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에 적용 가능한 지역화 유황곡선 산정
Estimation of regional flow duration curve applicable to ungauged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4 no.12 suppl., 2021년, pp.1183 - 1193  

정세진 (강원종합기술연구원 토양기후환경연구센터) ,  이승필 (H.L.건설) ,  김병식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w flow는 하천수의 공급관리 및 계획, 관개용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유황곡선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30년 이상의 충분한 기간의 유량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국가하천 단위 이하의 하천의 경우 장기간의 유량자료가 없거나 중간에 일정기간 동안 결측된 관측소가 있어 하천별 유황 곡선을 산정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과거에는 미계측 유역의 유황을 예측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IMA 모형 등 통계학적 기반의 기법들을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머신러닝, 딥러닝 모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신 패러다임에 맞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제시한다. DNN기법은 ANN기법의 단점인 학습과정에서 최적 매개변수 값을 찾기 어렵고, 학습시간이 느린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DNN 모형을 이용하여 미계측 유역에 적용 가능한 유황곡선을 산정하고자 한다. 먼저, 유황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수집하고 인자들 간의 다중공선성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선정하여, 머신러닝 모형에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통해 머신러닝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w flow affects various fields such as river water supply management and planning, and irrigation water. A sufficient period of flow data is required to calculate the Flow Duration Curve. However, in order to calculate the Flow Duration Curve, it is essential to secure flow data for more than 30 ye...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6)

  1. Bengio, Y., Courville, A., and Vincent, P. (2013). "Representation learning: A review and new perspectives." Cornell University, special issue Learning Deep Architectures, Accessed 24 June, . 

  2. Byeon, S.J., Lee, S.H., Choi, G.W., and Jung, J.G. (2014). "Use ofgauged 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data to predict short termwater level changes."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10, pp. 247-264. 

  3. Castillo, J.M.M., Cspedes, J.M.S., and Cuchango, H.E.E. (2018). "Water level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Vol. 13, pp. 14378-14381. 

  4. Choi, S.Y., Han, K.Y., and Kim, B.H. (2012). "Comparison ofdiffer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for real-time floodstage forecas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Vol. 32, No. 1, pp. 9-20. 

  5. Jeung, S.J. (2019). Impact assessments of climate and hydrologicalcycle changes in North Korea based on RCP climate changescenarios.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6. Jun, H.D., and Lee, J.H. (2013). "A methodology for floodforecasting and warn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observedwater levels between up stream and downstre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pp. 367-374. 

  7. Kim, D.H., Kim, J.W., Kwak, J., and Kim, J., and Kim, H.S. (2020). "Development of water level prediction models using deep-neural network in mountain wetland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22, No. 2, pp. 106-112. 

  8. Lee, T.H. (2016). Development of regional regression model forestimating mean low flow in ungauged basins. Ph.D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9. Lim, G.G. (2020). A study on estimation of lowflow indices inungauged basin using multiple regression.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0. Matsumoto, W., Hagiwara, M., Boufounos, P., Fukushima K., Mariyama, T., and Xiongxin, Z. (2016). "A deep neural network architecture usingdimensionality reduction with sparse matrices." ICONIP 2016: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cessing, Kyoto, Japan, pp 397-404. 

  11. Park, S.D., (2003)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1, pp. 33-44. 

  12. Rezaeianzadeh, M., Kalin, L., and Anderson, C. (2015). "Wetland-water-level prediction using ANN in conjunction with baseflowrecession analysi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22, pp. 1-11. 

  13. Rezaeianzadeh, M., Kalin, L., and Hantush, M. (2018). "An integrated approach for modeling wetland water level: Applicationto a headwater wetland in Coastal Alabama, USA." Water, Vol. 10, pp. 1-17. 

  14. Ryoo, K.S., and Chong, K.Y. (2008). "Development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reservoir inflow in the floodseason." 2008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3500-3503. 

  15. Tiwari, M.K., and Chatterjee, C. (2010). "Development of an accurateand reliable hourly flood forecasting model using Wavelet-Bootstrap-ANN (WBANN) hybrid approach." Journal of Hydrology, Vol. 394, pp. 458-470. 

  16. Yoon, Y.N. (2007). Hydrology, Cheongmunga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