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깊이감과 머물고 싶은 공간의 관계: 시선추적기를 이용한 카페를 중심으로 한 연구
A Study Using an Eye-tracker and Cafe Images to Ascerta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Spatial Depth and the Customer's Intention to Visit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2 no.4, 2019년, pp.3 - 14  

조지영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곽은주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사회에서 대표적인 제3의 공간인 카페는 학업과 휴게 등에 중요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카페를 방문 규모에 따른 공간적인 요구사항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좁은 카페의 경우, 더 넓고 높고 깊게 보일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파악하는 것은 이용자나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간의 깊이감과 머물고 싶은 의사의 관계를 시선추적기와 공간 이미지를 이용하여 연구한 것이다. 56명의 실내디자인 학생들은 15개의 렌더링으로 개발된 이미지를 함께 비교하여 보며, 어떤 공간이 가장 깊어 보이는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또한 주어진 공간을 카페로 가정하여 1인 방문 시, 그리고 단체로 방문 시 각각 어느 공간에 머물고 싶은지 응답하였다.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의 시선은 시선추적기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의 결과, 동일한 규모의 공간일지라도 실내 및 가구요소에 따라 깊이감이 다르게 느껴짐을 보여준다. 어두운 벽에 작은 장식과 분리된 가구가 있는 공간이 밝은 톤의 벽에 큰 장식이 있거나 아예 장식이 없는 경우, 그리고 하나로 연결된 가구가 있는 공간보다 더 깊어 보인다고 인식되었다. 공간의 깊이감은 1인 방문자에게 중요한 요소이나, 여럿이 방문한 경우에는 큰 고려 요소는 아니었다. 연구의 결과는 공간의 깊이감이 카페 방문객의 규모와 관련해 머물고 싶은 의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fé has become an important representative "third place" where people study and rest. Hence, it is worthwhile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as well as the requirements of people who visit such venues in groups. The identification of strategies that can hel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에서 O까지 15개의 이미지를 볼 때 추적된 시선 데이터와 구두 응답에 있어서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공간지각에 남녀 차이가 있으므로(Linn & Petersen, 1985) 깊이감 지각과 이와 관련된 머물고 싶은 공간에 관한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ⅲ) 깊이감을 자극하는 구성요소의 차이를 준 15개의 공간 이미지를 CG로 제작하여 시선추적 실험을 진행하고 더불어 구두 설문을 진행하여 조사하였다. 공간의 깊이감에 관한 지각과정과 머물고자 하는 의사에 관한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 특별히 공간이 깊어 보이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함에 있어 시선추적기법을 이용하는 것은 즉각적인 시지각적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깊이감 지각과 이와 관계되어 머물고 싶은 의도와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으로, 카페를 혼자 갈 경우와 다른 사람과 함께 갈 경우, 공간의 깊이감에 대해 어떻게 여기며, 머무르고자 하는 의사결정에 깊이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시선추적기와 구두응답을 병행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 , 2005). 따라서 연구에 앞서 깊이감과 더불어 넓이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추출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같은 크기의 공간이라도 비어있는 공간보다 어떤 요소가 있어 그 공간의 이용도가 높아 보일 때가 더 넓게 보이고(Schiffenbauer et al.
  • 본 연구는 깊이감과 머물고 싶은 공간의 관계를 렌더링으로 개발한 이미지를 자극물로 하여 구두응답과 시선추적을 병행하여 파악한 것이다.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실험에는 56명의 실내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참가자들은 15개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보며, 가장 깊어 보이는 공간을 탐색하였다. 또한, 주어진 공간을 카페라고 가정하여, 혼자 방문 시와 2인 이상 함께 방문 시 각각 머물고 싶은 공간을 찾고 그 이유를 응답하도록 요청되었다.
  • 2의 이미지를 보여주어 30초 동안 보도록 하였다. 실험에 앞서 가장 깊어 보이는 공간과 가장 깊어 보이지 않는 공간에 대해 물어볼 것이며, 또한 카페라고 가정할 경우, 머물고 싶은 공간에 대해 물어볼 것임을 미리 인지시켰다. 실험은 1명씩 진행하였고, 시선추적 데이터는 각각 60 ㎐ 로 저장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페에 방문했을 때, 남자가 선호하는 공간의 특성은 무엇인가? 반면 2인 이상이 함께 공공 공간에 방문했을 시에는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개방적인 공간을 중요시 여기며 공간의 깊이감은 큰 역할을 하지 않는 경우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특히 남자의 경우는 혼자 방문 시 깊이감있는 공간을 더욱 선호한다고 하겠다.
'제3의 공간'이란 무엇인가? 카페는 현대인에게 대표적인 제3의 공간이다. 제3의 공간은 제1의 공간인 집, 제2의 공간인 직장을 제외하고, 자주 방문하여 집처럼 편안함을 느끼고 사색이나 마음의 안정,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는 공간을 의미한다(Oldenburgm 1989). 선행연구에 의하면 카페를 방문하는 목적은 대화(47.
공간이 깊어 보이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함에 있어 시선추적기을 이용하면 무엇이 유리한가? 시선추적기는 시선의 고정(Fixation)과 도약(Saccade)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기로, 공간 이미지에 대한 시지각적인 반응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시선추적을 통해 얻은 생리적 데이터는 기존의 설문조사 방식에서 있을 수 있는 기억의 왜곡이 없이 정량적이면서도 객관적인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Lee, 2012). 그러나 많이 본 곳이 항상 관심이 높은 곳이라고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동공의 크기(Pupil size)를 함께 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nheim, R. (1969). Visual thinking, Berkeley. CA: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OI: 10.1126/science.169.3943.361 

  2. Choi, G. Y. (2013). A Study on Features of Space Perception shown at Intention of Observing the Space of Cafeteri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1), 3-10. DOI: 10.14774/jkiid.2013.22.1.003 

  3. Choi, Y. J., Lee, J. H., & Kim, S. Y. (2012). Influence of Interior Design Elements on Spati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Coffeeshop Spac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4(4), 364-375. DOI: 10.6110/kjacr.2012.24.4.364 

  4. Granholm, E., & Steinhauer, S. R. (2004). Pupillometric measur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52(1), 1-6. DOI: 10.1016/j.ijpsycho.2003.12.001 

  5. Hess, E. H., & Polt, J. M. (1960). Pupil size as related to interest value of visual stimuli. Science, 132(3423), 349-350. DOI: 10.1126/science.132.3423.349 

  6. Kim, G. H., Boo, S. H., & Kim, J. H. (2007). Effects of depth perception cues in visual attention to advertising using eye tracker.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9(2), 277-310. 

  7. Kim, J. H., & Cho, J. Y. (2018).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visual attention during spatial depth perception.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1(1), 113-126. DOI: 10.14695/KJSOS.2018.21.1.115 

  8. Kim, J. H., & Kim, J. Y. (2014). The feature of scanning path algorithm shown at natural visual search activities of space user.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2), 111-122. DOI: 10.14695/KJSOS.2014.17.2.111 

  9. Kim, J. Y. (2016). An Analyzed the Area of Interest based on the Visiting Intention and Existence of People in Cafe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5(5), 130-139. DOI: 10.14774/jkiid.2016.25.5.130 

  10. Lee, M. H. (2012). Comparison of legibility between the e-book and paper-book using eyetracker.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1. Lee, Y. K., Kim, J. Y., & Hwang, Y. S. (2008). A study on the space introduced by the optical illusion.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3(3), 127-137. DOI: 10.35216/kisd.2008.3.3.127 

  12. Linn, M. C., & Petersen, A. C. (1985). Emerg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56(6), 1479-1498. DOI: 10.2307/1130467 

  13. Miller, S., & Schlitt, J. K. (2000). Interior space: Design concepts for personal needs. (H. C. Lyu Trans.). Seoul, Korea: Yurim.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14. Moon, G. Y., & Lyu, H. C. (2013). A Study on the Spatial Presentation Strategies for Cafe as The Third Space - Focused on the cafes located in regions where Street culture was forme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5), 68-77. DOI: 10.14774/JKIID.2013.22.5.068 

  15. Oldenburg, R. (1989). The great good place: Cafes, coffee shops, community centers, beauty parlors, general stores, bars, hangouts, and how they get you through the day. New York: Paragon House. DOI: 10.1093/sf/69.3.931 

  16. Ryu, S., Seo, E., & Lee, J. (2016). A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lor and shape,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erence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89-92, Seoul, Korea. 

  17. Schiffenbauer, A. I., Brown, J. E., Perry, P. L., Shulack, L. K., & Zanzola, A. M. (1977).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crowding: Some architectural modifiers. Environment and Behavior, 9(1), 3-14. DOI: 10.1177/001391657791001 

  18. Shin, W. S., & Shin, D. H. (2013). Analysis of eye movement by the science achievement level of the elementary students on observation tes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85-197. 

  19. SMI (SensoMotoricInstruments) (2017). Begaze manual Version 3.7 

  20. Yun, Y. W., Kim, Y. O., & Park, Y. K. (2005). The Effect of Metric Distance and Spatial Depth on Spatial Cogni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1(5), 77-8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