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upon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0, 2013년, pp.347 - 355  

이현주 (김해대학 사회복지과) ,  권수정 (김해대학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으로 학습에 있어 자기조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인에 청소년의 내적 힘인 자아탄력성과 외적지지체계 중 하나인 또래애착의 영향력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는 총 2,35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또래애착(의사소통, 신뢰, 소외)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성취가치, 숙달목적지향, 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의 잠재변수와 하위변수 모두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도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which may operate within peer attachment as well as any links which may exist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adolesc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2,351 middle scho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학습과 학업성취와 관련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청소년의 개인내적부분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도 그리고 개인 외적변인인 또래애착이라는 주요 변인들과 함께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도 등 각각의 변인들이 모형 내 변인들과 어떤 영향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탐색을 통해 청소년 시기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이전의 연구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관련된 영향요인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이지만,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원인에 대한 관계적 접근으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도는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과 주요한 관계에 있으므로, 삶의 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변수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 그리고 청소년기의 부모와의 안정된 애착경험은 또래와의 애착형성에도 긍정적이고 주도적 역할을 한다[I].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연관이 있는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와 또래애착이 어떠한 관계에 있고, 삶의 만족도는 변수들 간의 있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최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 학업프로그램, 발달, 성차 등의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정서적,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능력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9][23],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적인 힘인 자아탄력성과 외적 힘인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1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변수로 활용되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탄력성은 무엇인가?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은 어떤 상황에서도 일정한 자아통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환경적인 제약이나 일시적이고 적응이 필요한 스트레스의 영향으로부터 다시 그 이전의 자아통제 수준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대처 능력이다[L]. 탄력성이 높은 청소년은 주변상황에 대해 자신이 대처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자각을 하게 되고 실제로 대처전략을 더 많이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삶의 만족도도 높다[14][A].
자기조절학습능력이란 무엇인가? 자기조절학습능력(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은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전략적인 접근방식을 사용하며, 동기적으로 고무되어 주인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능력이다[19][D]. 학습(learning)은 본질적으로 자기조절이라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이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연관성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은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와도 연관성이 있다. 왜냐하면, 자기조절을 잘하는 개인은 학업성취도가 높고[C], 그리고 학업성취도 높을수록 청소년이 삶의 만족도도 높기 때문이다[15].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을 통해 느끼는데, 가정생활만족도에서 초.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고민숙, 자아탄력성, 의사결정 유형 및 성패귀인 유형과의 관계: 애착 유형과 생활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 고영남, "중학생의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111-131, 2008. 

  3. 권지은, 부모 및 또래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 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4. 김미향, 자아탄력성 증진 훈련이 중학생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5. 김신영, 임지연, 김상옥, 박승호, 유정렬, 최지영, 이가영, "한국 청소년발달 지표조사I: 결과부문 측정지표검사", 서울: 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6. 김아영, 주지은, 정소영, "수학성취 수준별 집단의 성취도와 학습전략 사용 및 변화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3호, pp.667-698, 2005. 

  7. 김정환, 정미수, "의지조정전략과 행동통제성이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151-171, 2005. 

  8. 김지연, 정봉교, "BAS/BIS, 자아탄력성과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6권, 제2호, pp.313-327, 2011. 

  9. 김호정,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0. 김효원, 다변량 고차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1. 김현순, 청소년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2. 김현진, 주의집중향상 프로그램이 첨가된 자기 조절학습 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 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3. 박연수,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4.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이상미, 권혁호, 양계민, "초.중.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차이와 형성 및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5권, 제1호, pp.94-118, 2000 

  15. 박효정, 연은경, "한국 중등학생의 생활 및 문화 실태 분석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연구보고, pp.2003-2005, 2003. 

  16. 박은민,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13권, 제3호, pp.75-88, 2010. 

  17. 손종식,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자기규제 학습수준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18. 신미, 전성희, 유미숙,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분석", 아동학회지, 제33권, 제1호, pp.81-92, 2012. 

  19. 신민희, "자기조절학습이론: 의미, 구성요소, 사례원리", 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1호, pp.143-162, 1998. 

  20. 장석진, 송조원, 조민아,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 pp.161-187 2012. 

  21. 정미경,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22. 정미선,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탐구동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3. 조복희, 이현민,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태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제2권, 제1호, pp.17-28, 1998. 

  24. 조진만, 강정한, 이병규, "가족구조와 친구연결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논집, 제43권, 제1호, pp.47-71, 2012. 

  25.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6. 유성경,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 제16권, 제4호, pp.189-206, 2002. 

  27. 유안진, 이점숙, 김정민,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5호 pp. 123-132. 2005. 

  28. 이승훈, 삶의 만족도,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고등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9. 이예승,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4. 

  30. 이호선, 아동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1. 임정하, 정옥분, "아동이 지각한 또래관계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63-175, 1997. 

  32. 최승연,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3. 현미열, 이종은, 박선남, "청소년의 희망과 정신 건강의 상관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16-123, 2003. 

  34. 황미경,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5. 문병상, "청소년들의 미래목표 인식, 자기조절학습전략, 학업성취도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4호, pp.983-1000, 2012. 

  36. 류관열, 종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 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7. 양명희, 이경아,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변화추이 및 인과적 방향성 검토", 교육과학연구, 제 3권, 제2호, pp.175-196, 2012. 

  38. 박성익, 김미경,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제5권, 제2호, 2004. 

  39. 구영수, 양연숙,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171-199, 2013. 

  40. 심선경,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도구와 자기조절 학습, 학업성취간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2013. 

  41. B. E. Compas, B. R. Hinden, and C. A. Gerhard, "Adolescent development: Pathway and processes of risk and resil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6, pp.265-293, 1995. 

  42. B. J. Zimmerman, "Self-regulated lear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5, No.1, pp.3-17, 1990. 

  43. B. J. Zimmerman and M. Martinez-Pons,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3, No4, pp.614-628, 1986. 

  44. B. L. McCombs, "Process and skills underlying continuing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toward a definition of motivation training interventions," Educational Psychologist, Vol.19, pp.199-218, 1984. 

  45. D. Schunk,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B. Zimmerman & D. Schunk(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83-110, 1989. 

  46. E. C. Klohnen., E. A. Vandewater, and A. Young, "Negotiating the Middle Years: Ego-Resiliency and Successful Midlife Adjustment in Women," Psychology and aging, Vol.11, No3, pp.431-442, 1996. 

  47. E. S. Elliot and C. S. Dweck, Goals: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pp.5-12, 1988. 

  48. G. C. Armsden and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 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m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6, No.5, pp.427-453, 1987. 

  49. J. P. Allen and D. Land, Attachment in adolescence. In J. Cassidy and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pp.319-335).NewYork: The Guilford Press. 1999. 

  50. H. Freeman and B. Brown, "Primary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differences by attachment styl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30, No.6, pp.77-106, 2000. 

  51.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 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A. Colloness(Eds.), Minesota symposia and child psychology, Hillsdale, NJ: Erlbaum., Vol.13, pp.39-101, 1980. 

  52. J. Block, "Assimilation, accommodation,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Vol.53, pp.281-291, 1982. 

  53. J. H.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iogy, Vol.70, No.2, pp.349-361, 1996. 

  54. W. M. Bukowski, and B. Hoza, Popularity and friendship: issues in theory, measurement, and outcome. In T. J. Berndt, G. W. Ladd (Eds.), Peer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pp.15-45), New York: Wiley.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