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영재 학생들의 분석적 증명 학습 효과 검증을 위한 시선추적기의 활용
Application of Eye Tracker for Study on the Effect of Analytic Proof Learning of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3, 2018년, pp.275 - 296  

정경우 (밀양고등학교) ,  윤종국 (한국교원대학교) ,  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법을 이용한 증명 학습을 하게 한 후 나타나는 시선의 변화 및 시선의 변화로 야기되는 학습 성취도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선추적기법을 도입하였으며, 시선추적기를 통해 분석법의 학습효과를 좀 더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분석법을 학습한 후 학생들이 증명 문제를 풀 때, 증명 아랫부분에서부터 증명 윗부분으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시선의 이동방향이 변화하였으며 증명 아랫부분에 대한 시선 점유 비율이 윗부분에 비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법 학습으로 야기된 시선의 변화는 증명 학습 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증명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gaze and the change of the proof learning achievement after learning the analytic method for proof to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using eye tracking technique.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mixed method research was us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석법은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가? 파푸스는 분석법과 종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분석법에서는 증명해야 할 것을 참인 것처럼 가정한 후 이것이 선행하는 어떤 것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가를 묻고 다시 그 선행자의 선행자는 무엇인가 묻기를 계속하여, 결국 이미 알려져 있거나 참인 것으로 가정한 것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분석’, ‘거꾸로 풀기’ 또는 ‘역행적 추론’이라고 부른다.
시선추적기법으로 무엇을 알 수 있는가? , 2011). 시선추적기법은 연구 방법에 대한 과학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의식적인 안구운동 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인 안구운동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의 습관화된 행동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을 연구 참여자의 눈에 조사하여 동공의 중심위치를 추적하기 때문에 비침습적이며 다른 신경과학 연구방법에 비해 높은 안전성을 갖고 있다(신원섭, 2016).
분석법이 제안된 배경은 무엇인가? NCTM(2000)에 의하면 수학적 추론과 증명을 수학의 가장 근본적인 측면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도 6가지 수학교육역량 중 추론을 두어 수학적 사실을 추측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정당화하며 그 과정을 반성하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 하지만 대다수의 학생들은 증명을 어려워할 뿐만 아니라 실험, 실측의 방법으로 증명을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증명의 의의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고 있다(류성림, 1998). 또한 증명을 학습한 이후에도 증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음이 여러 선행연구에서 보고되었고(Fischbein Kedem, 1982; Senk, 1985; Healy & Hoyles, 2000), 이에 대한 대안 중 하나로 분석법이 제안되어 왔다(강문봉, 1992; 나귀수, 1998; 우정호, 2000; Polya, 197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inistry of Education (2013). The third gifted education Comprehensive plan(2013-2017). 

  2. Ministry of Education (2013).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74 [Separate volume 8]. 

  3. Kang, M.B. (1992). An Educational Study 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 81-93. 

  4. Ko, E.S. (2012).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and Non-Talented Students' Level of Statistical Thinking: Statistical Modeling and Sampling Distribution Understanding.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3), 503-525. 

  5. Kim, K.E., Seo, H.A. & Kim, D.H. (2016). Characteristics of Algebraic Thinking and its Errors b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6(1), 211-230. 

  6. Kim, S.Y., Byeon, J.H., Lee, I.S. & Kwon, Y.J. (2012). An Eye tracking Study on Test-Item Solving of Science Scholastic Achievement focus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1), 65-78. 

  7. Kim, S.Y., Byeon, J.H., Lee, I.S. & Kwon, Y.J. (201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ask Commitment using Eye-tracking for Identifying Science Gifted Student. Biology Education, 41(3), 421-434. 

  8. Kim, W.K. et al. (2010).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eoul: Visang. 

  9. Kim, W.K. et al. (2011). Middle School Mathematics 3, Seoul: Visang. 

  10. Kim, H.J. (2015). Research for Analysis of Korean Reading Process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The Language and Culture, 11(2), 131-159. 

  11. Na, G.S. (1998). Analysis of the nature of proof and practice of proof education : focused on the middle school geometry. Doctorat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Na, G.S. (2009). Teaching Geometry Proof with focus on th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2), 185-206. 

  13. Na, G.S. (2011). Analysing the Processes of Discovery and Proof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2), 105-120. 

  14. Ryu, S. R. (1998). A Study on the Meaning of Proof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37(1), 73-85. 

  15. Ryu, H.C. & Je, S.Y. (2009). Construction of Quadratic Curves Using the Analysis Method on the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5(4), 168-189. 

  16. Ryu, H.C. et al. (2013).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eoul: Chunjae. 

  17. Ryu, H.C. et al. (2013). Middle School Mathematics 3, Seoul: Chunjae. 

  18. Park, S.D. (2006). The Idea of Plane Geometry, Seosan: Dobi. 

  19. Park, H.J. & Shin, D.H. (2015). Analysis of Processes in Reading about Science Stories in 6th Grade Science Textbook Using Eye-trac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383-393. 

  20. Bae, Y.J. (2011).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tatistics, Seoul; Kyowoo. 

  21. Byeon, J.H., Lee, I.S. & Kwon, Y.J. (2011). A Study on Consulting of Teaching Behavior Patterns of Gaze Fixation by using Eye Tracker: The Case Stud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173-199. 

  22. Seo, H., Kim, J.H., Oh, E.H. & Lee, S.R. (2015). A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Eye-tracker on R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Ordinary Adults. Korean Education, 102(0), 7-44. 

  23. Sung, T.J. (2014). Easy statistical analysis, Seoul: Hakjisa. 

  24. Shin, W.S. (2016). A Review of Eye-tracking Metho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3), 288-304. 

  25. Woo, J.H. (2000). Principles and Methods of Teaching-Learning Mathemat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6. Lee, M.J. & Lee, K.H. (2015). Elementary Students’ Formation of Relational Thinking about Equation. School Mathematics, 17(3), 391-405. 

  27. Lee, S.R. & Suh, H. (2013). Th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Research on Reading Process Using Eye-tracke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6(0), 479-503. 

  28. Lee, S.R. (2014). A Research on Traits of Adolescents' Reading and Eye movement in Internet Rea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9(2), 417-444. 

  29. Lee, C.Y.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y worksheet applying the analysis-comprehensive proof method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30. Jung, K. W. (2018). A Study on Proof Learning Method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sing Eye Tracker.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1. Han, M.H., Kwon, S.H. & Kwon, Y.J. (2015). Eye-tracking Patterns on Visual-Search Task in of Elementary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8), 67-81. 

  32. Alcock, L., Hodds, M., Roy, S., & Inglis, M. (2015). Investigating and improving undergraduate proof comprehension.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2(7), 742-752. 

  33. Cavanagh, P. (1992). Adaptive changes in saccade amplitude: Aculocentric or orbitocentric mapping? Vision Research, 36, 2087-2098. 

  34. Duchowski, A. (2007). Eye tracking methodology: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Verlag. 

  35. Fischbein, E., & Kedem, I. (1982). Proof and certitude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128-131. Universitaire Instelling Antwerpen Antwerp, Belgium. 

  36. Healy, L., & Hoyles, C. (2000). A study of proof conceptions in algebr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6-428. 

  37. Holmqvist, K., Nystrom, M., Andersson, R., Dewhurst, R., Jarodzka, H., & Van de Weijer, J. (2011). Eye tracking: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8. Kaldy, Z., Kraper, C., Carter, A. S., & Blaser, E. (2011).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more successful at visual search than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Developmental science, 14(5), 980-988. 

  39. McFadden, S. A., Khan, A., & Wallman, J. (2002). Gain adaptation of exogenous shifts of visual attention. Vision Research, 42(24), 2709-2726. 

  4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41. Polya, G. (1971). How to solve i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우정호 역 (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42. Senk, S. L. (1985). How well do students write geometry proofs? The mathematics teacher, 78(6), 448-4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