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통계적 소양으로서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의 의의 분석: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Data as Statistical Literacy: Focusing o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3, 2018년, pp.221 - 240  

탁병주 (경상남도교육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의 학교 통계교육 개선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현행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 1~2학년군에서 다루고 있는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통계적 소양 교육의 실천을 위한 핵심 개념으로서 통계적 문제해결과 변이성을 바탕으로 자료의 분류와 표현 활동이 지니는 의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은 통계적 문제해결을 위한 기능 외에, 변이성을 인식하고 분포를 표현하여 자료 정리 과정에서 자료의 의미를 구성하는 통계적 소양으로서 의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의는 실용 통계교육을 지향하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및 교과서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다루어지는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을 통계적 소양 교육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data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s which have been rarely addres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 analyze the significance of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sata in terms of statistical problem solving and va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0).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초등학교 1~2학년군에서 다루어지는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이 통계적 소양 교육으로 구현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이 지니는 통계교육적 의의를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에 따라 실용통계교육을 지향하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함의를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외 초등학교 내용 영역을 대상으로 한 통계교육 연구들은 대부분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를 학습한 초등학교 4학년 이후에 집중되어 있다.
  • 그러나 초등학교 1~2학년군은 학교수학으로서 통계에 대한 학습이 최초로 이루어지는 입문 시기인 만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통계적 소양 교육’으로서의 의의를 살리기 위해서는 이 시기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소양으로서 초등학교 1~2학년군에서 주로 다루는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이 지니는 통계교육적 의의를 고찰한 후,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살펴보면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 통계교육에서의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는 향후 초등학교 1~2학년군 통계 교수-학습에서 교사가 유념해야 하는 주안점 및 향후 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제공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초등학교 1~2학년군에서 다루어지는 자료의 분류와 표현 활동이 지니는 의의를 조명하는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이 통계 수업을 통해 자료를 분류하고 표현하는 활동을 경험하는 것이 어떠한 교육적 의의를 지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교과서 과제와 함께 비교하면서,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의 통계적 소양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 지금까지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수업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의 통계교육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자료를 분류하고 표현하는 활동은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중 자료 분석 단계의 초기에 이루어지는 기초적인 기능을 습득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이성이란? 변이성이란 자료 내에 존재하는 변화가능성을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 어떤 삼각형을 선택하더라도 유클리드 공리계 내에서는 세 내각의 합이 180°이므로 수학에서는 변이성이 연구의 대상일 수 없다.
통계학에서 변이성의 인식이란 어떤 의미를 내포하나? 따라서 어떤 통계적 현상에 존재하는 변이성의 인식이 곧 통계적 사고의 시작이자 통계학의 토대가 된다(Pfannkuch & Wild, 2010). 이때, 변이성의 인식은 바로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중 자료의 수집 단계에서 필요한 통계적 사고이자 자료 분석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변이성의 존재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 이를 의도적으로 인식하고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Wild & Pfannkuch, 1999, p.
통계적 소양이란? 통계적 소양(statistical literacy)은 오늘날 통계교육의 목표로서 ‘자료를 다루는 기능’으로서의 전통적이고 사전적인 의미(Ben-Zvi & Garfield, 2010)를 벗어나, 통계적 추론, 사고를 아우르는 포괄적이고 핵심적인 역량(delMas, 2002)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민주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시민의식(citizenship)의 함양으로서 ‘소양 교육’이 학교에서 강조됨에 따라(UNESCO, 2005), 통계적 소양 역시 비판적이고 민주적인 소양으로서 오늘날 학교수학에서 반드시 추구되어야 하는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Weiland,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김정자,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예, 이상배 (2015).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2. 고은성 (2012). 통계적 변이성 사고 요소 간의 관계 연구. 학교수학, 14(4), 495-516. 

  3.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자미, 하병수, 정승호, 지영명, 김은하, 홍창섭, 탁병주 (2017). 실용통계 교육을 위한 교사용 가이드북.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8]. 

  5. 교육과학기술부 (2013a).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6. 교육과학기술부 (2013b).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8. 교육부 (2017a).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9. 교육부 (2017b).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10. 교육부 (2017c).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1. 김상룡 (2009). 초등 통계 교육의 문제점 및 그 해결방안. 초등수학교육, 12(2), 133-143. 

  12. 박경미 외 43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연구보고 BD15120005, 한국과학창의재단, 서울. 

  13.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14. 방정숙, 유은서, 김유경 (2016). 통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정보처리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3), 499-519. 

  15.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16. 신보미 (2014). 교사들의 수업 분석 특징에 대한 연구: 통계 지도를 위한 교사 지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6(3), 519-542. 

  17. 우정호 (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18. 우정호 (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 이영하 (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 이영하, 태성이 (2009). 수학과 수학교육학의 학문학적 비교연구: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4), 493-511. 

  21. 탁병주 (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표본 개념 지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탁병주, 이경화 (2017).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23. Ben-Zvi, D., & Garfield, J. (2010).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 목표, 정의, 난제.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지은정,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동환, 이은경, 이정연, 박민선, 박미미 역) (pp. 3-17).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년 출판). 

  24. delMas, R. C. (2002).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learning: A commentary.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0(3). [Online] 

  25. Franklin, C. A., Bargagliotti, A. E., Case, C. A., Kader, G. D., Scheaffer, R. L., & Spangler, D. A. (2015). The 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6. Franklin, C. A., Kader, G. D.,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7.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28. Garfield, J. B., & Ben-Zvi, D. (2008). Developing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Connecting research and teaching practice. New York: Springer. 

  29. Konold, C., & Higgins, T. (2002). Highlights of related research. In S. J. Russell, D. Schifter, & V. Bastable (Eds.), Developing mathematical ideas: Working with data (pp. 165-201). Parsippany, NJ: Seymour Publications. 

  30. MacKay, R. J., & Oldford, W. (1994). Stat 231 course notes (fall 1994). Waterloo: University of Waterloo. 

  31. Makar, K., & Rubin, A. (2009).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8(1), 82-105. 

  32. Moore, D. S. (1992). Teaching statistics as a respectable subject. In F. Gordon & S. Gordon (Eds.). Statistic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p. 14-25).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ation of America. 

  33. Moore, D. S., & Cobb, G. (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 801-823. 

  34. Moore, D. S., & Notz, W. I. (2009). 논쟁거리로 배우는 통계학 (심규박, 조태경, 신미영 역).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영어 원작은 2006년 출판). 

  3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0년 출판). 

  36. Pfannkuch, M., & Wild, C. (2010). 통계적 사고의 이해.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지은정,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동환, 이은경, 이정연, 박민선, 박미미 역) (pp. 19-54).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년 출판). 

  37. Remillard, J. T., & Heck, D. J. (2014). Conceptualizing the curriculum enactment process in mathematics education. ZDM, 46(5), 705-718. 

  38. Sullivan, P., Askew, M., Cheeseman, J., Clarke, D., Mornane, A., Roche, A., & Walker, N. (2015). Supporting teachers in structuring mathematics lessons involving challenging task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8(2), 123-140. 

  39.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2005). Education for all: Literacy for life. Paris: Author. 

  40. Wallman, K. K. (1993).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Enriching our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 1-8. 

  41. Watson, J. M.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박영희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6년 출판) 

  42. Weiland, T. (2017). Problematizing statistical literacy: An intersection of critical and statistical literac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1), 33-47. 

  43. Wild. C. J. (2006). The concept of distribution.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5(2), 10-26. 

  44.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