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 과정(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에 대한 치과의사의 인식조사
A Study of Dentist's Perception of the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3, 2018년, pp.93 - 102  

김민지 (동서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with dentist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regarding their thoughts in relation to the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and its necessity in clinical practice, with the aim of ensuring that dental hygienists can perform 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치위생 과정에 대한 생각과 임상에 도입할 필요성 및 이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향후 학교와 임상에서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괴리감을 낮추고, 치과위생사가 전문가로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치위생 과정이 임상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위생 과정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치위생 과정은 간호 과정을 바탕으로 발전하였으므로 우선 간호학의 간호 과정(Nursing Process)에 대해 살펴보면, 간호 과정은 1955년 Lydia Hall이 주장하였고, 그는 환자를 간호하고 돌보는 활동 일체를 하나의 과정이라고 설명하였으며, 그 후 1961년에 Ida Jean Orlando가 ‘간호 과정'이라고 명명하였다(전산초 등, 1988).
실제 임상에서 치위생 과정의 어려움은 왜 일어나는가?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치위생 과정이 이루어지는 진료기관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간호 과정과 간호진단을 간호사의 임상 실무에 적용하면서 나타난 문제점들의 대부분은 치위생 과정의 실무적용 단계에서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고, 그 중 실제 간호진단만으로 환자의 건강 문제를 전부 파악하고 해결하기 어려우며, 진단 용어 자체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였다(조영식, 2011). 또한, 치위생진단 부분에 대한 자료나 관련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수영과 최한나, 2011)이며, 치과위생사의 업무나 능력에 대한 치과의사들의 인식이 확립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박지현 등, 2010).
치위생 과정에 대한 국외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치위생 과정에 대한 국외 연구로는 치위생 과정 수행에 있어서 업무 질 비교(Freed 등, 1997), 치위생 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Young과 Newell, 2008), 자율적 업무수행범위(Gillis와 Praker, 1996; Gatermann-Strobel과 Perno Goldie, 2005), 치과위생사의 독립적 업무(Adams, 2004; Turner 등, 2011; Turner 등, 2011), 치과위생사의 자율성(Johnson, 2009), 비용과 효율성의 관계(Williams 등, 2009)등이 있고, 국내 연구로는 치위생 과정의 이론적 접근(이수영과 조영식, 2005; 조영식, 2011)과 교육실태 (한선영 등, 2009), 치위생 과정 기반의 임상실무(조영식과 이수영, 2005), 임상증례(이수영과 최한나, 2011), 전문적 역할 향상에 대한 효과(권순복, 2010)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권순복(2010). 포괄치위생교육과정이 치과위생사의 전문적 역할 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문조(1989). 한국 의사들의 직업의식. 현상과 인식, 13(1-2), 26-52. 

  3. 김보희(2015). 치과에서 치과위생사 업무영역에 관한 치과의사의 의견조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박지현, 김문숙, 조자원(2010). 치과위생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치과의사의 인식조사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1), 88-97. 

  5. 송여주(2010). 임상 치과위생사 양성제도와 법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범위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심수현, 황윤숙(2007).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에 대한 인식도 및 실태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7(2), 153-166. 

  7. 안용순, 신선정, 정세환 등(2006). 치과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및 이직현황 비교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3), 303-315. 

  8. 양선희, 심인옥(2016).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창의성, 자기효능감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612-622. 

  9. 오정숙(2001). 한국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실증적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오혜영, 김창희, 박용호 등(2012). 치위생과정 수행 전과 후의 치주상태 및 구강건강증진행위 비교. 한국치위생학회지, 12(5), 861-870. 

  11. 이수영, 조영식(2005). 치위생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구성요소에 관한 고찰. 치위생과학회지, 5(1), 25-32. 

  12. 이수영, 최한나(2011). 치위생과정 기반의 임상치위생 증례보고서 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11(5), 749-758. 

  13. 이주영(2014). 치위생과정(ADPIE)의 임상적용 가능성과 실천방안 모색.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철우(1997). 치과의사의 직업의식과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전산초, 김조자, 유지수(1988). 간호과정과 기초이론. 서울, 대한간호협회출판부. 

  16. 전시자, 김강미자, 박정숙 등(2000). 성인간호학. 1판, 서울, 현문사, pp.93-110. 

  17. 조병희(1994). 개업의사들의 전문직업성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지, 28. 37-64. 

  18. 조영식, 이수영(2005). 임상구강위생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치위생과학회지, 5(1), 33-38. 

  19. 조영식(2011). 종설: 치위생 과정 기반의 임상 치위생 교육과 실무. 치위생과학회지, 11(3), 135-154. 

  20. 한경순, 이주영(2014). 치위생과정(ADPIE)의 임상적용 가능성과 실천방안 모색. 치위생과학회지, 14(4), 433-441. 

  21. 한선영, 김남희, 유재하 등(2009). 치위생과정에 근거를 둔 임상치위생학의 교육 실태. 치위생과학회지, 9(3), 271-278. 

  22. 한선영(2009). 치위생과정(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의 교육 실태와 인식 조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Adams TL(2004). Attitudes to independent dental hygiene practice: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in Ontario. J Can Dent Assoc, 70(8), 535-538. 

  24.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1985). Standards of applied hygiene. Chicago,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25.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1993). Policy manual framework for theory development. Chicago,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26.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2004). Competencies for entry into the profession of dental hygiene. J Denta Educ, 68(7), 745-749. 

  27.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2008).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Chicago, American Dental Hygienist Association. 

  28.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2007). Accreditation standard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Chicago,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9.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2008). Accreditation standards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 Chicago, American Dental Association. 

  30. Darby ML, Walsh MM(2003).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2nd ed, New York, Elsevier, pp.214-353. 

  31. Facione A(1990).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cpert consensus for purpose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delphi report, ERIC Doc, 315-423. 

  32. Freed JR, Perry DA, Kushman JE(1997). Aspects of quality of dental hygiene care in supervised and unsupervised practices. J Public Health Dent, 57(2), 68-75. 

  33. Gatermann-Strobel B, Perno Goldie M(2005). Independent dental hygiene practice worldwide: a report of two meetings. Int J Dent Hyg, 3(3), 145-154. 

  34. Gillis MV, Praker ME(1996). The professional socialization of dental hygienists: From dental auxiliary to professional colleague. NDA J, 47(1), 7-13. 

  35. Johnson PM(2009). International profiles of dental hygiene 1987 to 2006: a 21-nation comparative study. Int Dent J, 59(2), 63-77. 

  36. Muller-Joseph L, Petersen M(1995). Dental hygiene process: diagnosis and care planning. Columbia, Delmar Publichers, pp.1-16. 

  37. Sackett DL, Richardson S, Rosenberg W, et al(2004). Evidence-based medicine. 2nd ed, Seoul, Academya, pp.1-64. 

  38. Snizek WE(1972). Hall's professionalism scale: An empirical reassessment. Am Sociological Rev, 37(1), 109-114. 

  39. Scottish Executive(2005). An action plan for improving oral health and modernising NHS dental services in Scotland. Scottish Executive. 

  40. Turner S, Ross MK, Ibbetson RJ(2011). Dental hygienists and therapists: How much professional autonomy do they have? How much do they want? Results from a UK survey. Br Dent J, 210(10), 1-7. 

  41. Turner S, Ross MK, Ibbetson RJ(2011). Job satisfaction among dually qualified dental hygienists-therapists in UK primary care: a structural model. Br Dent J, 210(4), 1-7. 

  42. Wilkins EM(1999).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8 ed, Philadelphia, Lippintcott Williams & Wilkins. pp.5-9. 

  43. Williams SA, Bradley S, Godson JH, et al(2009). Dental therapy in the United Kingdom: part 3. Financial aspects of current working practices. Br Dent J, 207(10), 477-483. 

  44. Young LJ, Newell KJ(2008). Can a clinical continuing education course change behavior in dental hygiene practice?. J Dent Hygien, 82(4), 1-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