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477 - 487  

김선희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행정학과) ,  백진아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진로정체성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조사의 초4 패널 6차년도(2015) 자료를 이용하였고, 조사당시 본 연구에 적합한 중3 재학생 1,823명을 대상으로 변수간의 위계적 회귀분석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진로정체성은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진로정체성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스마트폰 의존도를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the sixth year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2015) on 1,82...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개인의 내적 특성 요인인 진로정체성과 환경적 요인인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경우 진로정체성 정립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경우 진로정체성 정립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진로정체성 강화와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적인 부분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접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위해 세 가지 연구 문제들을 설정하였다.
  • 또래애착과 진로정체성, 그리고 스마트폰 의존도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후의 삶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이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피고, 특히 또래애착 변수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 관계 과정에서 진로정체성과 스마트폰 의존도가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제로 진로정체성과 스마트폰 의존도 요인의 중요성을 밝혀내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개인의 내적 특성 요인인 진로정체성과 환경적 요인인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또래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경우 진로정체성 정립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진로정체성 강화와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적인 부분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접목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청소년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진로정체성과 스마트폰 의존도는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와 논의는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특징은?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이 확립되고 사회적 환경이 확장되는 시기로 이성과 또래 같은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며 부모중심에서 보다 넓은 애착관계로 사회적 관계망의 발달이 이루어진다. 청소년 시기에는 모든 준거의 관점이 또래집단으로 모아지기 때문에 또래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은? 또래애착과 진로정체성, 그리고 스마트폰 의존도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후의 삶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이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피고, 특히 또래애착 변수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 관계 과정에서 진로정체성과 스마트폰 의존도가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청소년기에 또래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초기 청소년의 애착관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에서 또래애착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자신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20,21]. 즉, 청소년이 또래와 애착관계를 잘 형성할수록 주관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충족감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들이 일관되게 발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The Kyunghyang Shinmun. (2018).http://weekly.khan.co.kr/ 

  2. S. M. Suldo & E. S. Huebner. (2004). Does Life Satisfaction Moderate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Psychopathological Behavior during Adolescenc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9(2), 93-105. 

  3. S. J. Kim, H. S. Doh, W. K. Lee & B. Park. (2016). The Pathways from Parent Attachment to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through Peer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7(5), 83-100. 

  4. Y. Yang. (2009). Social Inequalities in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1972 to 2004: An Age- Period-Cohort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2), 204-226. 

  5. J. M. Cho, J. H. Kang & B. K. Lee. (2012). Effects of Family Structure and Friendship Network on Korea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ocial Science Review, 43(1), 47-71. 

  6. M. R. Park & E. J. Yang. (2017).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Medium of Self-Identity and Career Ident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1), 263-284. 

  7. G. H. Park & J. M. Lee. (2014).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Family Welfare, 19(4), 997-1013. 

  8. I. H. Seo & S. A. Jang. (2017). The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on Teenagers'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21(3), 415-433. 

  9. B. E. Gang, E. B. Kim & S. Jung. (2017). Mediating Effects of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 between Study Habit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6(1), 94-106. 

  10. Y. H. Jeong, C. W. Bong & S. H. Hong. (2017). Analyzing Change Trajectory and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5(1), 181-210. 

  11. M. S. Suk & Y. K. Koo. (2014). The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Adolescent : The Mediating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Korean Journal Family Welfare, 19(4), 905-928. 

  12. S. A. Oh & J. H. Ryu. (2017).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Styles on Life Satisfaction in Korean Youths: The Mediating Effects of Youth Activities and Peer Attachm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6(3), 207-222. 

  13. M. G. Jin, Y. S. Choi & E. Y. Son. (2017).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Throug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9), 205-222. 

  14. S. S. Baek & J. Y. Cho. (2017).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8), 248-256. 

  15. S. Y. Han, E. J. Yun, S. G. Choi & D. S. Hong. (2011). Analysis on the Impact of Using Smart-phone to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formation Society & Media, 20, 49-84. 

  16. E. J. Cha & K. H. Kim. (2015). Effects of Peer Attachment on Mobile Phone Depend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44, 79-108. 

  17. J. Y. Lee, H. J. Kwon & Y. J. Kim. (2014).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n Mobile Phone Overuse, School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2), 1087-1101. 

  18. S. Y. Kim & K. B. Yun. (2016). Estimating Adolescents'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Tests of the Effects of Facto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h Changes. Studies on Korean Youth, 27(2), 271-296. 

  19. E. Oberle, K. A. Schonert-Reichl & B. D. Zumbo. (2011).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Personal, Neighborhood, School, Family, and Peer Influenc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 889-901. 

  20. Q. M. Claudia?E. S. Huebner. (2008).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ome Relationships Matter more to Girls than Boys. Journal of Psychology in the Schools, 45(2), 177-190. 

  21. M. R. Park & E. J. Yang. (2017).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Peer Attach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Medium of Selff-Identity and Career Ident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1), 263-284. 

  22. J. L. Holland, D. C. Gottfredson & G. Power. (1980). Some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1200. 

  23. O. E. Salama, E. I. Abou & R. M. Naga. (2004). Cellular Phones: Are They Detrimental?, The Journal of the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79, 197-223. 

  24. G. C. Armsden & M. T. Greenberg.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25. Y. N. Ko. (2008). The Relationship among Father, Mother, Pe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6(2), 111-131. 

  26. S. H. Lee, H. S. Kim, E. Y. Na, S. Y. Lee, S. N. Kim & J. H. Bae. (2002). A Study of Adolescents' Mobile Phone Usage and Effects of Mobile Phone Usage. Seoul: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 

  27.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6), 1173-1182. 

  28. D. Jeong & J. S. Lee. (2015). Adolescent's Self-Estee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5(9), 273-284. 

  29.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S. G.. West & V. Sheets. (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7, 83-104. 

  30. S. J. Kwon, J. R. Park & J. Y. Kim. (2017).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on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3(2), 29-51. 

  31. Y. A. Son, S. J. Sin & E. Y. Son. (2014). Valuables Affecting to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7(1), 109-125. 

  32. K. S. Kim, K. S. Shin & H. M. Lee. (2017).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in the Time of Converg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39-149. 

  33. Y. M. Lim. (2014).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y and Use Typ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3(2), 163-174. 

  34. G. I. Jung & J. H. Kim.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3(3), 599-6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