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용한 바실러스의 토양 접종에 따른 토착 세균 군집의 변화
Changes in Resident Soil Bacterial Communities in Response to Inoculation of Soil with Beneficial Bacillus spp.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6 no.3, 2018년, pp.253 - 260  

김이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김상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안주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상미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원항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송재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용미생물은 임업과 축산 분야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병해충 방제와 작물 생육 증진 등의 용도로 농업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용미생물의 토양에서의 생존율과 정착율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코즘을 이용해 바실러스 3 균주를 토양에 처리한 후, 이들의 토양 내 생존능을 정량 PCR을 이용하여 13일 동안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3 균주 처리구와 대조구의 토양미생물 군집 분포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바실러스 3 균주의 처리 직후 토양 내 밀도는 건조토양 1 그람당 평균 $4.4{\times}10^6$ 유전자수로 대조구에 비해 1,000배 이상 높았다. 바실러스 균주의 토양 내 밀도는 처리 후 약 일주일 간 유지되었고 그 후부터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대조구보다 100배 이상 높았다. 바실러스 균주 처리 후 토양 내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Acidobacteria 문($26.3{\pm}0.9%$), Proteobacteria 문($24.2{\pm}0.5%$), Chloroflexi 문($11.1{\pm}0.4%$), Actinobacteria 문($9.7{\pm}2.5%$)에 속하는 세균이 우점하였다. 대조구 대비 처리구에서 Actinobacteria 문의 비율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지만 Bacteroidetes 문과 Firmicutes 문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속 수준에서 바실러스 3 균주를 처리함에 따라 일부 세균 군집의 종 풍부도를 변화되었고, 결국 전체 토착 미생물 군집 구조가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용한 바실러스의 토양 접종 후 이들의 토양 내 생존능 분석 및 토착 세균 군집의 변화는 유용미생물을 생물적 제제로 시설재배지에 사용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neficial microorganisms are widely used in the forestry, livestock, and, in particular, agricultural sectors to control soilborne diseases and promote plant growth. However, the industrial utilization of these microorganisms is very limited, mainly due to uncertainty concerning their ability to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Uparse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97% 유사도를 기준으로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로 분류하였다. RDP database (version 9)를 이용해 세균 이외의 다른 생물, 즉 진핵생물, 고균, 엽록체, 미토콘드리아와 계(kingdom) 수준에서 분류가 안된 OTU를 제거하였다[21]. 종 다양성 지수 및 종 풍부도 추정치는 Mothu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22].
  • 키메라 시퀀스는 UCHIME de novo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20]. Uparse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97% 유사도를 기준으로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로 분류하였다. RDP database (version 9)를 이용해 세균 이외의 다른 생물, 즉 진핵생물, 고균, 엽록체, 미토콘드리아와 계(kingdom) 수준에서 분류가 안된 OTU를 제거하였다[21].
  • 1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20]. 고품질의 시퀀스 데이터를 얻기 위해 길이가 짧거나 (300 bp 이하) 높은 에러 임계값(1 이상)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동일한 시퀀스가 없는 singleton을 제거하였다. 키메라 시퀀스는 UCHIME de novo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20].
  • 그늘에서 말린 토양 시료를 2 mm 체로 통과시킨 후 와그너 포트(NF-2/φ256 × φ234 × 297 mm; 1/2000a)에 적당량을 나누어 담았다.
  • 또한 B. subtilis 그룹의 16S rRNA 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서열(595 bp)을 증폭하는 Bsub5F (5’-AAGTCGAGCGGACAGATGG-3’)와 Bsub3R (5’-CCAGTTTCCAATGACCCTCCCC-3’)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18].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 로코즘을 이용해 바실러스 3 균주를 토양에 처리한 후, 이들의 토양 내 생존능을 정량 PCR을 이용하여 13일 동안 정량 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 여 바실러스 3 균주 처리구와 대조구의 토양미생물 군집 분포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바실러스 3 균주의 처리 직후 토양 내 밀도는 건조토양 1 그람당 평균 4.
  • 본 연구에서는 작물에 유용한 활성이 있어 특허로 등록된 바실러스 3 균주(Table 1)를 토양에 처리한 후 정량 PCR(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이들의 토양 내 생존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차세대염 기서열분석 기법인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3 균주 처리구와 대조구의 토양미생물 군집 분포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유용미생물 처리 후 이들의 토양 내 밀도 변화 양상 및 토양미생물 전체 군집 변화를 평가하는 것은 유용미생물의 효과적인 현장적용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주춧돌이 될 것이다.
  • 0 × 106 cfu/ml)을 와그너 포트에 2 리터씩, 대조구에는 동량의 TSB 배지 1,000배 희석액을 관주하였다. 모든 처리는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배양액을 처리한 직후부터 3일, 5일, 7일, 11일, 13일 후에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즉시 DNA를 추출하였다.
  • 문(phylum) 분포 비교: 바실러스 균주 처리구 간 토양 내 미생물 분포를 문 수준에서 비교 및 분석하였다.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Acidobacteria 문(26.
  • 모든 처리는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배양액을 처리한 직후부터 3일, 5일, 7일, 11일, 13일 후에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즉시 DNA를 추출하였다. 나머지 토양 시료는 2 ml 용기(Eppendorf tube)에 분주하여 -80℃에 장기 보존하였다.
  • 하지만 유용미생물의 토양에서의 생존율과 정 착율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 로코즘을 이용해 바실러스 3 균주를 토양에 처리한 후, 이들의 토양 내 생존능을 정량 PCR을 이용하여 13일 동안 정량 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 여 바실러스 3 균주 처리구와 대조구의 토양미생물 군집 분포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작물에 유용한 활성이 있어 특허로 등록된 바실러스 3 균주(Table 1)를 토양에 처리한 후 정량 PCR(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이들의 토양 내 생존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차세대염 기서열분석 기법인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3 균주 처리구와 대조구의 토양미생물 군집 분포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 와그너 포트에 처리한 토양 내바실러스의 밀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추출된 DNA를 이용해 정량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CFX96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USA)과 GoTaq qPCR master mix (Promega, USA)를 이용하였다. 또한 B.
  • 속 다양성 비교: 유용미생물 처리구 간 문 분포의 차이는 바실러스 균주 처리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하고 이러한 차이를 이끄는 주요 OTU를 속(genus)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Fig. 5). Arthrobacter 속의 3개의 OTU 비율은 S37-2, GH1-13, BS07M 균주의 처리구에서 각각 1.
  • 시퀀싱 결과 요약: 토양 내 미생물 군집분석을 위해 와그너 포트를 이용하여 토양에 처리한 바실러스 3 균주의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된 11일차 토양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였다. 4처리 3반복으로 얻은 총 12개의 토양 시료로부터 얻은 256 Kim et al.
  • 추출된 DNA는 micro-volume nucleic acid spectrophotometer ASP-2680 (ACTgene, USA)를 이용하여 농도와 순도를 확인하였다. 와그너 포트에 처리한 토양 내바실러스의 밀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추출된 DNA를 이용해 정량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CFX96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USA)과 GoTaq qPCR master mix (Promega, USA)를 이용하였다.
  • 유용미생물을 와그너 포트에 처리한 후 11일째 채취한 시료로부터 추출된 DNA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16S rRNA 유전자의 V3-V4 영역을 증폭하는 318F와 806R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천랩(Korea)에서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paired-end 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 바실러스 그룹 특이 프라이머(Bsub5F, Bsub3R)를 사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3 균주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다. 이를 사용하여 비닐하우스에서 와그너 포트안에 있는 토양에 처리한 바실러스 3 균주의 토양 내 밀도 변화를 13일 동안 총 5회(처리 후 0일, 5일, 7일, 10일, 13일)에 걸쳐 분석하였다 (Fig. 1). 대조구의 경우 B.
  • 유용미생물을 와그너 포트에 처리한 후 11일째 채취한 시료로부터 추출된 DNA를 토양미생물 군집분석에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16S rRNA 유전자의 V3-V4 영역을 증폭하는 318F와 806R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천랩(Korea)에서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paired-end 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대용량의 시퀀스 데이터는 UCHIME 프로그램 (version 9.
  • 처리구에는 바실러스 3 균주의 배양액(1.0 × 106 cfu/ml)을 와그너 포트에 2 리터씩, 대조구에는 동량의 TSB 배지 1,000배 희석액을 관주하였다.
  • 5 그람으로부터 PowerSoil DNA isolation kit (MoBio,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DNA 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micro-volume nucleic acid spectrophotometer ASP-2680 (ACTgene, USA)를 이용하여 농도와 순도를 확인하였다. 와그너 포트에 처리한 토양 내바실러스의 밀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추출된 DNA를 이용해 정량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 토양 시료 0.5 그람으로부터 PowerSoil DNA isolation kit (MoBio,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DNA 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micro-volume nucleic acid spectrophotometer ASP-2680 (ACTgene, USA)를 이용하여 농도와 순도를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시퀀스 중 예비 여과 과정을 통해 322,290개의 고품질 시퀀 스를 얻었다. 각 시료로부터 무작위로 선발된 22,761개의 시퀀스(총 273,132개)를 이용하여 4,299개의 OTU를 얻은 후미생물 군집분석에 사용하였다.
  • 바실러스 그룹 특이 프라이머(Bsub5F, Bsub3R)를 사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3 균주를 모두 검출할 수 있었다. 이를 사용하여 비닐하우스에서 와그너 포트안에 있는 토양에 처리한 바실러스 3 균주의 토양 내 밀도 변화를 13일 동안 총 5회(처리 후 0일, 5일, 7일, 10일, 13일)에 걸쳐 분석하였다 (Fig.
  • 4처리 3반복으로 얻은 총 12개의 토양 시료로부터 얻은 256 Kim et al. 시퀀스 중 예비 여과 과정을 통해 322,290개의 고품질 시퀀 스를 얻었다. 각 시료로부터 무작위로 선발된 22,761개의 시퀀스(총 273,132개)를 이용하여 4,299개의 OTU를 얻은 후미생물 군집분석에 사용하였다.
  •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시험포장에서 밭토양(양토)을 채취하였다. 그늘에서 말린 토양 시료를 2 mm 체로 통과시킨 후 와그너 포트(NF-2/φ256 × φ234 × 297 mm; 1/2000a)에 적당량을 나누어 담았다.

데이터처리

  • 이를 위해 16S rRNA 유전자의 V3-V4 영역을 증폭하는 318F와 806R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천랩(Korea)에서 Illumina MiSeq 플랫폼을 이용하여 paired-end 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대용량의 시퀀스 데이터는 UCHIME 프로그램 (version 9.1.1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20]. 고품질의 시퀀스 데이터를 얻기 위해 길이가 짧거나 (300 bp 이하) 높은 에러 임계값(1 이상)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동일한 시퀀스가 없는 singleton을 제거하였다.
  • RDP database (version 9)를 이용해 세균 이외의 다른 생물, 즉 진핵생물, 고균, 엽록체, 미토콘드리아와 계(kingdom) 수준에서 분류가 안된 OTU를 제거하였다[21]. 종 다양성 지수 및 종 풍부도 추정치는 Mothu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22].
  • 통계분석은 R 통계 프로그램(version 3.3.1)을 이용하였다. 평균 간 유의성 검증은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Tukey 검정을 실시하였다(α = 0.
  • 평균 간 유의성 검증은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Tukey 검정을 실시하였다(α = 0.05).

이론/모형

  • subtilis 그룹의 16S rRNA 유전자에 특이적인 염기서열(595 bp)을 증폭하는 Bsub5F (5’-AAGTCGAGCGGACAGATGG-3’)와 Bsub3R (5’-CCAGTTTCCAATGACCCTCCCC-3’)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18]. 정량 PCR 반응액 제조 및 반응 조건은 Kim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19].
  • 고품질의 시퀀스 데이터를 얻기 위해 길이가 짧거나 (300 bp 이하) 높은 에러 임계값(1 이상)을 나타내는 시퀀스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동일한 시퀀스가 없는 singleton을 제거하였다. 키메라 시퀀스는 UCHIME de novo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20]. Uparse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97% 유사도를 기준으로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에 유용미생물의 처리가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유용미생물의 처리는 작물의 생육 증진 및 병 방제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미생물 분포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5, 12]. 유용미생물 처리가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 국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토양에 서식하는 세균을 관행적인 평판 배양으로 몇 개정도 배양할 수 있는가? 토양 1 그람에는 종류와 깊이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0억이상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세균은 관행적인 평판 배양으로 약 1억개 정도가 배양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토양미생물은 양분 공급, 작물 생장 촉진 호르몬(예; 옥신) 생산, 토양 구조 개량, 병해충 방제, 제초 등 의 다양한 작용을 통해 작물의 생장을 직접적으로 돕는다[3].
비닐하우스에서 유용미생물이 더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유추되는 바실러스 균주의 환경에 따른 토양 내 생존능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 Kim 등은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의 토양 내 생존능을 마이크로코즘(실내, 실외 조건) 시험과 포장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19].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실내 마이크로 코즘 시험에서는 균주 처리 후 B. subtilis 그룹의 16S rRNA 유전자수가 약간 감소하였지만 마지막으로 시료를 채취한 시점에서는 대조구보다 약 100배 이상 많게 유지되었다. 반면 실외 마이크로코즘 시험과 포장시험에서는 16S rRNA gene copy number가 실내 시험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되다가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보아 햇빛, 비 등의 날씨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포장에서 보다 비닐하우스에서 유용미생물이 더 오랜 기간 생존할 수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Taylor JP, Wilson B, Mills MS, Burns RG. 2002. Comparison of microbial numbers and enzymatic activities in surface soils and subsoils using various techniques. Soil Biol. Biochem. 34: 387-401. 

  2. Foster RC. 1988. Microenvironments of soil microorganisms. Biol. Fertil. Soils. 6: 189-203. 

  3. Hayat R, Ali S, Amara U, Khalid R, Ahmed I. 2010. Soil beneficial bacteria and their role in plant growth promotion: a review. Ann. Microbiol. 60: 579-598. 

  4. Bloemberg GV, Lugtenberg BJJ. 2001. Molecular basis of plant growth promotion and biocontrol by rhizobacteria. Curr. Opin. Plant Biol. 4: 343-350. 

  5. Compant S, Duffy B, Nowak J, Clement C, Barka EA. 2005. Use of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for biocontrol of plant dis- eases: principles, mechanisms of action, and future prospects. Appl. Environ. Microbiol. 71: 4951-4959. 

  6. Lahlali R, Peng G, Gossen BD, McGregor L, Yu FQ, Hynes RK, et al. 2012. Evidence that the biofungicide serenade (Bacillus sub- tilis) suppresses clubroot on canola via antibiosis and induced host resistance. Phytopathology 103: 245-254. 

  7. Santoyo G, Orozco-Mosqueda MdC, Govindappa M. 2012. Mechanisms of biocontrol and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in soil bacterial species of Bacillus and Pseudomonas: a review. Biocontrol Sci. Techn. 22: 855-872. 

  8. Nannipieri P, Ascher J, Ceccherini MT, Landi L, Pietramellara G, Renella G. 2003. Microbial diversity and soil functions. Eur. J. Soil Sci. 54: 655-670. 

  9. Baker GC, Smith JJ, Cowan DA. 2003. Review and re-analysis of domain-specific 16S primers. J. Microbiol. Methods. 55: 541- 555. 

  10. Shokralla S, Spall JL, Gibson JF, Hajibabaei M. 2012.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ies for environmental DNA research. Mol. Ecol. 21: 1794-1805. 

  11. Janssen PH. 2006. Identifying the dominant soil bacterial taxa in libraries of 16S rRNA and 16S rRNA genes. Appl. Environ. Microbiol. 72: 1719-1728. 

  12. Ambrosini A, de Souza R, Passaglia LMP. 2016. Ecological role of bacterial inoculant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soil microbial diversity. Plant Soil. 400: 193-207. 

  13. You C, Zhang C, Kong F, Feng C, Wang J. 201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iocontrol agent Bacillus subtilis and fungicide metalaxyl-mancozeb on bacterial communities in tobacco rhizospheric soil. Ecol. Eng. 91: 119-125. 

  14. Shen Z, Ruan Y, Chao X, Zhang J, Li R, Shen Q. 2015. Rhizosphere microbial community manipulated by 2 years of consecutive biofertilizer application associated with banana Fusarium wilt disease suppression. Biol. Fertil. Soils. 51: 553-562. 

  15. Kwon JS WH, Suh JS, Kim WG, Jang KY, Noh HJ. 2007.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 and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S37-2. Korean J. Soil Sci. Fert. 40: 447-453. 

  16. Kim SY, Sang MK, Weon HY, Jeon YA, Ryoo JH, Song J. 2016. Characterization of multifunctional Bacillus sp. GH1-13. Korean J. Pestic. Sci. 20: 189-196. 

  17. Lee YH, Song J, Weon H-Y, Park K, Sang MK. 2016. Plant growth promotion and induced resistance by the formulated Bacillus vallismortis BS07M in Pepper. Res. Plant Dis. 22: 284-288. 

  18. Wattiau P, Renard M-E, Ledent P, Debois V, Blackman G, Agathos S. 2001. A PCR test to identify Bacillus subtilis and closely related species and its application to the monitoring of wastewater biotreatment. Appl. Microbiol. Biotechnol. 56: 816- 819. 

  19. Kim DY, Kim BY, Ahn JH, Weon HY, Kim SI, Kim WG, et al. 2015. Quantitative analysi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GR4-5 in soil. Korean J. Org. Agric. 23: 847-858. 

  20. Edgar RC, Haas BJ, Clemente JC, Quince C, Knight R. 2011. UCHIME improves sensitivity and speed of chimera detection. Bioinformatics 27: 2194-2200. 

  21. Cole JR, Wang Q, Cardenas E, Fish J, Chai B, Farris RJ, et al. 2009. The ribosomal database project: improved alignments and new tools for rRNA analysis. Nucleic Acids Res. 37: 141-145. 

  22. Schloss PD, Westcott SL, Ryabin T, Hall JR, Hartmann M, Hollister EB, et al.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75: 7537-7541. 

  23. Edgar RC, Haas BJ, Clemente JC, Quince C, Knight R. 2017. Shifts in microbial communities in soil, rhizosphere and roots of two major crop systems under elevated CO2 and O3. Sci. Rep. 7: 15019. 

  24. Wu Y, Zeng J, Zhu Q, Zhang Z, Lin X. 2017. pH is the primary determinant of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agricultural soils impacted b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ollution. Sci. Rep. 7: 40093. 

  25. Kozdroj J, Trevors JT, van Elas JD. 2004. Influence of introduced potential biocontrol agents on maize seedling growth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rhizosphere. Soil Biol. Biochem. 36: 1775-1784. 

  26. Wu B, Wang X, Yang L, Yang H, Zeng H, Qiu Y, et al. 2016. Effect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ZM9 on bacterial wilt and rhizosphere microbial communities of tobacco. Appl. Soil Ecol. 103: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