목표수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24개의 총량측정지점 및 142개의 일반측정지점의 경우 관측 수질의 60 percentile에 해당하는 값을 목표수질로 설정하였다. 목표수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수질항목인화학적 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OD)에 대해서도 관측된 수질측정 값의 60 percentile에 해당하는 값을 목표 수질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목표수질은 하천 생활환경기준에 따라 매우좋음 (Ⅰa)을 최소치로, 약간좋음 (Ⅱ)을 최대치로 제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DC를 이용하여 수질오염 발생 우려지점의 유형 분류 및 비점오염원 우선관리지점 선정을 위해 수집된 수질 및 유량 자료를 기반으로 LDC를 작성하고, LDC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3단계로 분석하였다 (Fig. 3). 1단계에서는 설정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지점을 도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목표수질 초과지점 중에서 목표 수질이 하천 생활환경기준 좋음 (Ⅱ)을 초과하는 수질오염 발생우려지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질오염을 관리하기 위해서 비점오염원이 원인이 되는 지점과 관리대상유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관리대상 물질에 대한 목표저감율을 제시하였다. 비점오염원의 관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가화 및 농업지역 특성에 맞는 관리기법을 적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이란 무엇인가? 환경부는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비점오염원에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로 인하여 하천⋅호소 등의 이용목적, 주민의 건강⋅재산이나 자연생태계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물환경보전법 시행령」 제76조에 따르면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의 지정기준은 하천 및 호소의 수질 및 수생태계에 관한 환경기준 또는 수계영향권별, 호소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에 미달하는 유역으로 유달부하량 중 비점오염 기여율이 50% 이상인지역, 비점오염물질에 의해 자연생태계에 중대한 위해 초래 예상지역, 인구 100만 이상 도시로서 비점오염원관리가 필요한 지역, 지질 및 지층구조가 특이한 지역 등이다.
부하지속곡선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지정제도가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비점오염원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전체유량조건에서 실측된 수질과 목표로 설정된 수질과의 관계를 나타나는 부하지속곡선 (Load Duration Curve, LDC)을 이용하여 하천의 수질변화 또는 오염부하량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질오염문제를 규명하고 대책에 따른 효과 및 목표달성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NDEP, 2003; USEPA,2007; Hwang et al., 2011; Choi et al.
정해진 유역에서의 목표수질 초과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Shen and Zhao(2010)는 LDC와 베이지안 통계를 결합하여 비점오염원 부하를 예측하고 저감량을 분석하였으며, Chen et al. (2011)은 비점오염원과 유출량 감소의 시간적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LDC와 역 모델링 접근법을 결합하여 TMDL(Total Maximum Daily Load)을 개발하였다. 국내의 경우,Kang et al. (2011)은 웹기반의 LDC 시스템을 구축하고, 가평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질 및 부하량을 평가하여 수질오염총량제도 이행평가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Jung et al.(2012)과 Yun et al. (2013)은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LDC 분석을 통해 유량조건에 따른 수계 손상을 파악하고, 수질오염 원인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Kim et al. (2015b)은 유역 모델과 LDC를 이용하여 새만금 유역을 대상으로 비점오염물질의 배출 특성과 달성 가능성을 고려한 관리목표 설정 및 목표달성도를 평가하였다. 이처럼 기존의 연구는 LDC를 이용하여 목표수질이 정해진 유역에서의 목표수질 초과원인 분석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다양한 유역에서 수집된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목표 수질 및 우선관리 지역 선정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비점오염원 우선관리 지역을 도출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al-EPA, 2012. Total Maximum Daily Load for Fecal Indicator Bacteria For the Santa Maria Watershed. 

  2. Chen, D. J., J. Lu, H. L. Wang, Y. N. Shen, and D. Q. Gong, 2011. Combined inverse modeling approach and load duration curve method for variable nitrogen total maximum daily load development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Environ Sci Pollut Res 18: 1405-1413. doi:10.1007/s11356-011-0502-8. 

  3. Choi, K. W., K. Y. Shin, H. J. Lee, and S. H. Jun, 2012. Assessment of the water quality of jungnang stream by flow conditions using load duration curv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8(5): 438-447 (in Korean). doi:10.5668/JEHS.2012.38.5.438. 

  4. Cleland, B., 2002. TMDL Development from the "Bottom up" - Part II: using duration curves to connect the pieces. National TMDL Science and Policy 2002-WEF Specialty Conference, America's Clean Water Foundation: Washington, D.C. 

  5. Cleland, B., 2003. TMDL Development from the "Bottom up" - Part III: duration curve and wet weather assessment. National TMDL Science and Policy 2003-WEF Specialty Conference, Chicago, IL. 

  6. Hwang, H. S., B. K. Pank, Y. S. Kim, K. J. Park, S. U. Cheon, and S. J. Lee, 2011. Research on the applicability of the load duration curve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target water quality in the unit watershed for a TMD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7(6): 885-895 (in Korean). 

  7. Jung, K. Y., T. H. Im, G. H. Kim, I. J. Lee, J. S. Yoon, and S. N. Heo,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liform load duration curve for the Geumho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6): 890-895 (in Korean). 

  8. Jung, W. H., S. J. Yi, G. H. Kim, and S. M. Jeong, 2011. Watershed selection for diffuse pollution management based on flow regime alteration and water quality variation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2): 228-234 (in Korean). 

  9. Kang, H. W., J. C. Ryu, M. H. Shin, J. D. Choi, J. W. Choi, D. S. Shin, and K. J. Lim, 2011. Application of web-based load duration curve system to watersheds for evaluation of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5): 689-698 (in Korean). 

  10. Kim, E. J., B. K. Park, Y. S. Kim, D. H. Rhew, and K. W. Jung, 2015a. A study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targets and evaluation of target achievemen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 Saemanguem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37(8): 480-491 (in Korean). doi:10.4491/KSEE.2015.37.8.480. 

  11. Kim, E. K., J. C. Ryu, H. T. Kim, Y. S. Kim, and D. S. Shin, 2015b. Application of the load duration curve (LDC) to evaluate the achievement rate of target water quality in the Han-River watershe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6): 732-738 (in Korean). doi:10.15681/KSWE.2015.31.6.732. 

  12. MOE, 2017. 2017 White Paper of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13. Nevada Divi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NDEP), 2003. Load Duration Curve Methodology for Assessment and TMDL Development. Nevada Divi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14. Shen, J., and Y. Zhao, 2010. Combined Bayesian statistics and load duration curve method for bacteria nonpoint source loading estimation. Water Res 44: 77-84. doi:10.1016/j.watres.2009.09.002. 

  15. USEPA, 2007. An approach for using load duration curves in the development of TMDLs. Office if Wetlands, Oceans and Watersheds, Washington DC. 

  16. Yun, S. Y., J. N. Ryu, and J. I. Oh, 2013. Wate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for TMDL unit watershed using load duration cur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7(4): 429-438 (in Korean). doi:10.11001/jksww.2013.27.4.4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