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 주체 간의 배경을 고려한 기술이전-사업화 모델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Model considering the Background between Domestic R&D and Technology Transfer Ag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51 - 61  

이법기 (기술보증기금) ,  심성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연구개발과 그 결과물의 기술이전, 이전된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의 배경적 특징을 반영한 기술이전-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사업화 모델을 개괄하고, 국내 기술이전 현황과 기술이전 주체의 배경을 조사하여 제시할 모델의 적합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어서 기술이전-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는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모델은 사업화의 각 단계에서 참여 주체별 역할을 제시하면서 추가개발 단계를 중심으로 공급자 주도 영역 영역과 수요자 주도 영역이 구분하였다. 그리고 기술이전 과정에서의 공급자와 수요자 및 중개기관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본 모델의 활용은 기술공급자의 경우 사업화 완료 단계까지 점진적으로 역할을 줄여가는 방식으로, 기술수요자의 경우 제품화 및 수익실현까지 주도적 역할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기업혁신 모델로 삼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주체들의 역할과 주도 수준을 명확히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사례로 분석한 기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술의 적용 및 성과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Model(TTC Model) that reflects the domestic background of R&D, technology transfer and its commercialization. This study outlines the exist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examines the background of domestic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① 기술선택 : B기업은 중개 기관을 통하여 배가공 슬러지에서 green chemistry 방법을 통하여 산화된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확보하여 미백 및 바디 슬림 제품 개발에 대한 제품 차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기술선택 : C기업은 중개 기관을 통하여 특정 환경에서 영상기반 자동차 검지와 번호판 인식기술과 이와 관련된 기술의 다수를 패키지로 도입하여 향후 교통관련 분야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전략수립 : C기업의 대표는 F연구소가 보유한 특정 환경에서 영상기반 자동차 검지와 번호판 인식기술과 이와 관련된 접목기술을 확보하고 이것이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이고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점이 감안하여 향후 전개될 인공지능기반 교통산업에 들어가는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하였다.
  • 연구개발과 이어지는 기술사업화는 그 절차적 단계를 몇 개로 구분하고 체계화한다. 그 체계에 따라 기업은 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정부는 지원 체계를 운영하고, 학계에서는 이러한 단계와 체계에 대한 모델을 발전시키고자 연구한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를 달성할 수 있는 단계를 구분하고 단계별 역할과 단계간의 연결방안을 제안해왔다.
  • 기술이전관련 핵심 정책으로 제6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17-19) 을 검토하고 그 의의를 정리코자한다.이 계획은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매 3년마다 산업부가 10개의 관계부처로부터 통보받은 계획을 종합하여 수립하고 시행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연구개발과 그 결과물의 기술이전, 이전된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의 배경적 특징을 반영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과 절차는 제2장에서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사업화 모델을 개괄하고, 제3장에서 국내 기술이전 현황과 기술이전 주체의 배경을 조사하여 제시하는 모델의 적합성을 밝히고자 한다.
  • 제시한 중개기관의 역할은 공급자 주도의 기술이전 배경에서 수요자를 연결하고 수요자의 필요를 해결해주는 방법으로 제시하였고, 중개기관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중개기관의 기존 역할에 타당성 및 사업성 평가 기능, 개발 및 운영자금 지원기능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자금지원 부분은 수요자가 중소기업인 경우에 기술이전비용 등 고액의 비용이 수반될 때 중개기관의 주도하에 공급자와 수요자간에 R&D과제 도출 및 기술금융지원의 필요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기술이전 주체들의 역할과 주도 수준을 명확히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사례로 분석한 기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술의 적용 및 성과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 이 점은 기술이전 건수와 금액으로 대표되는 중계기관의 역량평가 관행에 따라 생겨난 한계점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중계기관이 이전 기술의 사업타당성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결과에 따른 기술이전 여부를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많은 경우에 이전된 기술이 사업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C기업은 CCTV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중소기업이다. 이 기업은 영상기반 자동차 검지와 번호판 인식기술을 도입하여 자사의 CCTV기술을 한 단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능형 관제분야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기술이전 과정에서의 공급자와 수요자 및 중개기관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현재 기술이전 시장에서 공급자와 수요자의 주체들 간에 환경과 배경이 상이 한 바, 주체들 간의 소통이 어려운 점이 있어 이 간격을 중개기관을 중심으로 해결하는 모델을 제시코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술이전이란 무엇인가? 기술이전의 정의에 대해서는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르면 “양도, 실시권 허락, 기술지도, 공동연구, 합작투자 또는 인수·합병 등의 방법으로 기술이 기술보유자로부터 그 외의 자에게 이전되는 것을 말한다.”로 정의하고 있다[5].
기술이전의 의의는 무엇인가? 기술이전의 의의는 연구개발 주체와 기술사업화 주체가필요한 핵심역량이 차이가 있고, 그 핵심역량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 기술이전은 중요한 수단으로 작동한다. 특히 시장실패가 일어날 수 있는 기술개발 초기의 공공재원의 투입은 필수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바다.
연구개발 및 사업화 주체들의 여건을 반영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모델이 필요한 배경은 무엇인가? 국내의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는 기업들이 자체적인 기술개발과 기술사업화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아직도 외부 기술을 이전받아 기술사업화를 수행하는 방식에 대한 기업과 지원조직들의 역량과 수행체계가 미성숙한 측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은 연구개발 및 사업화 주체들의 여건을 반영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모델이 필요한 이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 Bozeman. (2000). Technology transfer and public policy: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Research Policy, 29, 627-655. DOI : 10.1016/S0048-7333(99)00093-1 

  2. B. K. Lee. (2017). Technology Transfer Status Not Mentioned, Busan :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3. C. H. Park. (2011). SBI's Technology Management and Commercialization Training Programs. Menlo Park : Strategic Business Insights. 

  4. H. R. Hwang. (2009).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 in Daejeon. Daejeon :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5. H. S. Kim, I. O. Jeon & H. S. Yang. (2009). Design of U-IT Technology transfer Re-Auction System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8), 99-112. 

  6. I. C. Um et al. (2017). 2016 National R&D Projects Survey.Analysis Report. Seoul :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Seoul : KISTEP. 

  7. J. B. Park. (2008). The Status and Developmental Challenges of Korea'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cusing on Public Technology. KEIT ISSUE PAPER 2008-233. Seoul :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8. K. E. Maskus. (2004) Encouraging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UNCTAD-ICTSD Project on IPR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9. M. S. Kim, S. M. Yeon, J. S. Kim & B. H. Lee. (2015).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on National R&D by Research Acto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1), 559-570 DOI : 10.5392/JKCA.2015.15.11.559 

  10. Ministry of Trade.Industry and Energy et al. (2014). The 5th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Plan. 

  11. Ministry of Trade.Industry and Energy et al. (2017). The 6th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Plan. 

  12. Ministry of Trade.Industry and Energy. (2017.12.15.). Announcement of '16 Korea's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Technology Transfer. Ministry Press Releases. 

  13. S, J. Sohn et al. (2009). Recommendation for Promot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eoul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14. S. C. Shim. (2014). An Analysis on the Factor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ccess and Failure in Korean Small Firm owned by Technical Entrepreneur. Doctoral dissert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15. V. K. Jolly. (1997).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Boston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6. Y. D. Jeon et al. (2017).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Organizatio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Report. Seoul :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KIA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