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주-설천 지역 변성암류의 지질구조: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의 경계부 고찰
Geological Structure of the Metamorphic Rocks in the Muju-Seolcheon Area, Korea: Consideration on the Boundary of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1, 2019년, pp.25 - 38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무주-설천 지역은 시대미상 내지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호상흑운모편마암, 변성퇴적암류(흑색천매암, 운모편암, 결정질석회암, 규암), 화강암질편마암, 각섬암], 중생대 퇴적암류와 화성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변형된 암석구조의 기하학적 운동학적적 특성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무주-설천 지역 변성암류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고, 기존에 보고된 연대학적, 지화학적, 구조지질학적 자료와 함께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사이의 경계 위치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Dn-1, Dn, Dn+1, Dn+2 변형)를 걸쳐 형성되었다. Dn-1 변형은 광역엽리 Sn이 형성되기 이전에 발생하여 Fn 습곡에 의해 습곡되는 Sn-1 엽리를 형성시켰다. Dn 변형은 광역엽리 Sn을 형성시킨 변형작용이다. Sn 엽리는 변성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과 일치하는 북동 방향으로 우세한 방향성을 보인다. Fn 습곡축이 신장선구조의 방향과 일치하는 A-형습곡 내지 칼집습곡은 결정질석회암에서 노두규모로 종종 관찰된다. Dn+1 변형은 광역엽리 Sn을 습곡시키는 변형작용으로 북북서~남북 방향의 압축응력 하에서 발생하여 동북동~동서 방향의 Fn+1 습곡을 형성시켰다. 광역엽리 Sn은 주로 Fn+1 습곡작용에 의해 재배열되어, 분산된 Sn 엽리의 극점배열의 파이-축의 방향성은 Fn+1 습곡축의 우세한 방향성과 거의 일치한다. Dn+2 변형은 Sn 엽리와 Sn+1 엽리를 습곡시키는 변형작용으로 동서 방향의 압축응력 하에서 발생하여 남북 방향의 Fn+2 개방습곡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네 번의 변형작용은 무주-설천 지역의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에서 모두 관찰되고, 무주-설천 지역에서 이들 지체구조구를 구분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과 차이점은 관찰할 수 없었다. 지화학적 자료와 연대학적 자료에 따르면, 무주-설천 지역 일대 변성암류의 형성시기 내지 변성시기는 중기~후기 고원생대이다. 이는 이 지역에서 산출되는 결정질석회암은 적어도 중기 고원생대 이전에 퇴적되었음을 지시하고, 이러한 퇴적시기는 최근에 보고된 옥천누층군의 지질시대(신원생대~후기 고생대)와 다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고찰해 볼 때, 무주-설천 지역에서 결정질석회암을 포함하는 변성퇴적암류를 시대미상의 옥천층군으로 추정하여 설정된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사이의 지체구조구 구분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ju-Seolcheon area, which is known to be located in the boundary of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OB-RM), consists of age unknown or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MRs) [banded biotite gneiss, metasedimentary rocks (black phyllite, mica schist, crystalline limestone, quartzite), granitic g...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n+1 습곡에 의해 분산된 Sn 엽리의 방향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Fn+1 습곡이 탁월하게 발달하는 노두규모에서 Fn+1 습곡에 의해 습곡된 Sn 엽리의 방향성을 측정하였다. No.
  • 무주-설천 지역 변성암류에 대한 변형단계별 구조요소를 연구한 결과, 이 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를 걸쳐 형성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편의상 광역엽리를 Sn이라고, Sn 광역엽리를 형성시킨 변형을 Dn 변형이라고 각각 표현하고, 상대적인 발생 순서에 따라 그 이전의 변형단계를 Dn-1 변형, 그 이후의 변형단계를 Dn+1 변형과 Dn+2 변형이라고 하여 무주-설천 지역 변성암류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기재한다. 또한 무주-설천 지역에서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각각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과 차이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들 지체구조구의 경계 단층(KIGAM, 2001)의 북서부에 분포하는 소위 옥천층군의 결정질석회암(Hong et al.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무주-설천 지역 변성암류에서 관찰되는 주요 변형구조의 기하학적 · 운동학적 특성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연구지역 변성암류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 보고된 옥천누층군의 지질시대(e.g. Kang et al., 2012, 2017)와 무주-설천 지역을 중심으로 기존에 보고된 변성암류의 절대연령 자료와 지화학적 자료(Cheong and Na, 2008; Kim, J.M. et al., 2009; Kim, N.H. et al., 2009; Kim et al., 2012; Lee et al., 2005; Lee et al., 2010; Oh et al., 2013; Park, 1996)를 종합하여 무주-설천 지역에서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사이의 지체구조적 경계를 고찰해 보았다.
  • 또한 무주-설천 지역에서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각각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과 차이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들 지체구조구의 경계 단층(KIGAM, 2001)의 북서부에 분포하는 소위 옥천층군의 결정질석회암(Hong et al., 1980; Lee et al., 1996)과 그 외 변성암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분석·비교해 보았다.
  • , 1980)에서는 호상흑운모화강암의 상부에 위치하고 화강암질편마암에 관입되는 시대미상의 옥천층군 구성암류로 해석한 바가 있다. 즉 설천, 안동도폭에서는 각각 호상흑운모편마암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하는 선캠브리아기 소백산편마암복합체의 편암류로 해석한 반면에 대전, 무주도폭에서는 호상흑운모편마암 상부에서 각각 화강암질편마암과 관계미상과 이에 관입되는 시대미상의 옥천층군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1: 1,000,000 한국지체 구조도(KIGAM, 2001)는 후자의 해석을 수용하여 무주-설천 지역에서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사이의 경계를 호상흑운모편마암 내에 발달하는 북동 방향의 단층을 따라 설정한 것으로 추정된다(Fig.
  • , 1996)에서는 이 암석을 각각 선캠브리아기 소백산편마암복합체의 호상편마암과 흑운모편마암으로 기재하여 연구지역의 최고기층으로 설정한 바가 있다. 즉 연구지역이 포함된 이들 도폭의 조사자들은 공통적으로 이 암석을 준편마암류로 기재하였으며, 변성퇴적암류를 최고기층으로 하는 설천도폭을 제외하고는 이 암석을 모두 연구지역의 최고기층으로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육괴와 옥천벨트 그리고 옥천벨트와 영남육괴 지체구 조구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이유는? 한반도의 주요 지체구조구는 북으로부터 경기육괴, 옥천벨트, 영남육괴, 경상분지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경기육괴와 옥천벨트 그리고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의 경계부는 각각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중생대 화성암류 그리고 시대미상 변성암류로 인해 이들 지체구 조구 사이의 경계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한반도의 주요 지체구조구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한반도의 주요 지체구조구는 북으로부터 경기육괴, 옥천벨트, 영남육괴, 경상분지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경기육괴와 옥천벨트 그리고 옥천벨트와 영남육괴의 경계부는 각각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중생대 화성암류 그리고 시대미상 변성암류로 인해 이들 지체구 조구 사이의 경계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무주-설천 일대에 산출되는 호상흑운모편마암류와 결정질석회암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화강암질편마암의 생성 내지 변성 시기가 중기~후기 고원생대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2013)의 생성 내지 변성 시기는 중기~후기 고원생대로 나타난다. 이는 무주-설천 일대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와 결정질석회암은 적어도 중기 고원생대 이전에 생성 내지 퇴적(약 2,400~2,000 Ma)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결정질석 회암의 이러한 퇴적시기는 옥천누층군의 절대 및 화석 연대자료와 구조지질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보고된 K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eong, W.S. and Na, K.C., 2008, Origin and evolution of leucogranite of NE Yeongnam Massif from Samcheok area,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7, 16-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ong, S.H., Lee, B.-J. and Kim, W.Y., 1980, Geological report of the Muju sheet (1: 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wang, J.-H., Kim, D.-H., Cho, D.-L. and Song, K.-Y., 1996, Geological report of the Andong sheet (1: 2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67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ng, J.-H., Hayasaka, Y. and Ryoo, C.-R., 2012, Tectonic evolution of central Ogcheon Belt,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29-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ang, J.-H., Lee, D.-S., Noh, S.-Y., Jeong, J.-W. and Koh, S.-M., 2017, Geology and constituent rocks of the Chungju-Goesan area in the northwestern part of Ogcheon metamorphic zone, Korea: Considering on the history of igneous activities accompanying formation and evolution processes of the Ogcheon rift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3, 5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GAM, 2001, Tectonic map of Korea (1: 1,000,000). Sungji Atlas Co. Ltd. 

  7. Kim, J.M., Cho, M.S. and Cheong, W.S., 2009, SHRIMP zircon and monazite U-Pb ages of high-temperature/low pressure metamorphism and granitic magmatism in the northern Yeongnam Massif. Annual meetings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Cheju, Korea. (October), 119p (in Korean). 

  8. Kim, N.H., Song, Y.S., Park, K.H. and Lee, H.S., 2009,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granite gneiss from the Pyeonghae area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baeksan Massif).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8, 3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N.H., Cheong, C.S., Park, K.H., Kim, J. and Song, Y.S., 2012, Crustal evolution of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revealed by SHRIMP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Gondwana Research, 21, 865-875. 

  10. Lee, B.-J., Kim, D.-H., Cho, H.-I., Kee, W.-S. and Park, K.-H., 1996, Geological report of the Daejeon sheet (1: 2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9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D.S. and Nam, K.S., 1969, Geological report of the Janggi-ri sheet (1: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33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D.S. and Lee, H.Y., 1963, Geological report of the Yean sheet (1: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22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H.S., Park, K.H., Song, Y.S., Kim, N.H. and Orihashi, Y., 2010, LA-ICP-MS U-Pb zircon age of the Hongjesa Granite in the Northeast Yeongnam Massif.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 103-1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G., Kim, Y. and Kim, K.-H., 2005, Geochemistry and Sm-Nd isotope systematics of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nd amphibolite core at the Muju area, middle Yeongnam Massif.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4, 127-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Oh, C.W., Lee, B.Y. and Yi, K., 2013, The Origin and Age of the Orbicular Granite Gneiss in Wangjungri, Muju.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 117-135. 

  16. Park, K.-H., 1996, Pb-Pb Age of Marble from Muju,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5, 84-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on, C.M. and Kim, S.J., 1963, Geological report of the Chunyang sheet (1: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2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Yun, S.K. and Park, B.K, 1968, Geological report of the Seolcheon sheet (1: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15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