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옹기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프린트 문양 및 문화상품 개발
The Development of Print Patterns and Cultural Products Using the Local Culture Resource of Jeju Onggi as a Design Motif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2 no.4, 2018년, pp.689 - 707  

김혜성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유희주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홍희숙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the differences among Onggis made in Jeju and other areas, developed creative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and conducted the consumer evaluation of developed products. First, the 1,063 photos of Onggis made before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were collected and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옹기를 굽는 가마의 형태는 어떻습니까? 옹기를 굽는 가마의 형태는 크게 일자로 곧게 뻗어 내부가 막힘없이 뚫려있는 뺄불통가마(통가마, 통굴가마, 용가마, 굴가마), 가마의 입구가 ‘ㄱ’ 자로 꺾여있는 조대불통가마, 내부가 칸칸이 나누어져 있는 칸가마로 나누어 볼 수 있다(Lee, 2010, 2011; Song, 2004). 제주지역의 가마들은 뺄불통가마에 속하지만 가마를 흙(토석)으로 축조하는 다른 지역과 달리 현무암(돌)으로 축조되며(Jin, 2007; Oh, 2010), 돌들 사이의 틈새를 흙으로 메운다.
지역특산물 및 지역공예품의 대부분이 지니는 단점은 무엇입니까? 국내에서 판매되는 지역 방문 기념품들 대부분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돌로 만든 공예품이거나 농산물이나 수산물에 한정된 지역특산물들이다. 그러나 지역특산물 대부분은 상품가치가 높지만 운반이 어렵고, 지역공예품 대부분은 가격이 저렴하고 운반이 쉽지만 디자인이 조잡하고 실용성이 부족하다. 미국의 하와이안 셔츠, 스코틀랜드의 타탄체크상품, 인도네시아 발리의 바틱염색 상품들에서 볼 수 있듯이 텍스타일 상품들은 지역적 독특성, 운반 용이성, 높은 실용성 등으로 지역문화상품으로 개발가치가 높다.
제주옹기의 성형과정은 어떻습니까? 1>과 같다. 가장 먼저 옹기의 바닥(굽)을 만들고(A), 토림을 올린 후(B) 마음자사주기를 하고(C), 아래 위치한 토림(알토림)을 수레착질하여 형태를 잡은 후(D), 윗토림(E)을 알토림 위에 붙여 다시 수레착질(F)을 한다. 그리고 옹기 윗부분에 마음자사주기를 한 후 배내기를 하고 훌테질을 한다(G). 옹기 입구인 부리는 떡가래모양의 목질로 만들고(H) 밑가새질(I)로 옹기의 굽을 마무리한 후 다시 옹기 겉면 전체를 훌테질 한 후 보로롱문을 만들며(J), 옹기가 완성되면 물레에서 들어내어(K) 가마재임을 한다(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ong, C. B. (2015, October). 제54회 탐라문화제 성황..."문화왕국 신명을 펼쳐라" [A great success of the 54th Tamlamunhwaje..." Kingdom filled with a lot of culture has an exciting time"]. 헤드라인제주 [Headlinejeju]. Retrieved April 14, 2018, from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4412 

  2. Hong, E. S. (2017, October 26). 최단기 제주 방문 내국인 관광객 천만 돌파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ts visiting Jeju is now at the 10 million mark by the shortest]. 제주신보 [Jejusinbo]. Retrieved April 14, 2018, from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1769 

  3. Je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Ed.). (2011). Jeju Onggi-Containing our daily life. Jeju: Author. 

  4.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ds.). (2007). Heobeok and Jeju's pottery.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5. Jin, G. H. (2007). 제주의 옹기 [Jeju Onggi].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6. Jwa, H. K. (n.d). 제주도 옹기장 [The master craftsman of Jeju province]. The Encyclopedia of Seogwipo. Retrieved April 14, 2018, from http://seogwipo.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gwipo&dataType01&contents_idGC04600531 

  7. Kang, C. E. (n.d.). 제주옹기 [Jeju Onggi].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 [The Digital Encyclopedia of Jejusi Culture]. Retrieved April 14, 2018, from http://je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eju&dataType01&contents_idGC00701811 

  8. Kang, S. G. (n.d.). 제주옹기박물관 [The museum of Jeju Onggi]. The Encyclopedia of Seogwipo. Retrieved April 14, 2018, from http://seogwipo.grandculture.net/Contents?localseogwipo&dataType01&contents_idGC04601513 

  9. Kang, S. G. (2005). The study on plastic characterization and decoration element in Korean traditional vessel 'Onggi'.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 1(1), 55-70. 

  10. Kim, J. E. (2017, October 25). 제주옹기 전통을 잇는다 [The traditional culture of Jeju Onggi is inherited through the festival of Jeju Pottery Kilns]. 제주신보 [Jejusinbo]. Retrieved April 14, 2018, from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398 

  11. Kim, K. E., & Hong, H. (2015).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with the image of the spring flowers on Halla Mount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2), 307-322. doi:10.5850/JKSCT.2015.39.2.307 

  12. Kim, S. H. (2006). Study about porous of Korean traditional pottery. Journal of Science of Art & Design, 9, 5-24. 

  13. Ko, S. K. (2012). 자연의 그릇 옹기 [Natural bowl, Onggi]. Seoul: todammedia. 

  14. Lee, H. S. (2010). 옹기장: 중요무형문화재 제96호 [The master craftsman of Onggi: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8]. Seoul: Minsokwon. 

  15. Lee, H. S. (2011). 옹기장: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8호 [The master craftsman of Onggi: Chungcheongnam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8]. Gongju: Minsokwon. 

  16. Oh, C. Y. (2010). 제주문화 제주옹기 [Jeju Onggi as Jeju culture]. Seoul: Solgwahak. 

  17. Oh, J., & Hong, H. (2015).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nd textile designs with the patterns of Jeju Bangstop.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1), 126-144. doi:10.7741/rjcc.2015.23.1.126 

  18. Song, J. S. (2004). 우리나라 옹기 [The Onggi of our country]. Seoul: Dongmoonsun. 

  19.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3). Onggi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eoul: Author. 

  20. Yonsei University Museum. (2002). 고려.조선시대 질그릇과 사기그릇 [Claywares and chinawares in the Kory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Seoul: Author. 

  21. Yoon, S. H., & Hong, H. (2015).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nd textile designs with the patterns of Jeju Chog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1), 45-62. doi:10.29049/rjcc.2015.23.1.45 

  22. Yun, Y. I., & Lee, H. S. (2015). Onggi: Korean traditional earthenware. Seoul: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23. 소비자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은 이색매장 [Unique stores capturing the eyes and heart of consumers]. (2016, November 1). Fashion Channel. Retrieved December 17, 2016, from http://www.fashionchannel.co.kr/main09/news.php?tablepapernews&queryview&uid7485 

  24. 소성 [firing]. (n.d). Doopedia. Retrieved May 17, 2018,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8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