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평면도형 영역에서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한 학생의 오류에 대한 예비 교사의 지식 분석
Interpre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by Shulman-Fischbein Framework : For Students' Errors in Plane Figur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3, 2018년, pp.297 - 314  

김지선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사지식 중에서 예비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식을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이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우리의 교사교육의 현실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은 수학의 알고리즘적 SMK, 수학의 형식적 SMK, 수학의 직관적 SMK, 수학의 알고리즘적 PCK, 수학의 형식적 PCK, 그리고 수학의 직관적 PCK의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일련의 평면도형 영역의 문제를 다루고 학생의 오개념을 포함한 지필과제를 5명의 예비교사에게 제시하고 그들이 제출한 답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상당히 강한 SMK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수학의 형식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시 학생들의 수준을 깊게 고려하지 않았고, 오개념을 고치기 위한 교수학적 방법을 제안할 때에 구체적이지 못하고 피상적인 답변만을 제시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at providing implication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hrough interpreting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by using Shulman-Fischbein framework. Shulman-Fischbein framework combines two dimensions (SMK and PCK) from Shulman with three components of mathematical knowledge (algor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질적인 구조란? SMK는 특정 내용 영역에 대한 사실이나 개념에 대한 지식을 아는 것만 아니라 내용 지식의 구조를 실질적이고 통사적인 방법으로 이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 실질적인 구조란 수학에서 특정 주제에 대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조직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반면에 통사적 구조란 문법처럼 수학에서 참 또는 거짓, 유효성 또는 무효성을 구성하는 일련의 법칙을 의미한다.
NCTM에서 제시한 수학 교수 변화 가이드라인은 학습자에게 어떠한 것을 강조하였는가?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NCTM은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1991)를 통해 수학 교수에서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 그 중에서 Professional Standards는 수학 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해 아는 것을 강조하였고 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예비교사 교육과 지속적인 교사교육을 통해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Hill et al.
교사지식을 개념화 시 어떻게 나뉘는가? 바람직한 교수를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에 대해 처음 체계적으로 개념화한 사람은 Shulman(1986)이다. 그는 특정 교과에 국한하지 않고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적 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교사지식을 개념화하였다. 한편 미국수학교사회(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이하 NCTM)는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tics(1989)를 편찬하여 학교수학이 전통적인 수학 교수·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인 수학적 문제해결, 의사소통, 수학적 연결성, 수학적 표현,추론 능력 등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ang, M. B., Kang, H. K., Kim, S.M., Nam, J. Y., Park, K. S., Park, M. H., Seo, D. Y., Song, S. H., You, H. J., Lee, J. Y., Lim, J. H., Chung, D. K., Chung, E. S. & Chung, Y. Y. (2013).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Seoul: Kyungmoon Publishers. 

  2. Kang, H. Y., Ko, E., Kim, T. S., Cho, W. Y., Lee, K., & Lee, D. (2011).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and persp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3(4), 633-649. 

  3. Ko, J. (2010). Textbook analysis about length estimation and exploration for an alternative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4(3), 587-610. 

  4. Kim, J. S. (2018). Interpretation of Teacher Knowledge in Geometry with Shulman?Fischbein Framework: Cases of US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21(2), 113-139. 

  5. Park, K. (2016).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2), 269-285. 

  6. Park, H. (2003). The consideration on the papers about geometry education: centered on the papers in for the recent 1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 42(2), 193-202. 

  7. Shin, H. Y., & Lee, J. W. (2004). Research on knowledge of mathematics teacher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8(1), 297-308. 

  8. Shim, S. K. (2013).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bout teacher knowledge.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2), 443-457. 

  9. Oh. Y. (2012). A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6(3), 389-401. 

  10. Oh, H. M. & Kwon, O. N. (2013). The study on the proc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generating conter-examples and proposing true statements.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6(5-6), 401-416. 

  11. Woo, J. H. (2004). Principle and method of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2. Lee, D. H. (2014).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process in intuitive stages. School Mathematics, 16(4), 691-708. 

  13. Jeon, M. & Kim, G. (2015). Measuring and analyzing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5(4), 691-715. 

  14. Choe, S. & Hwang, H. (2008). The research on pa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1(4), 569-593. 

  15. Choi, Y., Choi, S., & Kim, D. (2014). An investigation of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PCK and teaching practices: Middle school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2), 251-274. 

  16. Han, H. (2016).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Commun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30(1), 101-120. 

  17. Clements, D. H. & Battista, M. T. (1992). Geometry and spatial reasoning.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420-464). New York: Macmillan. 

  18. Cooney, T. J., Sanchez, W. B., Leatham, K., & Mewborn, D. S. (n.d.). Open-ended assessment in math. Retrieved March 17, 2018, from http://books.heinemann.com/math/index.cfm 

  19. Fischbein, E. (1994).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ormal, the algorithmic, and the intuitive components in a mathematical activity. In R. Biehler, R. W. Scholz, R. Strasser & B. Winkelmann (Eds.), Didactics of mathematics as a scientific discipline (pp. 231-245).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372-400. 

  21. Manizade, A. (2006). Designing measures for assessing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geometry and measurement at the middle school lev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tics. Reston, VA: Author. 

  24.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5. Tsamir, P., & Tirosh, D. (2008). Combining theories in research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ZDM Mathematics Education, 40, 861-872. 

  26. Wilson, P. S., Cooney, T. J., & Stinson, D. W. (2005). What constitutes good mathematics teaching and how it develops: Nine high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8, 83-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