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계산업의 제품혁신 성과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Determinants of Product Innovation in Machinery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427 - 434  

봉강호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박준영 ((주)한성정공) ,  박재민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vitt(1984)과 Malerbar(2002)의 지적과 같이 혁신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른 면모를 갖는다. 이 같은 관점에서 기계산업의 혁신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주로 전체 제조업과 비교한 산업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계산업과 같은 기술 숙련집약적 산업에서의 혁신은 특히 다른 산업의 혁신과 상이한 특성과 메커니즘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 지를 다룸에 있어 제품혁신의 성과를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으로 구분해 접근하였고, 특히 Heckman 2단계 모형과 허들음이항 모형을 적용해 기업의 혁신활동에 수반되는 단계적 선택과정을 명시적으로 분석에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에 있어 제품의 품질 및 성능향상 및 특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문지방효과와 혁신의 강도 역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과적으로 기계산업은 연구개발 역량을 일정 수준 이상 축적하고 외부의 혁신을 효과적으로 조직 내 체화하고, 조직 구성원들에 대한 동기부여가 성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noted by Pavitt (1984) and Malerbar (2002),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differences in industr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achinery industry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This study consider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performance of product innovation i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이론 검토 및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방법을 통해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 지, 특히 제품 혁신 결정과 제품혁신 정도의 결정은 각각 어떠한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제품혁신의 성과를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 또한 고려함으로써 제품혁신 성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접근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산업의 특성을 이론적 검토 와 함께 살펴보고, 실증연구를 통해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지, 특히 제품혁신 결정과 제품혁신 정도의 결정은 각각 어떠한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제품혁신의 성과를 살펴봄에 있어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 또한 고려함으로써 제품혁신 성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론 검토 및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산업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자체생산한 기계장비가 다시 자신의 공정에 투입되어 생산설비로 사용된다는 점에 서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이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와 더불어 보완 관계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계산업을 대상으로 기 술혁신의 선행과정인 제품혁신에 초점을 두고, 그 결정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특히 OECD의 Oslo Manual 4차 개정에서 기술혁신을 기존 제품혁신과 공정 혁신으로 구분한 유형을 통합하여 제품혁신의 포괄적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예정되었다는 점에서 혁신에 대한 최근 논의의 흐름과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17].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산업의 특성을 이론적 검토 와 함께 살펴보고, 실증연구를 통해 기계산업의 제품혁신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는지, 특히 제품혁신 결정과 제품혁신 정도의 결정은 각각 어떠한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제품혁신의 성과를 살펴봄에 있어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 또한 고려함으로써 제품혁신 성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Heckman 2단계 모형과 [18]이 제안한 허들음이항 모형 (binomial negative hurdle model)을 활용하여 기술혁신 결정과 혁신성과의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동시에 규명하고자 한다. 통계적으로 이들은 모두 기술혁신 결정과 기술혁신의 정도가 서로 독립적이라고 가정함으로써 유연성 및 계산상의 단순함을 확보하는 2-부분(two-part) 모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계산업의 특징은? 한편, 기계산업은 전체 제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 는 산업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기계산업이 가지는 중 요성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는데, 먼저 기계산업은 국 가주력산업 제품의 양산수준을 결정하며 경제적 파급효 과가 큰 산업이다[1]. 특히 기계산업에서 생산된 기계설 비는 대부분의 기업들에게 판매되고, 이를 구입한 기업 들은 근로자를 고용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제품 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창출한다[2].
공정혁신이란? 이에 따르면, 제품 혁신은 제품의 특성, 용도와 관련하여 새롭거나 현저히 개선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도입, 사용자의 편의 또는 기타 기능 측면에서 현저한 개선 등을 의미한다. 공정혁신 은 새롭고 현저히 개선된 생산 또는 전달 방식을 의미하 며, 장비 및 소프트웨어 상의 변화를 포함한다.
기계산업의 혁신이 급속한 발전을 시작하게 된 때는 언제인가? 역사적인 관점에서 기계산업의 혁신은 과거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나타났지만, 20세기 후반에 급진적 (radical)으로 일어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20세기 중 반부터 기계기술에 전자기술이 응용된 수치제어기술 (numerical control, NC)이 실용화되면서 기계산업은 급 속한 발전을 이루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K. Lee, K. C. Lim, J. G. Seo, "An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Machinery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9, No.4, pp. 1345-1365, Aug, 2016. 

  2. K. R. Lee, "The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Machinery Industr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Vol.63, pp. 4-19, Jun, 1994. 

  3. K. Pavitt, "Sectoral Patterns of Technical Change: Towards a Taxonomy and a Theory", Research Policy, Vol.13, No.6, pp. 343-373, Dec., 1984. DOI: https://doi.org/10.1016/0048-7333(84)90018-0 

  4. F. Malerba,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and Production", Research Policy, Vol.31, No.2, pp. 247-264, Feb., 2002. DOI: https://doi.org/10.1016/S0048-7333(01)00139-1 

  5. M. S. Freel, "Sectoral Patterns of Small Firm Innovation, Networking and Proximity", Research Policy, Vol.32, No.5, pp. 751-770, May, 2003. DOI: https://doi.org/10.1016/S0048-7333(02)00084-7 

  6. J. P. Hong, E. Y. Kim, "Sectoral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2, pp. 25-53, Dec., 2009. 

  7. M. A. Schilling,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5th ed.,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016. 

  8. OECD, Eurostat,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3nd ed., Paris: OECD Publishing, Nov, 2005. Available From: https://doi.org/10.1787/9789264013100-en. (accessed Jul., 04, 2018). 

  9. J. M. Utterback, W. J. Abernathy, "A Dynamic Model of Process and Product Innovation", Omega, Vol.3, No.6, pp. 639-656, Dec, 1975. DOI: https://doi.org/10.1016/0305-0483(75)90068-7 

  10. A. Tylecote, F. Visintin, Corporate Governance, Finance and the Technological Advantage of Nations, London: Routledge, 2008. 

  11. K. Kwak, J. Park, "Analysis of the Korean Machinery Industry Using Korea's Input-Output Analysi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2, No.1, pp. 179-199, Feb., 2009. 

  12. J. Y. Song, K. H. Kwak, "Mechinery Industry ICT Convergence and Value Added Effect", Journal of the KSME, Vol.52, No.11, pp. 37-42, Nov., 2012. 

  13. D. I. Jang, "The Gaps in technology, innovation and R&D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in Korean Machinery Industry",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Vol.27, No.1, pp. 27-56, Mar., 2011. 

  14. T. K. Sung, "The Determinants of Firm's Innovative Activity: A Comparison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Firms in Korea",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1, No.4, pp. 283-304, Dec., 2006. 

  15. J. Park, J. Lee, "How Do Firms' Innovation Behaviors Affect their Outpu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 No.3, pp. 339-350, Mar., 2011.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1.11.3.339 

  16. H. C. Kim, K. H. Bong, J.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SMEs' Open Innovation by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Dynamis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6, No.4, pp. 95-107, Apr., 2018. DOI: http://doi.org/10.14801/jkiit.2018.16.4.95 

  17. S. Kim, Y. R. Cho, H. J. Kang, S. Sohn, E. Mok, W. Koo, S. Kim, WK Oh, 2017 Guidelines of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Recent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Sejo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Available From: http://www.stepi.re.kr/kis/service/sub03_study.do. (accessed Apr., 01, 2018) 

  18. J. Park, "The Selection and Decision in R&D and Patents: A Hurdle Negative Binomial Approach",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17, No.3, pp. 449-466, Sep., 2014. 

  19. J. H. Kim, "Technology in Korean Machinery Industry",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2, No.1, pp.118-134, May., 1999. 

  20. J. K. Lee, J. H. Jung, "Patent Production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Korean Firms: The Role of Corporate Innovation Strategie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1, pp. 149-175, Feb., 2014. DOI: http://doi.org/10.14383/SIME.2014.22.1.006 

  21. M. Almus, D. Czarnitzki, "The Effects of Public R&D Subsidies on Firms' Innovation Activities: the Case of Eastern Germany",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Vol.21, No.2, pp. 226-236, Apr., 2003. DOI: https://doi.org/10.1198/073500103288618918 

  22. R. Veugelers, "Which Policy Instruments to Induce Clean Innovating?", Research Policy, Vol.41, No.10, pp. 1770-1778, Dec., 2012. DOI: https://doi.org/10.1016/j.respol.2012.06.012 

  23. B. Becker, "Public R&D Policies and Private R&D Investment: A Survey of the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Economic Surveys, Vol.29, No.5, pp. 917-942, Dec., 2015. DOI: https://doi.org/10.1111/joes.12074 

  24. H. S. Lee, J. S. Lee, J. Park, "Technological Performance Analyses of SMEs Based on Type of Government R&D Support",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18, No.1, pp. 73-97, Mar., 2015. 

  25. S. G. Kang, S. Y. Hwang, J. Park,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Innovation Source and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n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5, pp. 373-388, 2018. DOI: http://doi.org/10.5762/KAIS.2018.19.5.373 

  26. A. C. Cameron, P. K. Trivedi, Microeconometrics Using Stata, Revised Edition, College Station: Stata Press, 2010. 

  27. K. H. Lee, B. S. Yoon, "The Effects of Patents on Firm Value: Venture vs. non-Venture",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4, No.1, pp. 67-99, Jun., 2006. 

  28. Y. J. Kim, "The 'Middle-Income Country Trap' and Technological Catch-up: The Case of the Machine Tools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4, No.1, pp. 147-175, Jun., 2006. 

  29. W. M. Cohen, D. A. Levinthal,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5, No.1, pp. 128-152, Mar., 1990. DOI: http://doi.org/10.2307/23935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