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Design Strategies and Processes through the Concept of Resilienc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5, 2018년, pp.44 - 58  

최혜영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서영애 (기술사사무소 이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는 기후 문제로 인한 자연 재해뿐 아니라, 사회나 경제적으로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기존의 단순한 재건 방식으로는 도시나 지역의 총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회복탄력성을 의미하는 리질리언스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실행 중인 주요 도시 프로젝트의 주제도 리질리언스다. 리질리언스 개념의 설계는 일시적인 유행이라기보다 도시 공간의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설계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여 리질리언스 설계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리질리언스 설계에는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기존 설계와는 다른 과정적 특성은 무엇인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사례로는 2013년 '리빌드 바이 디자인' 공모와 2017년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를 다룬다.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설계안 분석으로 이루어지며, 설계안 분석은 리질리언스 이론을 적용한 내용적 분석과 설계프로세스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이론과 기존 연구를 통해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설계안을 분석하고, 일반적인 설계 프로세스에 대응하여 리질리언스 설계의 과정적 특성을 분석한다. 도시 리질리언스의 이론을 토대로 분석의 주요 범주를 Urban Infrastructure, Social Dynamics, Economic Dynamics, Health & Wellbeing, Governance Networks, Planning & Institutions로 구분하였다. 각 팀별로 리질리언스 개념의 어떤 측면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는지, 그에 따른 설계 전략은 무엇인지를 고찰했다. 6개 항목의 대부분을 설계 전략과 연결시킨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내용적인 측면에서 주민 및 이해관계자와 함께 연구하고 설계하는 거버넌스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설계 과정적 특성으로는 사업 이전 단계에서 전 과정을 계획한 점, 기후 변화 외에도 예상 가능한 사회 경제적 위험 요소를 분석한 점, 경관 중심의 통합적 설계를 지향한 점, 구체적인 운영 및 예산 계획으로 지속가능한 실행 전략을 수립한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리질리언스 개념을 설계 전략으로 연결하고자 한 점, 리질리언스 설계과정의 특성을 도출하여 실천적인 방법론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재해지역 외에도 여러 유형의 도시 공간에 리질리언스 개념을 적용한 설계 전략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ies face new challenges not only in natural disasters by climate change but also in social and economic fluctuations. With the existing simple reconstruc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overall problems that a city or region may face. As a new approach to cope with various changes, the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리어 섬 리질리언시의 목적은? 2016년 스토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Stoss Landscape Urbanism with Kleinfelder+ONE Architecture+ Woods Hole Group) 또한 미국 동보스턴 및 찰스타운 해안 리질리언스를 위한 해결 방안 보고서를 낸 바 있다. 2017년 전미 조경가협회(ASLA) 분석 및 계획 부분 수상작인 스튜디오 아웃사이드의 배리어 섬 리질리언시(Barrier Island Resiliency)도 2008년 허리케인이 텍사스 연안을 강타하고 난 뒤 폐허가 된 갤버스턴 섬 주립 공원을 새로운 비전으로 재건하고자 한 프로젝트다.
리질리언스란? 단일한 방법으로는 도시나 지역의 총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리질리언스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미국 국가재난 복구 프레임에서 정의하는 리질리언스란 ‘위험 요소 경감 및 토지이용 계획 전략, 중요 기간 시설 및 환경의 보존, 문화자원의 보호, 건조 환경을 재구축하고, 경제, 사회, 자연 환경을 되살리기 위한 지속가능한 실행’을 말한다(www.rebuildbydesign.
리질리언스 개념이 등장하게 된 계기는? 자연 재해나 사회 경제적인 변화는 점점 예측 불가능하며, 그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는 도시나 한 지역을 위험에 빠트릴 정도로 위협적이다. 단일한 방법으로는 도시나 지역의 총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리질리언스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dger, W. N.(2000) Social and ecological resilience: are they related?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4(3): 347-364. 

  2. ARUP(2015) City Resilience Framework 2015. The Rockefeller Foundation/ARUP(www.rockefellerfoundation.org/report/city-resilience-framework/) 

  3. Barata-Salgueiro, T. and F. Erkip(2014) Retail planning and urban resilience: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Cities 36: 107-111. 

  4. Berkes, F. and C. Folke(1998) Linking Social and Ecological Systems: Management Practices and Social Mechanisms for Building Resil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5. Community & Regional Resilience Institute(2013) Definitions of Community Resilience: An Analysis. A CARRI Report. 

  6. Cunningham, K.(2013) Resilience theory/A Framework for Engaging Urban Design, Master's Thesis. Kansas State University. USA. 

  7. Desouza, K. C. and T. H. Flanery(2013) Designing, planning, and managing resilient cities: A conceptual framework. Cities 35: 89-99. 

  8. Folke, C.(2006) Resilience: The emergence of a perspective for socialecological systems analys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6(3): 253-267. 

  9. Foster, H. D.(1997) The Ozymandias Principles: Thirty-one strategies for Surviving Change. Victoria, Canada: UBC Press. 

  10. Godschalk, D. R.(2003) Urban hazard mitigation: Creating resilient cities. Natural Hazards Review 4(3): 136-143. 

  11. Graugaard, J. C.(2012) A tool for building community resilience? A case study of the Lewes Pound. Local Environment 17: 243-260. 

  12. Han, D. G.(2017) A Resilience Approach to Constructing Analysis System of Regional Resilience: Focused on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Korea.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Korea. 

  13. Holling, C. S.(1973)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Annual Review of Ecological Systems 4: 1-23. 

  14. Holling, C. S.(1996) Engineering Resilience Versus Ecological Resilience. In P. C. Schulze, eds., Engineering within Ecological Constraints. Washington, D. C., USA: National Academy Press. pp. 31-43. 

  15. Jung, E. J., B. H. Jeong and J. M. Na(2016)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of ci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8(4): 87-108. 

  16. Jung, J.(2018) Mak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in urban hazard mitigation.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62(2): 37-40. 

  17. Kang, H. C. and C. K. Lee(2017) Diagnosi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erms of the urban resilience perspectives. GRI Review 19(1): 359-386. 

  18. Kim, M., H. M. Lee, D. G. Cho and J. Chon(2017) Dynamics of water level for enhancing resilience of social ecological system in upo wetland.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7(1): 28-30. 

  19. Klein, R. J. T., R. J. Nicholls and F. Thomalla(2003) Resilience to natural hazards: How useful is this concept? Environmental Hazards 5(1): 35-45. 

  20. Lee, H. M.(2018)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or Enhancing Urban Resilience to Floods.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Korea. 

  21. Lee, J. H.(2014) Resilient Operation System for Large Parks.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2. Lee, S. H. and J. K. Kim(2018)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resilient city criteria for adopting resilient city model: Focused on Hamburg Water Cycle Jenfelder Au, German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9(1): 113-126. 

  23. Marshall, S.(2012) Planning, design and the complexity of cities. In J. Portugali, H. Meyer, E. Stolk, & E. Tan, eds., Complexity Theories of Cities have come of Age. Berlin and Heidelberg: Springer-Verlag. pp. 191-205. 

  24. Meerow, S. and J. P. Newell(2015) Resilience and complexity: A bibliometric review and prospects for industrial ecology. Journal of Industrial Ecology 19(2): 236-251. 

  25. Meerow, S., J. P. Newell and M. Stults(2016) Defining urban resilience: A review.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7: 38-49. 

  26. Pimm, S. L.(1991) The Balance of Nature? Chicago, Illinois, US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Pyo, H. J.(2017) A Study on the Strategy and Urban Design Method for Strengthening Urban Resilience,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8. Resilience Alliance(2007) Urban Resilience Research Prospectus, A Resilience Alliance Initiative for Transitioning Urban Systems towards Sustainable Futures. 

  29. Sharifi, A. and Y. Yamagata(2014) Resilient urban planning: Major principles and criteria, Energy Procedia 61: 1491-1495. 

  30. Song, H. S.(2018) Community Resilience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Adaptive Cycle: Focused on Jangsu Village in Seoul.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31. Walker, B. and D. Salt(2006) Resilience Thinking: Sustaining Ecosystems and People in a Changing World, Washington, D.C., USA: Island Press. 

  32. Walker, B., C. S. Holling, S. R. Carpenter and A. Kinzig(2004)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Social-ecological Systems. Ecology and Society 9(2): 5. [online] URL: http://www.ecologyandsociety.org/vol9/iss2/art5/ 

  33. Wu, J. and T. Wu(2013) Ecological resilience as a foundation for urban design and sustainability. In S. T. A. Pickett, M. L. Cadenasso, B. McGrath, eds., Resilience in Ecology and Urban Design. Dordrecht, Germany: Springer pp. 211-229. 

  34. Yu, S., S. M. Yoon, E. K. Choi, S. D. Kim and Y. J. Lee(2015) Resilience Cost Estimation of a Mt. Baekdu Eruption Scenario. Journal of KOSHAM 14: 39. 

  35. www.rebuildbydesign.org/ 

  36. www.rebuildbydesign.org/resources/book 

  37. www.resilientbayarea.org/ 

  38. www.rockefellerfoundation.org/about-us/our-history/ 

  39. www.rebuildbydesign.org/data/files/675.pdf 

  40. www.rebuildbydesign.org/data/files/674.pdf 

  41. www.rebuildbydesign.org/data/files/672.pdf 

  42. www.rebuildbydesign.org/data/files/673.pdf 

  43. www.rebuildbydesign.org/data/files/677.pdf 

  44. www.rebuildbydesign.org/data/files/676.pdf 

  45. THEFIELDOPERATIONSTEAM_SOUTHBAYSPONGE_FINALREPORT.pdf 

  46. B+O+SFINAL-PAGES.pdf 

  47. AllBayCollective.pdf 

  48. Common Ground_The Grand Bayway_Final_Design_Roadmap.pdf 

  49. RBD_HASSELL+_FinalReport_31May2018.pdf 

  50. 180531_PublicSediment_FINAL_DesignReport.pdf 

  51. P+SET_FinalReport_Roadmap_wRevisions.pdf 

  52. BionicTeam_RBD_ Final Design Report.pdf 

  53. RbD_HomeTeam_FinalReport-May2018.pdf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