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교사의 지각된 교사효능감, 학교장 지도성, 동료교사 태도 인식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
The Relations of Teacher-Efficacy and Percep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Peer Collaboration acros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482 - 491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년도)자료 교사대상 설문지의 1.03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은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중간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의 세 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세 개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교직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의 개별특성을 확인하기 보다는 교사 개인의 프로파일을 이해하고 프로파일에 기초한 맞춤형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different level of teacher-efficacy, percep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peer collaboration as it pertains to a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Samples include 1,031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 사에 대한 인식에 따라 어떤 잠재계층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 2)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별적인 특성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 변인이 교사 개인 내에서 여러 수준의 프로파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람-중심 분석 방법의 가정에 기초하여, 초등교사 개인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 변인에 대한 개별 반응 결과치를 토대로 차별적인 특징을 보이는 잠재계층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확인된 잠재 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람-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 방법인 잠재프로파일분석에 기초하여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을 탐색하고, 탐색된 잠재계층 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 변인이 교사 개인 내에서 여러 수준의 프로파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람-중심 분석 방법의 가정에 기초하여, 초등교사 개인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 변인에 대한 개별 반응 결과치를 토대로 차별적인 특징을 보이는 잠재계층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확인된 잠재 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교사의 직무스 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중다 변인들이 개인 내에 다양한 프로파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영향 변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람-중심적 접근방법(person-centered approach)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중심적 접근방법인 잠재프로파일분석에 기초하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교사 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만족도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효능감이란? 교사효능감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 조직, 활동 등을 효과적으로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4-5]. 교사효능감은 교사와 학생 모두의 다양한 성과와 긍정적으로 관련되는 중요한 동기적 구인이다[6].
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가 중요한 이유는? 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뿐 아니라 교사의 동기, 교사-학생 간관계, 수업의 질, 학생의 학업성취[1-2] 등 교육 효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러나 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교사들이 높은 수준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교직 생활의 불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후속 연구에서는 다층 잠재프로파일 모형 (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을 활용하여 개인 수준 (교사효능감)과 학교 수준(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을 구분하여 잠재계층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첫째, 본 연구는 초등교사 1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표본 특성에 영향을 받는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를 초등교사 전체로 일반화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패널 데이터의 한계로 교사 개인 수준과 환경 수준을 구분하지 않고 분석하는 단층 분석을 실시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층 잠재프로파일 모형 (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을 활용하여 개인 수준 (교사효능감)과 학교 수준(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을 구분하여 잠재계층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OECD, "TALIS 2013 resul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OECD Publishing, 2014. DOI: https://dx.doi.org/10.1787/9789264196261-10-en 

  2. I. Veldman, J. van Tartwijk, M. Brekelmans, T. Wubbel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cross the teaching career: Four case studi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32, pp.55-65, 2013. DOI: https://dx.doi.org/10.1016/j.tate.2013.01.005 

  3. T. Lomas, J. C. Medina, I. Ivtzan, S. Rupprecht, F. J. Eiroa-Orosa, "The impact of mindfulness on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educato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61, pp.132-141, 2017. DOI: https://dx.doi.org/10.1016/j.tate.2016.10.008 

  4. E. M. Skaalvik, S. Skaalvik, "Motivated for teaching? Associations with school goal structure, teacher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67, pp.152-160, 2017. DOI: https://dx.doi.org/10.1016/j.tate.2017.06.006 

  5. M. Tschannen-Moran, A. W. Hoy, W. K. Hoy,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8, No.2, pp.202-248, 1998. DOI: https://dx.doi.org/10.3102/00346543068002202 

  6. R. Scherer, M. Jansen, T. Nilsen, S. Areepattamannil, H. W. Marsh, "The quest for comparability: Studying the invariance of the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TSES) measure across countries", Plos One, Vol.11, No.3, pp.1-29, 2016. DOI: https://dx.doi.org/10.1371/journal.pone.0150829 

  7. C. T. Chacon, "Teachers' perceived efficacy amo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eachers in middle schools in Venezuel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1, No.3, pp.257-272, 2005. DOI: https://dx.doi.org/10.1016/j.tate.2005.01.001 

  8. F. A. Dixon, N. Yssel, J. M. McConnell, T. Hardin,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Efficacy",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Vol.37, No.2, pp.111-127, 2014. DOI: https://dx.doi.org/10.1177/0162353214529042 

  9. R. M. Klassen, V. M. C. Tze, "Teachers' self-efficacy, personality, and teaching effectiveness: A meta-analysi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Vol.12, pp.59-76, 2014. DOI: https://dx.doi.org/10.1016/j.edurev.2014.06.001 

  10. G. V. Caprara, C. Barbaranelli, P. Steca, P. S. Malon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study at the school leve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44, No.6, pp.473-490, 2006. DOI: https://dx.doi.org/10.1016/j.jsp.2006.09.001 

  11. D. Holzberger, A. Philipp, M. Kunter, "How teachers' self-efficacy is related to instructional quality: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105, No.3, pp.774-786, 2013. DOI: https://dx.doi.org/10.1037/a0032198 

  12. R. Klassen, M. M. Chiu, "Effects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eacher gender, years of experience, and job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102, pp.741-756, 2010. DOI: https://dx.doi.org/10.1037/a0019237 

  13. G. V. Caprara, C. Barbaranelli, P. Steca, P. S. Malon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study at the school leve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44, No.6, pp.473-490, 2006. DOI: https://dx.doi.org/10.1016/j.jsp.2006.09.001 

  14. R. M. Klassen, M. M. Chiu,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quit of practicing and pre-service teachers: Influence of self-efficacy, job stress, and teaching contex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36, No.2, pp.114-129, 2011. DOI: https://dx.doi.org/10.1016/j.cedpsych.2011.01.002 

  15. P. Ashton,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5, No.5, pp.28-32, 1984. DOI: https://dx.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16. D. Muijs, D. Reynolds, "Teachers' beliefs and behaviours: What really matters",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Vol.37, pp.3-15, 2002. 

  17. Y. J. Cho, S. S. Shim, "Predicting teachers' achievement goals for teaching: The role of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32, pp.12-21, 2013. DOI: https://dx.doi.org/10.1016/j.tate.2012.12.003 

  18. M. Veresova, D. Mala, "Stress, proactive coping and self-efficacy of teacher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55, pp.294-300, 2012. DOI: https://dx.doi.org/10.1016/j.sbspro.2012.09.506 

  19. H. E. Price, "Principal-teacher interactions how affective relationships shape principal and teacher attitude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Vol.48, No.1, pp.39-85, 2012. DOI: https://dx.doi.org/10.1177/0013161X11417126 

  20. S. Sirisookslip, W. Ariratana, T. K. Ngang,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s of School Administrators on Affecting Teacher Effectivenes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86, pp.1031-1037, 2015. DOI: https://dx.doi.org/10.1016/j.sbspro.2015.04.022 

  21. H. J. Kim, Y. K. Jeon,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Principal Leadership on Teacher Satisfaction Through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 Efficac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28, No.3, pp.79-99, 2011. DOI: https://dx.doi.org/10.24211/tjkte.2011.28.3.79 

  22. J. H. Kim, J. W. K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iddle School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3, No.4, pp.71-93, 2017. DOI: https://dx.doi.org/10.14333/KJTE.2017.33.4.71 

  23. N. Y. Kim, S. M. Byeon, D. Y. Lee, J. H. Kim,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teachers' cooperative relationship on teacher satisfaction: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8, No.4, pp.661-682, 2017. 

  24. M. Tschannen-Moran, W. K. Hoy, "A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the Nature, Meaning, and Measurement of Trus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70, No.4, pp.547-593, 2000. DOI: https://dx.doi.org/10.3102/00346543070004547 

  25. D. H. Kim, R. M. Choi, "The Grounds and Consequ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ust Formation on Peer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Vol.26, No.3, pp.63-81, 2016. DOI: https://dx.doi.org/10.21024/pnuedi.26.3.201612.63 

  26. http://panel.kicce.re.kr 

  27. L. Muthen, B. Muthen, "Mplus: Statistical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Version 7.1) [Computer software]", Los Angeles, CA: Author. 2013. 

  28. B. O. Muthen, L. K. Muthen, "Integrating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nalysis: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24, No.6, pp.882-891, 2000. 

  29. S. A. Hart, J. A. R. Logan, L. A. Thompson, Y. Kovas, G. McLoughlin, S. Petrill,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math achievement, numerosity, and math anxiety in twi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108, No.2, pp.181-193, 2016. DOI: https://dx.doi.org/10.1037/edu0000045 

  30. E. M. Yeon, J. H. Shin, H. S. Choi, J. A. Kim, "The Relationships among Error Percep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6, No.1, pp.137-158, 2015. DOI: https://dx.doi.org/10.15753/aje.2015.16.1.007007 

  31. Y. Lo, N. R. Mendell, D. B. Rubin,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Vol.88, No.3, pp.767-778, 2001. DOI: https://dx.doi.org/10.1093/biomet/88.3.767 

  32. E. L. Merz, S. C. Roesch,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Modeling trait interac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1, No.8, pp.915-919, 2011. DOI: https://dx.doi.org/10.1016/j.paid.2011.07.022 

  33. S. Fackler, L. E. Malmberg, "Teachers' self-efficacy in 14 OECD countries: Teacher, student group, school and leadership effe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56, pp.185-195, 2016. DOI: https://dx.doi.org/10.1016/j.tate.2016.03.002 

  34. D. B. Lee, J. W. Ko, Y. L.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principal's leadership on teacher's class activity through the medium of teacher community and teacher efficac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32, No.1, pp.245-270, 2014. 

  35. M. Tschannen-Moran, A. W. Hoy,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7, pp.783-805, 2001. DOI: https://dx.doi.org/10.1016/S0742-051X(01)00036-1 

  36. G. H. Kim, E. G. Kim, "TThe Influence of High School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Beginning Teachers' Teaching Efficacy : Verifying Mediated Effect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Vol.64, No.3, pp.497-520, 2016. DOI: https://dx.doi.org/10.25152/ser.2016.64.3.497 

  37. E. G. Kim, G. H. Kim. J. H. Kim, H. J. Kim, "The influence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beginning teachers' efficacy mediated by teacher collabo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54, No.1, pp.313-338, 2016. 

  38. D. B. Lee, "The Influence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ing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um of School Vitality Climate and Teacher Efficacy Using a Multi-Group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32, No.1, pp.279-308, 2015. DOI: https://dx.doi.org/10.24211/tjkte.2015.32.1.279 

  39. K. S. Park, H. J. Park, "Democratic participation decision-making in school impact on the partnership of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the effica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6, No.6, pp.951-972, 2016. 

  40. H. M. Lee, H. S.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fluential factors on teaching practices: Focusing o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llaboration", Social Science Review, Vol.46, No.2, pp.25-47. 

  41. M. Veresova, D. Mala, "Stress, proactive coping and self-efficacy of teacher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55, pp.294-300, 2012. DOI: https://dx.doi.org/10.1016/j.sbspro.2012.09.5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