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옛 시문과 그림으로 살핀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형상화 및 정착시기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Settling Period of the Gwandong-Palkyung by the Thematic Exploration of Joseon Landscape Poetry and Painting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1, 2017년, pp.10 - 24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손희경 (우석대학교대학원 조경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관동팔경의 형성과정에 주목하여, 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관동 명승의 집경에 따른 팔경 형상화 및 정착시기를 탐색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관동팔경(關東八景)'이란 최초 용례(用例)는 이황의 "답홍응길(答洪應吉)"로 볼 때, 관동팔경은 이미 16세기 이전 당시 인들의 인식 속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지리지 분석 결과, 관동팔경은 16세기 초 중반에 관동십경으로의 확장 또한 이루어졌다. 최초의 관동팔경에 대한 집경은 신즙의 "영관동팔경(詠關東八景)"으로 확인됨에 따라 관동팔경이라는 용어는 문학 분야에서는 최소한 16세기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현재의 세트화된 관동팔경으로 정착된 시기는 늦어도 17세기 초반이라 추정된다. 관동 명승의 출현빈도 분석 결과, 시문에 등장한 관동 명승은 관동팔경 경물에 대한 집중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회화 분야에서 오로지 관동팔경만을 모은 그림은 허필의 "관동팔경도병(關東八景圖屛)"에서 최초로 확인되는데 실경산수화에서 표현된 관동팔경은 시문에서의 집경 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화제 출현률 순위로 볼 때 시각적 결속력과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났다 이는 일정한 관념체계 상 특정 의의를 지닌 회화의 도상(圖像)을 중요시하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더불어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들어 제작된 다수의 민화 형식의 팔폭병풍(八幅屛風)은 관동팔경의 문화현상이 보편적 수용기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증좌이다. 또한 조선후기 성행한 남승도놀이 등 명승유람놀이에 등장하는 강원도내 13개의 명승에는 관동팔경이 오롯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조선 말기 관동팔경은 놀이문화 속에서도 확고하게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관동팔경의 인식은 15세기 전반 이전부터 있어 온 것으로 보이고, 16세기 형상화 과정의 지속적 전개를 통해 17세기 정착되었으며 18세기에 들어 관습화 보편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궁극적으로 관동팔경은 고려시대부터 별개의 경물로 명성을 얻은 지역 명승이 17세기 후반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관동 명승 중에 관동팔경은 오랜 기간 여러 사람의 탐승과 유람문화 향유(享有)를 통해 오직 여덟 개의 최상의 명소만을 추리기 위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배태된 국내 대표적 팔경임을 일깨워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takes note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settling period of Gwandong-Palkyung(關東八景, Eight Sites of Eastern Korea), the representative palgyeong(prominent eight sites) and jipgyeong(集景, landscape collection of scenic beauty), and investigates the time of formation regarding the palkyu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경산수화는 물론 민화 등의 그림과 팔경 제영시와 유람기 등의 시문은 물론 고지도 및 승람도 등의 다양한 연구 매체 속에 등장하는 관동 명승을 고찰하여 관동팔경으로의 형성과 정착시기를 통시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관동팔경의 형상화 과정 및 정착시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관동의 아름다움을 소개하고 노래하는 등 시문이나 화면에 모은 집경(集景)의 양상을 입체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현재의 관동팔경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어느 시기에 현재 “여덟(8) 개소의 경”으로 정착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다.
  • 본 연구는 국내 명승 집경의 대표적 사례이자 문화현상이었던 관동팔경의 형성과정에 주목하였다. 옛 문헌과 옛 지도, 옛 그림 등을 통해서 승경 집경의 과정 및 그 형상화시기를 탐색함으로써 관동팔경의 형상화시기 및 정착시기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한편 An(2002)은 팔경시의 발전양상을 형성기·집성기·전환기·확대기 등으로 대별하여 그 특징을 설명한 바 있다[17]. 이 연구는 관동팔경시를 비롯하여 국내 팔경시의 도입과 전개 그리고 정착과정을 살핌으로써 팔경의 조선 토착화과정을 이해하는데 방향타가 되었다.
  • 이 연구에서는 문헌기록과 현존 작품의 비교 고찰을 통해 정형화된 는 18세기부터 제작되었으나 관동지역을 그리는 풍습은 그 이전 시기부터 나타남을 지적하였다[11].

가설 설정

  • 김창흡(金昌翕, 1653∼1722)은 운근정기(雲根亭記) 에서 만경대(萬景臺), 삼일(三日), 죽서(竹西), 경포(鏡浦), 월송(月松), 망양(望洋), 낙산(洛山), 총석(叢石) 등 8곳을 관동팔경으로 제시한 바 있다.3) 여기서 만경대는 앞서 밝혔듯이 청간정권역의 세부 경물이다. 한편 이중환(李重煥)이 1751년 편찬한 택리지(擇里志) [37] 팔도총론(八道總論) ‘강원도편’에서는 총석정, 삼일포, 청간정, 경포대, 죽서루, 망양정 등의 관동팔경과 추가로 관동십경에 포함되는 고성의 시중대와 속초의 청초호(靑草湖) 등 8개 경관을 제시하고 있어4) 관동팔경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나 전반적으로 관동십경의 범주 안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대부들에게 산수 유람의 의미는? 조선시대 유람(遊覽)은 사대부들의 중요한 문화행위 중 하나로 단순히 인지지락(仁智之樂)으로 자연 경물을 완상(玩賞)하는 양상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들에게 산수 유람은 일상에서 벗어나 탈속(脫俗)과 안분(安分)의 자유를 찾고, 호연지기(浩然之氣)와 천석고황(泉石膏肓)의 열망을 표출하는 배출구였다. 명소마다 즐비한 팔경시(八景詩)와 팔경도(八景圖)는 지역 승경(勝景)에 대한 관심과 자부심의 표시로, 옛 사람들의 경관을 바라보는 시선과 그 안에 내재된 가치를 일깨워 주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어떤 시대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는가?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문(詩文)과 도상자료(圖像資料)는 임진왜란 이후인 조선 중·후기부터 근대까지의 작품들이 주류를 이룬다. 공간적으로는 북한의 고성군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현재 경상북도에 포함된 일부 옛 강원도 지역을 아우르는 관동 명승을 대상으로 하였다(Figure 1).
Kim(1992)는 관동팔경을 어떻게 보았는가? Choe(1990)가 팔경과 구곡이 한국 경관구조의 지배적 특성임을 주창[4]한 이래, Kim(1992)은 관동팔경은 자연경관에 인공적 요소인 누·정·사(樓·亭·寺)를 경의 주요소로 보았고, 산·봉·암·도·굴(山·奉·巖·島·窟)의 자연경관이 경(景)의 대상체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계절과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연경관은 물론 인간의 삶의 모습도 경의 구성요소로 보았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Jun, K. W.(2007). A Study on Figuration Aspect and Meaning Coherence of Sosangpalkyung Poetry. The Dissertations of Ph. D. Degrees of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 Lee, S. K.(2013). A Study on the Travel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The Dissertations of Ph. D. Degree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3. Lee, B. R.(2007). The Eight-view of Gwandong in the Joseon Dynasty. Chungbooksahak. 18: 431-453. 

  4. Choe, G. S.(1990). The Interpretation of Struc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Expressed in Gok and Kyoung. The Dissertations of Ph. D. Degrees of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5. Kim, S. I.(1992). A Study o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Kwandong PalKyoung. The Dissertations of Ph. D. Degrees of M. A. The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6. Yong, H. J.(200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cenery of Kwandongpalgyeong.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9: 83-144. 

  7. Son, H. K. and Rho, J. H.(2016). A Study on the Extend and the Figuration of the Gwandong-Palkyung by the Thematic Exploration of Joseon Landscape Poem and Paintings.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Workshop Presentation File in Spring. 6(1): 32-37. 

  8. Jeong, E. D.(1999). A Study on Poems about Pavilions of the Eight Scenic Places in Kwandong. The Dissertations of Ph. D. Degrees of M. A.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9. Park, Y. J.(2001). A Study on the Eight Scenic Places in Kwandong and Inheritance of Nujeong Literature. Donamhakbo(陶南學報). 19: 159-199. 

  10. Kim, N. K.(2006). A Study of Kwandongsipkyung Production and Poetic World. Journal of Cino-Korean Poetry. 14: 303-330. 

  11. Lee, B. R.(2005). The Eight-view of Gwandong in the Choson Dynesty. The Dissertations of of M. A. The University of Hongikl Graduate School. 

  12. Jo, S. H.(2006). Gwandong-Palkyung in Paintings of 18C-19C, Press of Hanseo University. 

  13. Choi, Y. C.(2007). Eight Scenic Places in Kwandong, Finding for the Aesthetics in History. Research Institute for Future of Gangwon. 

  14. Shin, J. I. and Jeong, E. S.(2008). A Study on Establishment of Value for Tourism Resources and Storytelling.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Workshop Presentation File; 55-70. 

  15. Lee, S. K.(2011). Background Research of Joseon Dynasty Gwandong Travel Prevalence.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ciences. 31: 167-196. 

  16. Jo, Y. N.(2016). A Change of Enjoyment Method of Scenic Site in a Seaside District of Kwandong, The Dissertations of M.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17. An, J. L.(2002). Palkyung Culture of Korea. Seoul Jipmoondang. 

  18. http://e-kyujanggak.snu.ac.kr 

  19. http://db.itkc.or.kr 

  20. Sejongsil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21.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22. Yeojidoseo(輿地圖書) 

  23. Taidongjiji(大東地志) 

  24. Jeungbomunheonbigo(增補文獻備考) 

  25. Eym Young Chronicle(臨瀛誌) 

  26. Gangwondoji(江原道誌) 

  27. Son, H. K., Rho, J. H., Shin, S. S. and Kim, G. S.(2016). Diachronic Study on Cheongganjeong of Gosung for Searching Original Landscap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Workshop Presentation File in Autumn: 23-28. 

  28. Jung C. Y., Park, J. H. and Kim, J. H.(2016). The Scenic Site of Joseo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9. Choe, W. S.(2006). Regional Landscape Representation in Map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Nammyonghak Study. 49: 243-276. 

  30. Oh, S. H.(2005).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apmaking in the Joseon Dynast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 Collection of Treatises of Guksagwan(國史館論叢). 107: 1-34. 

  31. T'oegye Work Collection(退溪集) 

  32. Taechon Work Collection(苔泉集) 

  33. Nooljae Work Collection(訥齋集) 

  34. Haum Work Collection(河陰集) 

  35. Kho, Y. H.(2002). A Study on the Art of Record of Trip to Mountain and Water in the Late Joseon Period. Iljisa. 

  36. Gieun(記言) 

  37. T'aengniji(擇里志) 

  38. Myeongam Work Collection(明庵集) 

  39. Dukbong Work Collection(德峯集) 

  40. Lee, B. R.(2010). Eight Views of Gwandong: A Thematic Exploration of Joseon Landscape Paintings.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66: 157-188. 

  41. Ryu, H. J.(2014). A Study on the Literature and the Game through the Board Game in Joseon Dynasty: Focused on Shang-Young-Do. The Dissertations of Ph. D. Degrees of Th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42. Rho, J. H. and Park, T. H.(2015). A Study on the Scenic Sites of the Joseon Period in Myeongseungyuramdo: Focusing on Cheonggu Namseungdo.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9(1): 39-51. 

  43. Kang, Y. J. and Kim, Y. R.(1991). A Study on the Type and the Spatial Location of Pal-Kyong(eight scenery)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9(2): 27-36. 

  44. Chungchundang Work Collection(聽天堂集) 

  45. Jeochonyoogo(樗村遺稿) 

  46. Beonam Work Collection(樊巖集) 

  47. Gwanamjeonseo(冠巖全書) 

  48. Replacement of Samyeon Work Collection(三淵集拾遺) 

  49. http://www.heo.or.kr 

  50. Myeonggo Work Collection(鳴皐集) 

  51. Shin, Y. J.(2005). Shidafu's Living and Culture Mentioned in I-un-ji. Han Mun Hak Bo(漢文學報). 13: 387-4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