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잠재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Longitudinal Transition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 Profiles and its Predict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3, 2020년, pp.164 - 172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잠재프로파일 및 전이 과정을 탐색하고,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2012년)와 6차년도(2016년) 자료의 1,18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시기(2차년도 자료)와 중학교 시기(6차년도 자료)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두 시점 모두 '안정형 집단', '사회적 위축형 집단', '불안정형 집단'의 세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의 전이 과정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특성의 안정적인 양상도 나타나지 만, 긍정적 변화 및 부정적 변화 또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효능감, 가족의지지, 친구의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친구의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형 집단에 계속 머무르기보다는 안정형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더 안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 profiles, which includes self-esteem,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nd the predictive effects of parental efficacy, familie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in multicultural famili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서 중요하게 보고되고 있는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잠재프로파일을 확인하고, 잠재집단간 전이 과정을 탐색하고자한다. 그리고 잠재집단의 전이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시기의 잠재프로파일 및 전이과정을 탐색하고,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서 중요하게 보고되고 있는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잠재프로파일을 확인하고, 잠재집단간 전이 과정을 탐색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1, 22].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애착, 가족지지, 친구지지, 사회적지지, 또래관계 등이 보고되고 있다[2, 23-25].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특히개인의 대처전략및 사회적지지가 부족할 때나타난다[26].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2012년)와 6차년도(2016년) 자료의 1,18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시기(2차년도 자료)와 중학교 시기(6차년도 자료)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두 시점 모두 '안정형 집단', '사회적 위축형 집단', '불안정형 집단'의 세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의 전이 과정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특성의 안정적인 양상도 나타나지 만, 긍정적 변화 및 부정적 변화 또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효능감, 가족의지지, 친구의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친구의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형 집단에 계속 머무르기보다는 안정형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더 안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시기의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확인하기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profileanalysis:LPA)을 실시하였다. 셋째, 잠재집단 및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D. J. Park,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Journal of Youth Activity, Vol.5, No.2, pp.57-74, 2019. 

  2. K. R. Choi, J. Y.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Studies on Korean Youth, Vol.29, No.1, pp.347-374, 2018. DOI: http://dx.doi.org/10.14816/sky.2018.29.1.347 

  3. A. Lohbeck, F. Petermann, "Cybervictimization, self-esteem, and social relationships among German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Violence, Vol.17, No.4, pp.472-486, 2018. DOI: http://dx.doi.org/10.1080/15388220.2018.1428194 

  4. R. F. Baumeister, J. D. Campbell, J. I. Krueger, K. D. Vohs,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Vol.4, pp.1-44, 2003. 

  5. T. Pyszczynski, J. Greenberg, S. Solomon, J. Arndt, J. Schimel,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30, No.3, pp.435-468, 2004.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30.3.435 

  6. A, R. Han, "The effect of parental life satisfaction, positive parenting, self-esteem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 comparison between low-income and ordinary-income of the household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5, No.5, pp.1-24, 2018.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8.05.25.5.1 

  7. M. H. Lim, Y. J. Park, S. H. Kim, "The affects of self-regulati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elf-esteem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Journal of Korea Youth Counseling Association, Vol.3, No.4, pp.85-103, 2018. 

  8. J. Y. Song, M. J. Park, "The influence of abuse from parents on adolescent in school life adapt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Forum for youth culture, Vol.43, pp.57-84, 2015. DOI: http://dx.doi.org/10.17854/ffyc.2015.07.43.57 

  9. B. S. Jung, "An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adolescent self-esteem", Studies on Korean Youth, Vol.21, No.4, pp.5-30, 2010. 

  10. S. A. Nam, J. S. Baik,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f child and early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Vol.9, No.1, pp.3-12, 2011. 

  11. Y. O. Nam,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18, No.4, pp.251-274, 2016. DOI: http://dx.doi.org/10.19034/KAYW.2016.18.4.11 

  12. M. S. Suk, Y. G. Ku, "The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Youth Welfare, Vol.17, No.1, pp.55-74. 2015. 

  13. Y. J. Nam, T. Y. Park,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family strengths and schoo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6, No.4, pp.47-71, 2009. 

  14. B. D. Sohn,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isolation, and religion on adolescent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3, No.4, pp.131-148, 2016.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6.04.23.4.131 

  15. J. A. Yu, W. J. Kim,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Studies on Korean Youth, Vol.29, No.3, pp.241-273, 2018. 

  16. C. S. Kim, "The effect of depression, stress coping, and hardiness on delinquency i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2, No.3, pp.587-598, 2007. 

  17. W. Y. Kim, B. E. Seo, K. S. Kim, "The effect of overprotective parenting, ego resilience, and social withdrawal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Forum For Youth Culture, Vol.51, pp.41-69, 2017. DOI: http://dx.doi.org/10.17854/ffyc.2017.07.51.41 

  18. H. J. Lee, "Parental maltreatment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anxiety: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understanding and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4, No.9, pp.457-483, 2017.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7.09.24.9.457 

  19. Y. L. A. Song, J. J. Kim, "Economic hard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A longitudinal approac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0, No.5, pp.131-155, 2013. 

  20. M. E. Schmidt, C. L. Bagwell, "The protective role of friendships in overtly and relationally victimized boys and girls", Merrill-Palmer Quarterly, Vol.53, pp.439-460, 2007. DOI: http://dx.doi.org/10.1353/mpq.2007.0021 

  21. J. H. Yu, S. Y. Hwang,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ime of parent-child conversa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20, No.4, pp.169-193, 2018. DOI: http://dx.doi.org/10.19034/KAYW.2018.20.4.07 

  22. S. G. Lee, H. S. Park, Y. H. Rho, C. W. Rhee, "The mediated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cultural capital on school adaptation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positive self-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38, pp.235-264, 2012. 

  23. S. M. Eun, S. H. Lee, K. Y. Lee, "Acculturative stress amongst multicultural adolescents: Patterns, predictors, and psychosocial outcomes", Studies on Korean Youth, Vol.30. No.2, pp.177-211, 2019. DOI: http://dx.doi.org/10.14816/sky.2019.30.2.177 

  24. M. J. Kim, K. B. Yun,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ego-resiliency",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Vol.13, No.1, pp.373-388, 2018. 

  25. M. Jeong, "The mediated effects of ego resilience among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peer rel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9, No.4, pp.1455-1470, 2018. 

  26. D. L. Sam, J. W. Berry, "Acculturation when individuals and group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meet",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Vol.5, No.4, pp.472-481, 2010. DOI: https://doi.org/10.1177/1745691610373075 

  27. K. H. Rubin, R. J. Coplan,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Vol.50, No.4, pp.506-534, 2004. 

  28. I. Y. Jeong, "The influence of parental abuse on adolescence's school adjustment-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and mobile phone addi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Vol.56, pp.103-130, 2018. 

  29. W. K. Lee, K. B. Yun, B. K. Park, H. S. Doh, "The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parents' over-control, and sense of community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Vol.16, No.2, pp.205-217, 2018. 

  30. S. H. Mo, "Influences of accultura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and peer-friend factors", Forum For Youth Culture, Vol.54, pp.67-93, 2018. DOI: http://dx.doi.org/10.17854/ffyc.2018.04.54.67 

  31. C. J. Chang, H. W. Yang,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y: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31, No.2, pp.133-156, 2015. 

  32. J. H. Shin, H. A. Kang,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children's social withdraw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44, pp.1-22, 2018 

  33. B. S. Park, S. W. Bae, K. J. Park, M. K. Seo, H. J. Kim,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2, pp.72-101, 2017.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7.37.2.72 

  34. https://www.nypi.re.kr/archive 

  35. E. M. Yeon, H. S. Choi,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i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of the disabled to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3, pp.133-152, 2019. 

  36. N. M. Hong, H. J. Park,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the inflence of parents' neglect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Vol.8, No.2, pp.125-15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