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미 도입 유전자원의 생육 및 품질특성 변이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tion of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 Germplasm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3 no.3, 2018년, pp.175 - 185  

박종현 (농림축산식품부) ,  이지윤 (국립식량과학원) ,  전재범 (국립식량과학원) ,  유오종 (국립농업과학원) ,  손은호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 도입된 유색미 유전자원 178점의 생육 및 품질특성 변이를 평가하고 주성분 분석을 통해 유전자원을 분류하여 벼 육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도입 유색미 유전자원 178점의 변이계수는 이삭길이,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았고, 장폭비, 천립중, 간장, 아밀로스 함량 순으로 높았고, 수량구성요소인 주당수수가 가장 낮았다. 2. 유색미 유전자원의 생육 및 품질특성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각 주성분의 고유값기여율제1주성분 2.06개, 29.49%, 제2주성분 1.31개, 18.75%, 제3주성분 1.21개, 17.36% 및 제4주성분 1.01개, 14.38%로 4개의 주성분 고유값이 1 이상이며, 누적기여율이 79.98%로 도입 유색미 유전자원 평가가 가능하였다. 3. 군집분석 결과, I군집은 79자원이 포함되었으며, II, III, IV, V, VI, VII군집은 각각 46자원, 19자원, 13자원, 4자원, 8자원 및 9자원이 분포하였다. I군집, II군집에는 짙은갈색의 자원이 많이 분포되었고, V군집, VI군집, VII군집에는 자색 계열의 종피색을 가진 자원이 많았다. 특히, V군집은 암자색과 자색만으로 자색계열의 종피색을 가진 자원만이 포함되어 있다. VII군집에서 간장, 이삭길이, 장폭비가 다른 군집에 비해 평균값이 적었으며, V군집에서는 천립중 평균이 다른 군집에 비해 가장 낮았다. IV군집에서는 평균 주당수수 가장 낮았으나, 천립중 평균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 from 178 accessions and to develop useful, basic rice breeding data by classifying these germplasm characteristics via principal component (PC) analysi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178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 Kwak & Yeo, 2004)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도입 유색미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및 품질 관련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변량 분석을 통해 자원군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에 도입된 유색미 유전자원 178점의 생육 및 품질특성 변이를 평가하고 주성분 분석을 통해 유전자원을 분류하여 벼 육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 논문의 실험에서 국내 도입 유색미 유전자원 178점의 간장의 길이는 어떻게 관찰되는가? 178개의 도입 유색미 유전자원에 대한 생육형질 및 품질특성의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는 Table 2와 같다. 생육형질인 간장은 57.3 (IT 277450)~161.6 cm (IT114353)의 범위로 평균 106.7 cm이었고, 이삭길이는 14.9(IT 277412)~32.5 cm (IT 2346)범위로 평균 24.5 cm이었다. Kim et al.
유색미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은? 하지만, 한편으로는 웰빙 등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쌀의 기능성이 중요시 되면서, 유색미를 포함한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색미는 Cyanidin-3-glucoside, Malvidin-3-galactoside 등의 안토시안을 함유하고 있고, 현미 종피층에옅은 갈색에서 적갈색, 짙은 적색, 자색 등의 색소가 포함된 쌀로서, 안토시아닌 중에서 Cyanidin-3-glucoside (C3G)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ddy et al., 1994; Ryu et al.
유색미란 무엇인가? 하지만, 한편으로는 웰빙 등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쌀의 기능성이 중요시 되면서, 유색미를 포함한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색미는 Cyanidin-3-glucoside, Malvidin-3-galactoside 등의 안토시안을 함유하고 있고, 현미 종피층에옅은 갈색에서 적갈색, 짙은 적색, 자색 등의 색소가 포함된 쌀로서, 안토시아닌 중에서 Cyanidin-3-glucoside (C3G)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ddy et al., 1994; Ry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H. G. 2010. Assessment of major physicochemical components on waxy corn hybrids (Zea mays L.). Department of Agronomy,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 123. 

  2. Ennis, D. M., H. Boelens, H. Haring, and P. Bowman. 1982. Multivariate analysis in sensory evaluation. Food Technology. pp. 83-90. 

  3. Ghosh, J. P., D. Ghosh, and P. R. Choudhury. 2014. An assessment of genetic relatedness betwee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ultivars using SSR markers. American Journal of Plant Sciences. 5(20) : 3089-3096. 

  4. Han, O., J. Abe, and Y. Shimamoto. 1999. Genetic diversity of soybean landraces in Korea. Korean J. Crop Sci. 44(3) : 256-262. 

  5. Janmohammadi, M., Z. Movahedi, and N. Sabaghnia. 2014.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of some traits of bread wheat for breeding under rainfed conditions.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s. 59(1) : 1-14. 

  6. Juliano B. O. 1985. Rice : 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second edition. p. 757. 

  7. Kang, H. C. 2013.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 Korean Acad. Nurs. 43(5) : 587-594. 

  8. Kim, D. Y., M. K. Yoon, J. H. Kwak, T. I. Kim, and J. H. Kim. 2009. Classification of strawberry germplasms based on horticultural trait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n. J. Hort Sci. Technol. 27(4) : 636-643. 

  9. Kim, E. O., J. H. Oh, K. T. Lee, J. G. Im, S. S. Kim, H. S. Suh, and S. W. Choi. 2008.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lored rice cultivar. Korean. J. Food Preserv. 15(1) : 118-124. 

  10. Kim, M. S., H. J. Lee, D. A. Yu, J. Y. Song, M. Nino, F. Nogoy, J. Kim, Y. S. So, and Y. G. Cho. 2016. Classification of Korean rice varieties based on agro-morphological traits. Korean J. Breed. Sci. 48(3) : 254-270. 

  11. Kim, S. H., J. W. Jung, J. K. Moon, S. H. Woo, Y. G. Cho, S. K. Jong, and H. S. Kim. 2006.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by SSR marker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Korean J. Crop Sci. 51(3) : 248-258. 

  12. Kwak, T. S. 2011. Varietal variation of grain yiel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grain quality of the major rice varieties by the released year. Korean J. Intl. Agri. 23(1) : 109-114. 

  13. Kwak, T. S. and J. H. Yeo. 2004. Varietal variation of yield related and growth analysis related characters in rice based on ecological traits. Korean J. Intl. Agri. 16(2) : 143-149. 

  14. Malik, M. F. A. 2011.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in soybean (Glycine max (L.) genotypes based on agronomic and biochemical traits. Quaid-i-Azam University PhD thesis. p. 170. 

  15. Nielsen, J. P. and L. Munck. 2003. Evaluation of malting barley quality using exploratory data analysis. I. Extraction of information from micromalting data of spring and winter. barley. J. Cereal Sci. 38 : 173-180. 

  16. Park, J. Y., K. J. Sa, K. J. Park, and J. K. Lee. 2014.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normal maize inbred lines. Korean J. Crop Sci. 59(3) : 312-318. 

  17. Reddy, V. S., K. V. Goud, R. Sharma, and A. R. Reddy. 1994. Ultraviolet-B-Responsive anthocyanin production in a rice cultivar 1s associated with a specific phase of phenylalanine ammonia lyase biosynthesis. Plant Physiol. 105 : 1059-1066.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2003. Evaluate the quality and taste of rice. Suwon, Korea.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Rice germplasm. Suwon, Korea. p. 111. 

  20. Ryu, S. N. 2013. Grain of new large-grain pigmented rice variety, 'Daeripjamibyeo'. Korean J. Crop Sci. 58(2) : 185-189. 

  21. Ryu, S. N. 2014. Science of functional rice. KNOU Press. p. 235. 

  22. Ryu, S. N. 2016. Grain quality of a black rice variety 'Pareunsuperjami'. Korean J. Breed. Sci. 48(4): 547-552. 

  23. Ryu, S. N., S. Z. Park, and C. T. Ho. 199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some varieties of black rice. Journal of Food and Drug analysis 6(4) : 729-736. 

  24. Song, Y. C., J. H. Cho, J. Y. Lee, J. H. Lee, S. H. Oh, S. I. Han, K. H. Jung, W. D. Seo, W. H. Hwang, K. C. Jang, N. B. Park, D. S. Park, S. Y. Kim, H. W. Kang, and H. D. Lee. 2017. Antioxidant functional and red pericarp rice 'Geonganghongmi'. Korean J. Breed. Sci. 49(1): 2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