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방풍 유래 화합물 3′,4′-Disenecioylkhellactone의 위암세포에서 STAT3 활성화 억제를 매개로 하는 세포사멸 유도작용
3′,4′-Disenecioylkhellactone from Peucedanum japonicum Thunb. Induces Apoptosis Mediated by Inhibiting STAT3 Signaling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9 no.3, 2018년, pp.225 - 230  

천재무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김진웅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김영식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3',4'-Disenecioylkhellactone is one of khellactone-type coumari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However, its pharmacological effects are still little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3',4'-disenecioylkhellactone on growth of gastric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위암세포주에서 3′,4′-disenecioylkhellactone에 의한 STAT3 신호전달 억제작용 - 4가지 인체유래 위암세포인 AGS, SNU-638, KATO III, MKN-45를 대상으로 3′,4′-disenecioylkhellactone에 의한 세포성장 저해효능과 STAT3 인산화 억제작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방풍의 지표성분인 3',4'-disenecioylkhellactone을 대상으로 위암세포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위암세포인 AGS에서 식방풍의 지표성분 중의 하나인 3′,4′-disenecioylkhellactone를 대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및 그 기전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암의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위암은 동아시아, 남미, 동유럽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특히 한국인의 위암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실제로 2015년 한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이었으며,3) 암의 발병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위암의 예방 및 국가차원에서의 지속적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4) 위암의 주요 치료는 외과적 수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재발 또는 전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항암 화학적 요법이 병행된다.
위암의 특징은 무엇인가? 위암은 동아시아, 남미, 동유럽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특히 한국인의 위암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실제로 2015년 한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이었으며,3) 암의 발병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위암의 예방 및 국가차원에서의 지속적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식방풍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식방풍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재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약용 및 식용으로 활발히 재배되고 있는 유용식물이다. 한방에서 방풍의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잎과 줄기를 방풍나물이라 하여 산채 또는 나물로서 식용하고 있다.8,9) 주요 성분은 쿠마린류의 khellactone 유도체이며,10) 혈소판 응집 억제, 염증 억제, 비만 억제 등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11-13) 암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ung, W. K., Wu, M. S., Kakugawa, Y., Kim, J. J., Yeoh, K. G., Goh, K. L., Wu, K. C., Wu, D. C., Sollano, J., Kachintorn, U., Gotoda, T., Lin, J. T., You, W. C., Ng, E. K., Sung, J. J. and Asia Pacific Working Group on Gastric Cancer (2008)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in Asia: current evidence and practice. Lancet Oncol. 9: 279-287. 

  2. Washington, K. (2010) 7th edition of the AJCC cancer staging manual: stomach. Ann. Surg. Oncol. 17: 3077-3079. 

  3. Jung, K. W., Won, Y. J., Kong, H. J., Lee, E. S. and Community of Population-Based Regional Cancer Registries (2018)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5. Cancer Res. Treat. 50: 303-316. 

  4. Eom, B. W., Joo, J., Kim, S., Shin, A., Yang, H. R., Park, J., Choi, I. J., Kim, Y. W., Kim, J. and Nam, B. H. (2015) Prediction model for gastric cancer incidence in Korean population. PLoS One 10: e0132613. 

  5. Smyth, E. C., Verheij, M., Allum, W., Cunningham, D., Cervantes, A. and Arnold, D. (2016) Gastric cancer: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Ann. Oncol. 27: v38-v49. 

  6. Yu, H. and Jove, R. (2004) The STATs of cancer-new molecular targets come of age. Nat. Rev. Cancer 4: 97-105. 

  7. Chai, E. Z., Shanmugam, M. K., Arfuso, F., Dharmarajan, A., Wang, C., Kumar, A. P., Samy, R. P., Lim, L. H., Wang, L., Goh, B. C., Ahn, K. S., Hui, K. M. and Sethi, G. (2016) Targeting transcription factor STAT3 for cancer prevention and therapy. Pharmacol. Ther. 162: 86-97. 

  8. Son, H. K., Kang, S. T., Jung, H. O. and Lee, J. J.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20: 628-635. 

  9. Kim, S. J., Chin, Y. W., Yoon, K. D., Ryu, M. Y., Yang, M. H., Lee, J. H. and Kim, J. (2008) Chemical Constituents of Saposhnikovia divaricata. Kor. J. Pharmacogn. 39: 357-364. 

  10. Hong, M. J. and Kim, J. (2017) Determination of the absolute configuration of khellactone esters from Peucedanum japonicum roots. J. Nat. Prod. 80: 1354-1360. 

  11. Chen, I. S., Chang, C. T., Sheen, W. S., Teng, C. M., Tsai, I. L., Duh, C. Y. and Ko, F. N. (1996) Coumarins and antiplatelet aggregation constituents from Formosan Peucedanum japonicum. Phytochemistry 41: 525-530. 

  12. Jung, H. K., Sim, M. O., Jang, J. H., Kim, T. M., An, B. K., Kim, M. S. and Jung, W. S. (2016) Anti-obesity effec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L. on 3T3-L1 cell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Korean J. Plant Resour. 29: 1-10. 

  13. Zheng, M., Jin, W., Son, K. H., Chang, H. W., Kim, H. P., Bae, K. H. and Kang, S. S. (2005) The constituents isolated from Peucedanum japonicum Thunb. and their cyclooxygenase (COX) inhibitory activity. Korean J. Med. Crop Sci. 13: 75-79. 

  14. Nunez, G., Benedict, M. A., Hu, Y. and Inohara, N. (1998) Caspases: the proteases of the apoptotic pathway. Oncogene 17: 3237-3245. 

  15. Fan, T. J., Han, L. H., Cong, R. S. and Liang, J. (2005) Caspase family proteases and apoptosis. Acta Biochim. Biophys. Sin. 37: 719-727. 

  16. Blume-Jensen, P. and Hunter, T. (2001) Oncogenic kinase signalling. Nature 411: 355-365. 

  17. Jing, N. and Tweardy, D. J. (2005) Targeting Stat3 in cancer therapy. Anticancer Drugs 16: 601-607. 

  18. Gritsko, T., Williams, A., Turkson, J., Kaneko, S., Bowman, T., Huang, M., Nam, S., Eweis, I., Diaz, N., Sullivan, D., Yoder, S., Enkemann, S., Eschrich, S., Lee, J. H., Beam, C. A., Cheng, J., Minton, S., Muro-Cacho, C. A. and Jove, R. (2006) Persistent activation of stat3 signaling induces survivin gene expression and confers resistance to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Clin. Cancer. Res. 12: 11-19. 

  19. Xu, D. and Qu, C. K. (2008)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in the JAK/STAT pathway. Front. Biosci. 13: 4925-49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