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previous studies on Sasang type-specific pathophysiological symptoms in urination and defecation. Methods Peer-reviewed articles on type-specific pathophysiological symptoms of urination and defecation published until September 2016 were extra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x databases. Clinical characteristics from thirteen extracted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urination domains of appearance of urine, capacity of bladder and urinary discomfort, and three defecation domains of irritability of bowel movement, functional constipation and discomfort from irregularity. Results As for the urination, Tae-Eum type showed dark color with foam, however So-Eum type had frequent urination and sensitivity to dysuria but no nocturia and residual urine sense. As for the defecation, So-Yang type showed frequent urgency and constipation, however So-Eum type reported loose stool. So-Yang type showed varied level of health status depending on defecation irregularity. There were disparities with rectal tenesmus among Sasang types. Discussion Six domains of urination and defecation related type-specific pathophysiological clinical symptoms were provided in this stud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standardized clinical measures of Sasang typology in the near future.
#Sasang typology #urination #defecation #type-specific pathophysiological symptoms #systematic review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상의학에서 기존에 보고된 선행 연구들 중에서 대변과 소변과 관련된 임상연구들만을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분석함으로서 체질별 배설 임상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체계적 고찰 연구는 체질별로 대변과 소변 기능을 알아 볼 수 있는 임상적 기준점을 보다 명료하게 설정하고, 그 기준에 맞춰 체질별 임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객관적 토대를 정립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 체질별 임상 소증에 대한 연구들 중에서 대변 및 소변 특성을 기술한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국내외 의학논문 데이터베이스 6개에 대하여 3명(YGP, HC, NYB)의 독립된 연구자들이 해당되는 학술 논문을 검색하고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년간의 사상 체질별 대소변 기능에 대한 기존의 임상연구 결과들을 6가지의 항목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사상의학의 이론적 토대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체질별 소증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체질 진단과 변증에 중요한 대소변 소증의 임상 지표들을 소변의 성상, 방광의 용적 및 수용력, 배뇨 불편감, 장의 과민성, 기능성 변비, 배변의 규칙성 또는 불규칙성에 따른 불편감의 6가지 범주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하기위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의 임상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건강상태의 길흉을 판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상 체질별 대소변 기능에 대한 기존 선행 임상연구(Table 1)의 결과들을 6개의 항목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다 일반화된 체질별 대소변 소증 특성을 재확인하고 후속연구를 통해 새로운 검사를 개발하는 토대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사상의학 | 사상의학이란? |
한국 한의학의 의학 경험을 유학의 철학적 토대 위에서 재정립한 한국 고유의 맞춤의학
사상의학은 한국 한의학의 의학 경험을 유학의 철학적 토대 위에서 재정립한 한국 고유의 맞춤의학으로1,2,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3을 통해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다. 사상의학에서는 모든 사람을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4가지 체질로 구분하여 진단하고 치료하며 질병 예방법 및 양생법을 제시하는데, 각 체질은 다른 체질과 구별되는 신체적 특성(體形氣像, 容貌詞氣), 심리적 특징(性情), 임상적 소증(素證) 등을 지니고 있다4,5. |
사상의학 | 사상의학에서 체질의 종류는? |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4가지 체질로 구분
사상의학은 한국 한의학의 의학 경험을 유학의 철학적 토대 위에서 재정립한 한국 고유의 맞춤의학으로1,2,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3을 통해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다. 사상의학에서는 모든 사람을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4가지 체질로 구분하여 진단하고 치료하며 질병 예방법 및 양생법을 제시하는데, 각 체질은 다른 체질과 구별되는 신체적 특성(體形氣像, 容貌詞氣), 심리적 특징(性情), 임상적 소증(素證) 등을 지니고 있다4,5. |
소증 | 소증의 영역 중 한계가 있는 영역은? |
선행 임상연구에 있어서 사상체질별 소변 또는 대변에 대한 명료한 임상 특성 분석은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며15, 내원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건강한 상태에서의 평소 증상을 분석함에 한계를 지니고 있었고, 측정에 사용된 검사가 적절한 타당화를 거치지 않았거나, 환자가명료하게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등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았다
그러나 배뇨 및 배변 기능에 대해서는 다양한 임상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대소변 특성에 대한 체계적 임상고찰이나 타당화된 객관적 검사를 사용한 측정 등은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고, 수면이나 소화기능 등과 같은 다른 소증 연구의 부수적인 임상 특성으로만 보고되었을 뿐이었다13,19-21. 선행 임상연구에 있어서 사상체질별 소변 또는 대변에 대한 명료한 임상 특성 분석은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며15, 내원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건강한 상태에서의 평소 증상을 분석함에 한계를 지니고 있었고, 측정에 사용된 검사가 적절한 타당화를 거치지 않았거나, 환자가명료하게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등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았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