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옥산구곡(玉山九曲)의 위치비정과 경관해석 연구 - 이정엄의 「옥산구곡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s of Gyeongju Oksan Gugok and Landscape Interpretation - Focusing on the Arbor of Lee, Jung-Eom's "Oksan Gugok"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3, 2018년, pp.26 - 36  

펑홍쉬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태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경주 옥산구곡의 위치와 경관 해석에 대한 연구이다. 옥산구곡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을 향사하는 옥산서원 앞을 흐르는 자계천(紫溪川, 자옥천(紫玉山)) 즉, 옥산천(玉山川)에 설정(設定)된 구곡으로 본 연구에서는 옥산구곡을 대상으로 문헌조사와 디지털 기기 분석을 통해 현장 실측분석을 수행하여 옥산구곡의 위치 및 설정상황을 확인하였다. 특히 Trimble Juno SB GPS로 측정한 구곡의 경위도와 같이 Google Earth Pro 및 지리정보원이 공개한 옥산구곡의 수치지형도를 이용해서 옥산구곡의 정확한 위치를 확정하였다.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옥산구곡의 위치 비정 및 경관 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계 이황의 9세손 이야순(李野淳)은 이언적 사후 270년인 1823년 봄에 옥산서원을 방문하였다. 이때 이야순의 제안으로 이언적의 후손 이정엄(李鼎儼), 이정기(李鼎基), 이정병(李鼎秉) 등과 여러 선비들이 함께 옥산구곡을 처음 설정하고 함께 "옥산구곡가"를 창작했다. 이정엄의 "옥산동행기"는 옥산구곡의 설정할 때의 상황을 알려주는 결정적 자료이다. 둘째, 대부분의 구곡원림은 일반적인 시인묵객이 경영한 원림이 아니고 정통 성리학자들이 경영한 원림이다. 이언적과 이황의 후손이 "옥산구곡가"를 함께 창작한 것은 이언적이나 이황이 정통 주자학을 계승했다는 점에 대한 후손들의 자긍심의 한 표현이다. 셋째, 이정엄의 "옥산동행기"에는 "옥산구곡가"의 설곡 과정과 구곡가 창작 과정은 매우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구곡가의 설곡과정과 그때의 상황이 이처럼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은 희귀한 사례라고 할 것이다. 넷째, 기존에 알려진 옥산구곡 제8곡과 제9곡의 위치를 새롭게 비정하였다. 확정된 제8곡 탁영대의 위치정보는 북위 $36^{\circ}01^{\prime}08.60^{{\prime}{\prime}}$,동경 $129^{\circ}09^{\prime}31.20^{{\prime}{\prime}}$이다. 9곡 사자암은 고문헌을 참고하여, 동서의 두 계곡이 모이는 아래쪽 바위로 비정하였다. 그 위치는 북위 $36^{\circ}01^{\prime}19.79^{{\prime}{\prime}}$, 동경 $129^{\circ}09^{\prime}30.26^{{\prime}{\prime}}$이다. 다섯째, 이정엄의 "옥산구곡가"에 나타난 경관요소와 경관현상은 형태요소, 의미요소, 풍토요소로 나누었다. 그 결과 이정엄의 조영관은 산수를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점과 자연에 한가하게 노니는 심정과 아울러 무상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경관요소와 경관현상들의 출현빈도를 살펴본 결과, 이정엄의 구곡가에서'물'과 '산'은 구곡원림을 조영하는 절대적인 요소였다. 따라서 이 구곡가에는 신선사상(神仙思想) 및 은거사상(隱居思想)이 내재되어 있는 것은 물론 산수간의 조화를 통해 자연과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사상과 성리학적인 수행관을 살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location and the landscape of Gugok while also conducting the empirical stud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field study, and digital analysis of the Okgung Gugok. Oksan Gugok is a set of songs set in Ogsan Cree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정엄의 『옥산동행기(玉山同行記)』 중에 나오는 옥산구곡의 설정 과정을 고찰하고 이정엄의 『옥산구곡가』의 표제어 및 시의 어휘소, 문맥상의 경관 및 행위분석과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주희의 『무이구곡가』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또한『옥산구곡도』에 등장하는 경관요소 및 구곡 위치 등을 상호 비교 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인문 분야의 연구도 대부분은 회재 이언적의 사상과 시가문학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11]. 본 연구는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있는 옥산서원 앞을 흐르는 자계천(紫溪川, 紫玉山) 즉, 옥산천 (玉山川)에 설정된 옥산구곡을 대상으로 그 위치를 비정하고 일반적인 구곡 형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생각되는 집경구상(集 景構想)의 경관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옥산구곡가 중 대표작으로 꼽히는 이정엄의 『옥산구곡가』를 논리적 · 이론적 · 현장 중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구곡 위치 비정을 새롭게 하고, 옥산구곡이 가지는 강점과 특징을 제시함과 아울러 다른 지역의 구곡가와 다른 옥산구곡가 고유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 그러나 Peng and Kang(2017)는 이정엄의 『옥산동행기』와이정기의 『옥산구곡경차무이구곡십수운 병지(玉山九曲敬次武 夷九曲十首韻 幷識)』를 새롭게 발굴하여 옥산구곡이 처음 지정되는 과정이 실린 문헌을 발굴 보고하였다[9]. 본 연구에서는 옥산구곡의 위치를 현장답사와 GPS 측정을 통해서 이정엄의 옥산구곡에 나타난 경관의 위치를 과학적으로 비정하였고, 아울러 경관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하였다. 따라서 옥산구곡의 경관비정과 경관연구는 옥산구곡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의 역사적인 가치는? 한국의 구곡원림은 중국 송나라 때의 유학자 주희가 경영했던 무이구곡(武夷九曲)이 조선시대에 한국으로 전승되면서 발전하였다[8]. 경주는 신라천년의 고도로서 유네스코가 인정하고 있는 세계역사문화도시이며, 또한 조선의 유가문화의 중심 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경주의 구곡원림은 옥산구곡, 명산구곡, 용담구곡이 있다.
한국의 구곡원림의 발전 배경은? 한국의 구곡원림은 중국 송나라 때의 유학자 주희가 경영했던 무이구곡(武夷九曲)이 조선시대에 한국으로 전승되면서 발전하였다[8]. 경주는 신라천년의 고도로서 유네스코가 인정하고 있는 세계역사문화도시이며, 또한 조선의 유가문화의 중심 이다.
옥산구곡가의 분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이정엄의 조형관은? 분류 결과, 그의 『옥산구곡가』에는 옥산구곡을 중심으로 다양한 경관요소와 인간의 행위 그리고 기후, 계절 등이 표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정엄의 조형관을 살펴보니 산수(山水)에 큰 의미를 부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상향(理想鄕)과 곧은 절개 그리고 고결한 품격의 의미를 구곡가 여러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연과 벗하며 지내는 한가로움과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생각도 엿볼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ho, J. H.(1996). A Study on the Symbolic Interpretation of Semantics Landscape in Mt. MA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4(2): 89-103. 

  2. Rho, J. H.(2009). A Study on the Topo-Aesthetics and Giomorphometrical Characteristics of Wuyi-GuGok in China -Focus on Comparison with GuGok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4): 1-11. 

  3. Jin. Y. Z.(2012). 'HaiDongZhuzhi' lawn . Journal of Changzhou Instiute of Technology(Social Science Edition). 30(2): 27-29. 

  4. Kim, M. K.(2014). A Study on Geumcheon-gugok(琴川九曲) Garden and Geumcheon-gugok Poem. Toegye Studies and Korean Culture. 55.(1): 273-302. 

  5. Lee, J. H.(2009). Results and Prospects of Gugok Study. The Society of Korean Thought and Culture. 50.(1): 7-42. 

  6. Jung. W. J., Rho. J. H., and Lee. H. Y.(2017). Studies on the Assumption of the Locations and Formational Characteristics in Yigye-gugok, Mt. Bukhansa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3): 41-66. 

  7. Rho. J. H., Park, J. S., and Sim W. K.(2011), Storyboard of Immortal Land in Gugok Wonlim-A Special Reference to Goisa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1): 90-104. 

  8. Rho, J. H.(2009).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China's Wuyi-Gugok, the Origin of Gugok Wonlim-Focus on the Tradition Process to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6): 66-80. 

  9. Peng, H. X. and Kang, S. K.(2017). A Study of Nine Valley Poem (九曲歌) in GyeongJu Region - Focusing on the process of creating (?定) Nine Vally Poem九曲).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38(1): 5-36. 

  10. Kim, M. K.(2004). A Study on the Gu-gok Garden(九曲園林)and Gu-gok Poetries(九曲詩歌)in Munkyung Province. Journal of the Toegyehak studies. 35(2): 233-280. 

  11. Tak. Y. R., Sung. J. S., Choi. J. H., Kim. S. A., and Rho. J. H.(2016). A Study on the Coexistance of Ganghak(講學) and Yusik(遊息) Space of Oksan Confucian Academy, Gyeongju: Directe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3): 50-66. 

  12. Kim. M. K. and Kang, J. S.(2008), Kugok culture in Gyeongbuk, Gyeongsangbuk-do Province .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Toegye Research Center: 28-286. 

  13. Jang, H. J.(2014). A Study of Haeeun Gang Pil-hyo's Gugok Poems-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Society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56(1): 317-357. 

  14. Chung, Y. Y.(2011). A Study on Managing the Landscape in Dok-Rak-Dang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1): 96-105. 

  15. Kang, S. Y. and Hong, K. P.(2009). The Landscape of Dokrakdang Zone through the Analysis of "Imgeosipohyou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1): 66-73. 

  16. Lee, S. H.(2008), The Literature Creation Places and Remains of LeeEonjeok-Focused on Yangjwadong and Oksanbyeoleob, The Society of Dea DongLiterature in Chinese. 29(1): 45-73. 

  17. Tak, Y. R. and Rho, J. H.(2016) A Study on the Coexistence of Ganghak(講學) and Yusik(遊息) space of Oksan Confucian Academy, Gyeongju: Directe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3): 50-66. 

  18. Lee, S. M. and Choi, K. S.(2002). A Study on Hoe-Jae Lee Eon-Jeok's Managing Landscape Concep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3): 15-25. 

  19. Rho, J. H., Son, H. K. and Kim, H. K.(2017). A Study on the Landscape Structure and Meaning of Eight Scenic Views of Yeongsa-jeong Pavilion through the Painting and Po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2): 58-68. 

  20. Kim, H. and Kim, Y. K.(1993). A Study o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atreating Villa Sosewon Garden though a Woodcut of Sosewon Garden and the analysis of the Kim, In Hu's 48 Poem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3): 1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