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8 no.3, 2017년, pp.29 - 44  

손신영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data of the 6th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KCYPS)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4.0 and 24.0 AMOS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hypothetical model consisted of s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만족은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 삶의 만족은 인간이 일생을 살면서 추구하는 가장 큰 가치 중 하나이며, 인생의 어느 시기든지 중요하며 일상생활 중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삶의 양식과 행동의 기반을 위한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므로 이 시기의 삶의 만족과 건강한 성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석말숙, 구용근, 2015).
삶의 만족이란 무엇인가? 삶의 만족은 인간이 일생을 살면서 추구하는 가장 큰 가치 중 하나이며, 인생의 어느 시기든지 중요하며 일상생활 중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삶의 양식과 행동의 기반을 위한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므로 이 시기의 삶의 만족과 건강한 성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석말숙, 구용근, 2015).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을때 삶의 만족도가 낮으면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자신과 미래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절망하게 되면서 만족스러운 삶과는 더욱 멀어지게 되고 사회적 문제로까지 심화될 수 있다(이순성, 2010).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도가 낮고 부정적인 삶의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긍정적 자아정체감과 가치관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성인이 된 이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이주리,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 정신진단 검사 실시 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1984. 

  2. 김수희.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 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신경, 박민경, 안지선.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부모 양육행동유형의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2014;16(2):163-182. 

  4. 김신영 등. 청소년발달지표조사1, 결과부분 측정지표 검증.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5. 김옥선, 오윤자, 최명구.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아동교육2006;15(1):195-207. 

  6. 김윤나, 박옥식. 청소년 활동의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자아존중감, 직업성숙도, 학업성취,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2009;11(1):79-99. 

  7. 문수정, 백지숙. 청소년기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자아탄력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초기, 중기, 후기 청소년 비교연구. 청소년시설환경 2016;14(3):149-160. 

  8. 문재우. 청소년의 비만, 우울, 자아존중감 및 신체 이미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12; 13(2):119-146. 

  9. 박미정, 김희순, 박소미, 최지혜. 청소년의 자살 충동 경험유무에 따른 지각된 삶의 만족, 우울, 공격성 비교, 대한 아동간호학회지, 2011;17(4):264-271. 

  10. 백인경, 신철. 수면시간과 비만, 열량영양소 섭취비율 및 신체 활동량과의 관련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1; 16(3):315-323. 

  11. 석말숙, 구용근. 가족요인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2015;17(1):55-74. 

  12. 성준모,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요인. 청소년복지연구 2016;18(4):93-111. 

  13. 손보영, 김수정, 박지아, 김양희.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가 초기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학교생활 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차비교. 한국청소년연구 2012;23(1): 149-173. 

  14. 신미. 청소년 삶의 질 척도 타당화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2012;14(1);163-194. 

  15. 안지혜, 윤유동, 임희석.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중학생 삶의 만족도.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2):197-208. 

  16. 양숙경, 문혁준. 가족기능,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12;19(2):115-130. 

  17. 염소림, 최유석. 가정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4;14(9):255-266. 

  18. 염유식, 김경미, 이승원.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 비교 연구조사,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6. 

  19. 이경진.조성호.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04;16(4):667-685. 

  20. 이미순. 청소년의 부모애착, 자아요인, 정신.심리적 요인,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련성[박사학위논문]. 경기: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3. 

  21. 이순성.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 [박사학위논문].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22. 이주리. Data Mining을 이용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보호 요인 및 위험요인 탐색. 인간발달연구, 2008;15(4):51-65. 

  23. 임성원, 종단연구를 통한 청소년기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4. 정미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의미 및 진로성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5. 정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또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문화포럼 2010;25:140-170. 

  26. 조혜진. 청소년의 또래 애착과 우울, 불안:자아 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7.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KCYPS) 1-7 User Guide. 서울: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 2017. 

  28.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9. 홍연란, 장군자, 최정숙. 저소득층 아동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6;21(1):179-189. 

  30. Abela JRZ, Webb CA, Wagner C, Ho M, Adams P. The role of self-criticism, dependency, and hassles in the course of depressive illness: A multi-wave longitudinal study of vulnerability and resilienc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06;32:328-338 

  31. Armsden GC, Greenberg MT.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87;16(5):427-454. 

  32. Beem MR., Gil-Rivas V. Greenberger E, Chen C.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depressed mood : Risk and protection within and across social contex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02;31(5):343-357. 

  33. Hall-Lande JA, Eisenberg ME, Christenson, SL, Neumark-Sztainer D. Social isolation, psychological health and protective factors in adolescence. Adolescence 2007;42(166):265-86. 

  34. Ma CQ, Hueber ES.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adelescents’ life satisfaction: Some relationships matter more to girls than boys. Psychology in the Schools 2008;45(2): 177-190. 

  35. Oberle, E., Schonert-Reichl, KA., Zumbo, BD. (2011).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Personal, neighborhood, school, family, and peer influenc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 889-901. 

  36.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7. Wille N, Bettge S, Ravens-Sieberer U, The BELLA study group.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children’s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results of The BELLA study.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08;17:133-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