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워터프론트 도시의 리질리언트 공간계획
A Planning Direction of Resilient Waterfront City considering Technological and Social Meaning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4 no.3 = no.41, 2018년, pp.352 - 359  

이금진 (Division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최진희 (Dept. of Architecture,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속히 진행되는 온난화로 인해 발생되는 예측 불가한 기상이변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뿐 아니라 재난재해 위기 시 및 복구 중에도 도시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사후 회복과 안정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술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에서 리질리언스 이론을 살펴보고 네덜란드의 리질리언트 정책과 전략을 통해 워터프론트 공간의 리질리언트 계획방안을 모색한다. 연구결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홍수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지역 특성에 따른 예방계획 및 재해 후 도시기능 유지방안과 재해재난 위험을 고려한 공간계획 수립 및 홍수위험수준을 고려한 계획방안은 워터프론트 이용을 위한 토지이용과 사회적 성장 동반, 지역특성을 고려한 재난재해 취약성을 고려한 계획, 재난재해위험을 고려한 물관리 계획 등이다. 결론: 도시공간을 창출함에 있어 기존의 공간계획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대응한 새로운 도시개발방식이 필요하며, 특히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워터프론트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리질리언스 전략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strategy of planning water management and land use in response to abnormal weather which allow waterfront to be the cit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Netherlands resilient project. Method: A planning direction is developed based on Dutch national resilient po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네덜란드는 1950년대 북해범람에 의해 재해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예측할 수 없는 규모의 재해로 인해 1953년 북해가 범람하여 대대적인 피해를 입게 되면서 물의 양을 조절하고 담수공급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였고, 댐 건설을 통해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물관리와 공간계획의 상호적응을 통하여 재해 시 급속한 복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물관리 근대화에 관한 범위의 산정을 도모하고 범람, 침수, 물 부족을 해결하고, 물순환의 화학적, 생태학적 상황을 보호·개선 등을 추구하였으며, 해수면 상승, 지반침하, 가뭄 및 홍수와 관련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충분한 담수공급계획, 높은 수역에서의 저지대 보호 등 재난 예방과 새로운 접근법에 중점을 두고 물 안전 지표 구축과 농업, 산업 및 자연을 위한 담수 사용 가능성을 확대시킴으로써 기후에 강하고 물에 안전한 여유 공간을 계획하였다.
  • 유럽 전 지역과 북해로 이어지는 도시의 인프라가 형성되고 있어 물 관리 계획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네덜란드의 델타지역은 재난 및 재해가 발생할 경우 주변 국가 및 도시로 확대되어 연속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네덜란드의 물 관리는 유럽 전 지역의 재난재해위험과 직결된다(EU Water Framework Directive, European Parliament·Council Guidelines o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the Flood Risk, White Paper Adapting to climate change: Towards a European framework for action, 2000). 델타지역과 북해 연안과 맞닿은 도시들의 물 관리계획은 중요했으며, 홍수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한 9세기경부터 생존을 위해 지속적으로 물과 연관되어 토지를 이용하고 제어하는 방식을 구축하고자 했다. 댐 건설 및 담수호 조성 등 물 관리 정책 및 간척과 수자원 관리사업을 통한 습지 개간작업 및 해안 제방을 건설하는 등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물 관리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속히 진행되는 온난화로 인해 발생되는 예측 불가한 기상이변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뿐 아니라 재난재해 위기 시 및 복구 중에도 도시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회복성과 안정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시공간을 창출함에 있어 기존의 공간계획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대응한 새로운 도시개발방식이 필요다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술적 부문과 사회적 부분을 통합한 리질리언트 계획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특히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워터프론트의 기술적 사회적 특성에 따른 토지이용과 물관리 측면에서의 리질리언스 전략을 제안하도록 한다.
  • 본 연구는 급속히 진행되는 온난화로 인해 발생되는 예측 불가한 이상기후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 및 재난재해 위기 시 및 복구 중에도 도시의 기능을 유지하하기 위한 회복성과 안정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시작되었다. 도시공간을 창출함에 있어 기존의 공간계획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대응한 새로운 도시개발방식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술적부문과 사회적 부분을 통합한 리질리언트 계획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워터프론트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기술·사회적 측면의 리질리언스 전략을 제안하고자 네덜란의 리질리언트 프로그램을 파악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홍수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지역 특성에 따른 예방계획 및 재해 후 도시기능 유지방안과 재해재난 위험을 고려한 공간계획 수립 및 홍수위험수준을 고려한 계획방안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속히 진행되는 온난화로 인해 발생되는 예측 불가한 기상이변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뿐 아니라 재난재해 위기 시 및 복구 중에도 도시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회복성과 안정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시공간을 창출함에 있어 기존의 공간계획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대응한 새로운 도시개발방식이 필요다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술적 부문과 사회적 부분을 통합한 리질리언트 계획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 본 연구는 급속히 진행되는 온난화로 인해 발생되는 예측 불가한 이상기후에 대한 사전 대응방안 및 재난재해 위기 시 및 복구 중에도 도시의 기능을 유지하하기 위한 회복성과 안정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시작되었다. 도시공간을 창출함에 있어 기존의 공간계획방식을 넘어 이상기후에 대응한 새로운 도시개발방식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술적부문과 사회적 부분을 통합한 리질리언트 계획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에서 리질리언스 이론을 살펴보고 네덜란드의 리질리언트 프로그램과 도시적용사례를 통해 워터프론트 리질리언트 계획방안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안한다. 네덜란드에서 리질리언트 시스템이 필요했던 원인을 파악하고 홍수관리 프로그램과 델타프로그램, 국가워터플랜에 이르는 재난재해 대응 전략을 분석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사회적 관점에서 출발하기 시작한 리질리언스 개념이 심리학과 경영과학, 생태학, 재난재해, 위기관리 등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한국은 어떤가? 사회적 관점에서 출발하기 시작한 리질리언스 개념이 심리학과 경영과학, 생태학, 재난재해, 위기관리 등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사회기반시설과 친환경 녹색성장을 통해 지구온난화에 대비하기 위한 지속가능성과 사후관리로서 방재기술분야에 한정된 위기관리 정책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위기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고 일시적인 재난재해 상황에 도시기능을 마비시키지 않고 유지하기 위한 리질리언트 개념보다는 여전히 지속가능성과 방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도시의 지속가능 개념이 무엇으로 확대되면서 기존의 탄소제로, 제로에너지빌딩, 녹색성장, 친환경 등의 지속가능성은 기후변화, 재난재해, 에너지, 생태계, 건강, 안전, 구호 식품, 수자원, 거주환경 등 보다 폭넓은 리질리언트 개념으로 성장하고 있는가? 최근 세계적으로 도시, 환경, 인프라, 에너지, 물, 생태계, 보건 등 이상기후에 의한 지구환경 문제들이 심각해지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도시의 지속가능 개념이 재난·재해로 확대되면서 기존의 탄소제로, 제로에너지빌딩, 녹색성장, 친환경 등의 지속가능성은 기후변화, 재난재해, 에너지, 생태계, 건강, 안전, 구호 식품, 수자원, 거주환경 등 보다 폭넓은 리질리언트 개념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상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뉴욕, 방콕, 멜버른, 뉴올리언스 등 세계 100대 도시협약을 구축하여 도시위협요소 즉, 기후변화, 해안과 조류, 경제적 불평등, 환경파괴, 위험물사고, 허리케인, 교육시스템 부족, 대중교통 시스템 부족, 저가주택 부족, 인프라의 장애, 사회적 응집력의 부족, 빈곤, 질병, 폭동과 시민안전 불안, 에너지 불안, 강우와 홍수, 해수면 상승과 연안침식 등의 요소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하고, 물 관리 시스템, 사회기반시설 및 녹색 성장을 통해 홍수와 가뭄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리질리언트 정책이 제안되고 있으며 재난재해 피해 완화를 위한 안전관리 규정과 민관협력을 통해 이행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세계적으로 도시, 환경, 인프라, 에너지, 물, 생태계, 보건 등 이상기후에 의한 지구환경 문제들이 심각해지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도시의 지속가능 개념이 재난·재해로 확대되면서 기존의 탄소제로, 제로에너지빌딩, 녹색성장, 친환경 등의 지속가능성은 기후변화, 재난재해, 에너지, 생태계, 건강, 안전, 구호 식품, 수자원, 거주환경 등 보다 폭넓은 리질리언트 개념으로 성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noud Molenaar (2011). Rotterdam Climate Poof Connecting Water with Opportunities, World Water Week in Stockholm. 

  2. Bart Orr Amy Stodghill, Lucia Candu (2007). The Dutch Experience in Flood Management: A History of Institutional Learning, Global Report on Human Settlements. 

  3. Louise K. (2013). Designing Resilienc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4. EU Water Framework Directive (2000). European Parliament.Council Guidelines o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the Flood Risk. 

  5. Flood Risk Reduction in the Netherlands: The Room for the River project (2013) UNISDR Scientific and Technical Advisory Group Report. 

  6. Gemeente Nijmegen (2011). Room for the River Wall Nijmegen, Municipality of Nijmegen. 

  7. Grover Himans (2014). Planning for Community Resilience, Island Press. 

  8. Ian Dennis, Gert-Jan Meulepas (2016). Room for the River Waal: Restoring rivers the Dutch way, 17th RRC Annual Network Conference. 

  9. Ingwer de Boer, programme director Room for the River Programme (2011). Mekong River Commission, www.ruimtevoorderiveier.nl. 

  10. JaapJan Zeeberg (2009). Willem de Melker, Flood control in the Netherlands, Rijnland Water Control Board. 

  11. Jos Van Alphen (2014). The Delta Programme and Updated Flood Risk Management Policies in the Netherlands,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lood Management. 

  12. K. Lee (2017). New Strategies for Resilient Planning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for Urban Development, Elsevier Procedia. 

  13. Met Andere Woorden, Kris Kras Desgn, Dick Brouwers, Bert Boekhoven (2006). Studio Diender, Mijs+ van der Wal, Spatial Planning Key Decision 'Room for the River', Ministry of Transport, Public Works and Water Management. 

  14. Ministry of Infrastructure and the Environment (2014). Ministry of Economic Affairs, Draft National Water Plan 2016-2021,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15. The Netherlands' Water Policy & Program Implementation: Issues & Challenges (2008). George peters, Royal Haskoning DHV. 

  16. Tailor Made Collaboration, Room for the Riverr Facts and Figures (2013). Rijkswaterstaat Room for the River. 

  17. Working Together with Water (2008). Findings of the Delta Commissie, Delta Committee, www.deltacommissie.com. 

  18. 2009-2015 National Water Plan (2009). The Hagu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