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의 보리 활물피복(活物被覆, living mulch) 재배에 의한 잡초발생 및 토양유실의 감소
Reduction in Weed Occurrence and Soil Erosion by Barley Living Mulch in Soybean Produc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3 no.3, 2018년, pp.248 - 256  

서종호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문중경 (국립농업과학원) ,  정건호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 ,  서민정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 ,  허석철 (국립식량과학원) ,  구자환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과) ,  황정동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배현경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김상열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촌인력 감소와 지구 이상기상 증가에 따라 콩 재배 시 생력적인 잡초방제 및 토양유실억제 기술이 요구된다. 콩과 동시에 파종한 활물피복용 보리의 잡초발생 및 경사지 토양유실의 억제 효과가 2013, 2014년 2년간 수원 시험포장에서 조사되었다. 활물피복 보리의 지상부 피복량은 파종 후 40일에 200~300 kg/10a, 파종후 60일에 100~200 kg/10a의 건물중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콩의 초기 생육상태에서 잡초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잡초발생량에서 보리 활물피복은 토양처리제와 같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콩 식물체 초기생육량은 활물피복 보리와의 경합으로 인해 많이 감소하였는데 활물피복 보리가 하고 됨에 따라 콩의 후기생육은 많이 회복되어 수확기에서는 무피복구의 70~80%를 나타내었다. 콩 종실 수량은 2013년에 무피복구가 생육이 과번무하여 활물피복구보다 감소하였다. 그러나 2014년에 무피복구에서 적심 처리하였을 때 종실수량이 증가하였는데 보리활물피복구와 수량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활물피복 재배도 관행재배(무피복)와 비슷한 수량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경사지의 토양유실 시험에서는 보리 활물피복에 의해 유거수량이 약 20~50%, 토양유실량이 약 70~90% 감소하여 토양유실 억제효과가 컸다. 2014년 비닐+보리활물피복도 토양유실억제 효과는 보리활물피복구와 같았다. 콩과 동시에 파종한 보리의 활물피복 이용은 종실수량의 큰 감소 없이 생력적으로 잡초를 관리할 수 있고 경사지의 토양을 보전하는 효과가 커서 앞으로 유망 시 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duction in the occurrence of weed and erosion of slope soil by living mulch barley simultaneously sown with soybean were investigated at the Upland Experimental Field in Suwon City in 2013 and 2014. The aboveground dry matter of 200-300, 100-200 kg/10a of living mulch barley was obtained at 40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콩의 보리 활물피복 이용기술의 개발을 위한 자료 확보를 위해 콩과 동시에 보리를 파종하는 조건하에서 잡초 및 경사지 토양유실의 억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3년 및 2014년 2년간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 시험포장에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 재배 시, 보리의 활물피복이 토양유실의 억제 효과를 보이는 원인은? 옥수수 재배 시 화이트클로버 활물피복은 90% 이상의 토양유실 억제 효과가 있다고 했는데(Seo et al., 2005), 콩의 재배 시 보리의 활물피복도 살아있는 지상부가 토양을 피복하고 보리의 섬유뿌리가 토양을 붙잡고 있기 때문에 경사지에서 두과 활물피복 못지않게 토양유실을 현저히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콩의 재배 시 잡초억제를 위해 두둑을 만들고 두둑에 검정비닐을 피복하는 경우가 많은데 두둑 사이의 고랑은 피복할 수 없어 잡초가 발생하고 비닐피복에 의해 두둑으로 스며들지 못한 유거수가 고랑으로 몰리면서 토양유실을 많이 증가시키는데(Lee et al.
활물피복이란 무엇인가? 활물피복(living mulch)이라고 하는 용어는 1979년 미국의 코넬대학의 Robert Sweet가 채소재배 시 녹비 이외의 목적으로 재배되는 피복작물(covercrop)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한 것이 최초라고 한다(Paine arrison, 1993). Hartwig & Ammon (2002)은 주작물의 파종 전에 고사시켜 토양을 피복하는 것을 피복작물(cover crop), 주작물의 생육기에도 식생을 유지하는 것을 활물피복(living mulch)으로 구분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영어발음 그대로 리빙멀치(リビングマルチ)라고 부르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살아있는 피복물이라는 의미에서 휴오푸가이(活覆盖)라고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활물피복 농법의 이용목적은 무엇인가? 활물피복의 이용목적은 토양침식 방지, 잡초방제, 병해충 방지, 질소용탈억제, 토양온도 조절 등 다양한 생태·환경적인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인데, 특히 작물 재배 시 시급한 효과로 생력적인 잡초억제를 들 수 있다. 활물피복 보리는 봄에 파종할 때 잡초보다 빨리 입모·생육하여 토양을 덮어버리기 때문에 콩 생육초기 발생 잡초를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생육 후기에 발생하는 잡초의 제거노력도 훨씬 경감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teh, C. M. and J. D. Doll. 1996. Spring-planted winter rye as a living mulch to control weeds in soybean. Weed Tech. 10(2) : 347-353. 

  2. Fukino, T., F. Tamai, and M. Fukuyama. 2007.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cultivated with white clover living mulch. Jpn. J. Crop Sci. 76(3) : 401-409. 

  3. Hartwig, N. L. and H. U. Ammon. 2002. Cover crops and living mulches, Weed Sci. 50(6) : 688-699. 

  4. Hwang, J. B., S. B. Song, Y. K. Hong, K. D. Park, and S. T. Park. 2008. Effect of barley, wheat and rape cover to weed smothering in growing soybean in dry paddy field. Kor. J. Weed Sci. 28(4) : 414-419. 

  5. Lee, B. M., H. J. Jee, K. Y. Ryu, J. H. Park, and J. H. Lee. 2008. Effects of rye sowing dates on weed occurrence in organic soybean field. Kor. J. Weed Sci. 28(2) : 11-116. 

  6. Lee, J. T., G. J. Lee, J. S. Rye, J. S. Kim, K. H. Han, and Y. S. Zhang. 2012. Evaluation of surface covering methods for reducing soil loss of highland slope in soybean cultivation. Kor. J. Soil Sci. Fert. 45(5) : 725-732. 

  7. Martin, R. C., P. R. Greyson, and R. Gordon. 1999. Competition between corn and a living mulch. Can. J. Plant Sci. 79(4) : 579-586. 

  8. Miura, S., H. Kobayashi, and A. Oyanagi. 2005. Cultivation of soybean with winter-type barley living mulch in Tohoku region of Japan. Jpn. J. Crop Sci. 74(4) : 410-416. 

  9. Namiko, Y., K. Hiroyuki, U. Tomoko, and S. Yumi. 2009. Spatial structure of soybean-wheat/barley-weed community in soybean cultivation using barley/wheat as living mulch. J. Weed Sci. Tech. 54(3) : 139-146. 

  10. NARO. 2014. Manual for a soybean cultivation by living mulch system of winter cereals. http://www.naro.affrc.go.jp/publicit_report/publication/pamphlet/tech-pamph/018444.html. 

  11. Paine, L. K. and H. Harrison. 1993. The historical root of living mulch and related practices. HortTechnology. 3(2) : 137-143. 

  12. Park, C. H., C. G. Kim, J. H Gu, G. H. Jung, J. H. Seo, O. K. Han, D. U. Kim, J. J. Hwang, and Y. U. Kwon. 2014.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 in two ecotypes of soybean at paddy field condition in the mid part of Korea. Korean J. Int. Agric. 26(4) : 482-490. 

  13. Seo, J. H., J. Y. Park, and D. Y. Song. 2005. Effect of cover crop hairy vetch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and reduction of nitrogen fertilization in sloped upland. Kor. J. Soil Sci. Fert. 38(3) : 134-141. 

  14. Seo, J. H., Y. U. Kwon, J. E. Lee, G. H. Jung, J. H. Seong, C. G. Kim, and W. H. Kim. 2011. Effects of spring-sown rye living mulch on weed suppression and soybean production. Kor. J. Crop Sci. 56(3) : 192-198. 

  15. Shigenori, M., K. Hiroyuki, and O. Atsushi. 2005. Cultivation of soybean with winter-type barley living mulch in Tohoku region of Japan. Jpn. J. Crop Sci. 74(4) : 410-416. 

  16. Shigenori, M., K. Hiroyuki, I. Kazuhiro, and O. Atsushi. 2003. Soybean cultivation with barley living mulches. Tohoku J. Crop Sci. 46 : 81-82. 

  17. Shigenori, M., K. Hiroyuki, I. Kazuhiro, and O. Atsushi. 2004. Effect of weed suppression in a soybean-barley living mulch system. Tohoku J. Crop Sci. 47 : 71-72. 

  18. Shigenori, M. and W. Yoshiaki. 2002.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with legume living mulches. Jpn. J. Crop Sci. 71(1) : 36-42. 

  19. Thelen, K. D., D. R. Mutch, and T. E. Martin. 2004. Utility of interseeded winter cereal rye in organic soybean production systems. Agron. J. 96 : 281-284. 

  20. Uchino, H., S. Uozumi, E. Touno, H. Kawamoto, and S. Deguchi. 2016. Soybean growth traits suitable for forage production in an Italian ryegrass living mulch system. Field Crops Res. 193 : 143-153. 

  21. Yoshino, N., H. Kobayashi, T. Uchida, Y. Shimazaki, M. Ao, and H. Tobina. 2012. Meteorological factors determining the growth of barley and wheat used as living mulch in soybean cultivation. Jpn. J. Crop Sci. 81(1) : 18-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