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정보 이용현황 및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요인
A Study on Related Factors Use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Literacy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in Community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3, 2018년, pp.147 - 157  

이보영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  정수미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관리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취약계층노인의 건강정보원 탐색현황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건강정보원의 탐색정도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지역사회의 종합사회복지관에 방문하는 200명의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의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IBM SPSS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취약노인계층의 건강정보원탐색 중 인터넷을 통한 탐색이 극히 적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월별수입(OR=2.201, p<.05)과 건강정보원 탐색정도(OR=2.989, p<.01)는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노인들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향상을 위해 건강정보 탐색의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향후 노인들의 건강정보 이해능력 향상 프로그램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health literacy levels and to identify health literacy related factors in vulnerable elder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convenience samples. Data collection was done by interviewing questionnair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취약계층 노인의 정보격차를 감소시키며 효율적인 보건정보 제공을 위하여 건강정보 탐색 행태와 이용 경로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는 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며, 이는 보건교육 프로그램 및 노인관련 정책 수립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정보 탐색 현황을 바탕으로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과 그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정보원 탐색 및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수준을 확인하고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 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노인의 건강정보원 탐색현황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건강정보원의 탐색정도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지역사회의 종합사회복지관에 방문하는 200명의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정보원 탐색 현황을 파악하여 이와 관련된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는 지역사회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정보원 탐색현황을 파악하고,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횡단적 설문조사를 이용한 서술적 연구이다.
  •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지역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정보원의 분포를 파악하고, 둘째, 일 지역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 정보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 후, 마지막으로, 일 지역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건강정보원 탐색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 이해능력이란? 노인들은 비교적 접촉하기 용이한 오프라인 정보원의 탐색을 시도하며, 온라인 정보원의 탐색정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이는 노인층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층에서 격차가 더 넓어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8-9]. 한편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은 스스로 자신의 건강문제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고,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서 건강 정보를 찾고,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말하며, 성인의 1/3이 건강정보이해에 어려움을 겪는데 반해 노인은 2/3가 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계층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10].
노인들이 활용하는 건강정보원은 어떻게 구분 되는가? 일반적으로 노인들이 활용하는 건강정보원 (Sources of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온라인 정보원(인터넷)과 오프라인 정보원(개인적 정보원, 대중매체, 전문가, 활자매체)으로 구분된다. 노인들은 비교적 접촉하기 용이한 오프라인 정보원의 탐색을 시도하며, 온라인 정보원의 탐색정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이는 노인층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층에서 격차가 더 넓어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8-9].
디지털 매체를 통한 정보제공의 단점은? 특히 취약계층인 노인의 건강관리에 있어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매체는 건강정보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으나, 실제로 건강정보를 얻고 싶을 때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은 적고 [19-20], 정보 습득에 대한 차이, 보건 정보의 고르지 않은 확산, 검증되지도 않은 정보들의 범람 등 문제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21].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연구에서 사회관계, 질환이나 증상을 중심으로 한 건강상태, 일상생활능력, 그리고 사회심리학적 요인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2016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1960-2015. [cited 2018 January 26]. Available from:http://kosis.go.kr 

  2. Park EA, Lee IS.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Korean J of RuralMed 2009;34(2):256-266 (Korean) 

  3.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National Survey on Korean Older Persons 201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4 

  4. Kim YS, Yoon HJ, Kwon JH, Moon HJ, Lee SK.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Living Alone elderly in Rural Area. Korean J of RuralMed 2002;27(1):65-78 (Korean) 

  5. Lee MS. Nutritional Risk,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Low-Income Elderly Women. Korean J of RuralMed 2012;37(1):12-22 (Korean) 

  6. Kim SH, Lee EJ.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8;38(2):195-203 (Korean) 

  7. Weiss BD, Hart G, McGee DL, D'Estelle S. Health status of illiterate adults: relation between literacy and health status among persons with low literacy skills. J Am Board Fam Pract 1992;5(3):257-264 

  8. Jung TY, Jung KT, Kim YM.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for medical institutions of spine patients and searching outcome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23(3):266-280 (Korean) 

  9.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6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7. 

  10. Aboumatar HJ, Carson KA, Beach MC, Roter DL, Cooper LA. The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esire for participation in helathcare, medical visit communication, and patient reported outcomes among patient with hypertension. J Gen Intern Med 2013;28(11):1469-1476 

  11. Sorensen K, Van den Broucke S, PeliKan JM, Fullam J, Doyle G, Slonska Z, et al. Measuring health literacy in populations:illuminat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 Questionaire(HLS-EU-Q). BMC Public Health 2013;13(1):948. 

  12. Jeong JH, Kim JS.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4;25(1):65-73 (Korean) 

  13. Macabasco-O'Conell A, DeWalt DA, Broucksou KA, Hawk V, Baker DW, Schillinger D, et al.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heart failure-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 Gen Intern Med 2011;26(9):979-986 

  14. Friedman DB, Corwin SJ, Dominick GM, Rose ID. African american men'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about prostate cancer:Why multiple dimensions of health literacy are important in cancer communication. J Community Health 2009;34(5):449-460 

  15. Koo S, Cho JH, Ahn EM, Cho SY, Park HY. Use of health information among older adults : trust and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by gender and reg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6;36(2):454-479 (Korean) 

  16. Balch DC, Tichenor JM. Telemedicine expanding the scope of health care information. J Am Med Inform Assoc 1997;4(1):1-5 

  17. Strode SW, Gustke S, Allen A. Technical and clinical progress in telemedicine. JAMA 1999;281(12):1066-1068 

  18. Jung WS, Kang HG, Suk MH, Kim EH. The use of the internet health information for the elderly.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011;25(1):48-60 (Korean) 

  19. Miller LM, Bell RA.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The influence of age, information trustworthiness, and search challenge. J Aging Health 2012;24(3):525-541 

  20. Lee JY. (2012). A Study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Social Computing Service by the Elderly. J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12;29(1):375-393 (Korean) 

  21. Levy H, Janke AT, Langa KM. Health literacy and the digital divide among older americans. J Gen Intern Med 2015;30(3):284-289 

  2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f the internet:empowering health management in later lif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0 

  23. Nutbeam D. The evolving concept of health literacy. Soc Sci Med 2008;67(12):2072-2078 

  24. Morrell RW, Mayhorn CB, Bennett J. A survey of World Wide Web use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um Factors 2000;42(2):175-182 

  25. Chae YM, Lee SH. The effect of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s and perceived risk on consumer satisfaction in medical service consumer.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0;20(3):138-156 (Korean) 

  26. Kwon MS, Noh GY, Jang JH.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013;27(1):190-202 (Korean) 

  27.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5;22(4):215-22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