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보건지표의 지역 격차: 지경학적 고찰과 대응방안
Regional Inequalities in Healthcare Indices in Korea: Geo-economic Review and Action Plan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3, 2018년, pp.240 - 250  

김춘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무권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  공인덕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운동의학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the end of 2017, in a world of 7.6 billion people, there were inequalities in healthcare indices both within and between nations, and this gap continues to increa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inequalities in healthcare indices and to find an action p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우리나라 보건지표의 지역 격차 현황을 예시하고 지역의 건강수준 향상 및 지역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지경학적 고찰을 시도한 후 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지역 간 건강불평등 심화의 이면을 우리나라 경제발전과정에서 지역개발에 대한 지정학적(geopolitical) 또는 지경학적(geo-economic) 측면과 함께 국토의 균형발전이라는 거시적 차원에서 연대기적 도시 또는 농어촌개발 관련 법률의 제·개정현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서 보건지표의 지역 격차 해소의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한다(Appendices 1, 2) [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규모 공단이나 도시 중심의 지역개발정책이 우리나라의 지역 격차를 촉발시켰다는 근거는? 따라서 오랫동안 대규모 공단이나 도시 중심의 지역개발정책은 보이지 않게 농어촌 지역으로부터 끊임없는 젊은 계층의 인구 유출, 지역 간 기본 인프라의 차등적인 구축으로 우리나라의 지역 격차를 촉발시켰다고 본다. 즉 경제성장과 민주화로 인한 1990년 중반 본격적인 지방자치제도의 시행과 함께 지방정부 중심의 지역보건사업과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전면 확대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이나 광역도시권에 비해 대부분 군지역(농어촌 지역)의 건강생활실천 관련 보건지표의 격차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심화되고 있는 점이 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물론 생활여건이 현저히 뒤떨어진 비수도권, 농촌·산촌·어촌, 중소도시가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의 구축을 통한 국토의 균형발전에 의한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국가는 별도의 국토기본법(2002년)과 국가균형발전특별법(2004년)의 제정으로 보건의료의 확충을 약속하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지역개발정책의 흐름이나 거버넌스(국토개발부 주도)로 보아서는 요원해 보인다.
지역 격차란? 지역 격차(regional disparity, regional inequality)는 세계 어느나라에나 또한 어느 시대에나 상존하고 있으며, 이는 정도의 문제이지 전혀 없을 수는 없는 이슈로서 인구밀도, 인당 소득, 산업이나 생활환경수준 등의 요인들을 공간적으로 규정하여 밝힌 긍정적 또는 부정적 차이로 접근하거나 지역 간 성장속도 차이로 발생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1-3]. 이렇듯 지역 격차는 전통적으로 경제개발을 통한 지역 간 1인당 주민소득의 차이인 경제지표로 측정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한 다양한 비판이 가해져 그 개념을 복지, 보건의료(건강상태), 삶의 질(심리적 만족, 행복) 또는 인간의 기본수요 등의 광의적이며 포괄적으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국내·외에서 동시에 시도되었다[4-7].
인구폭발의 현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 인구가 70억을 넘어섰고, 수천 년 인류 역사상 세계의 도시 거주인구가 농촌의 거주인구보다 많아지기 시작해 인구학적 이유만으로도 세계적 차원의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인구폭발의 현상은 사망률이 떨어지는데 오히려 출생률이 높은 상태로 유지된 18세기부터 산업혁명과 함께 획기적인 위생, 의료(기술)의 진보 등으로 시작되어 이제는 전 지구적 위기를 경고하고 있다[8,9].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난 70여 년 동안 경제발전, 도시화, 근대화의 지역적 차이로 76억(2017년 말 현재)의 세계인이 누리는 삶의 질에는 지역(국가)에 따라 엄청난 격차가 존재하며 그 격차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Venables AJ. Regional disparities in regional blocs: theory and policy (no. 2920). Washington (DC):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2005. 

  2. Brown B, Perkins DD, Brown G. Place attachment in a revitalizing neigh-borhood: individual and block levels of analysis. J Environ Psychol 2003; 23(3):259-271. DOI: https://doi.org/10.1016/s0272-4944(02)00117-2. 

  3. Folmer H, Oosterhaven J. Spatial inequalities and regional development. Boston (MA): Martinus Nijhof; 1977. 

  4. Hwang MC. Regional structure and interregional fow: theoretical approach. In: Hwang MC, editor. Regional development: theory and policy. 3rd ed. Seoul: Bobmunsa; 2001. pp. 15-16. 

  5. Yoon SG. A study on analysis regional disparities in south and north of Gyeonggi Province and concerned with policy evaluation [master's thesis].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2. 

  6. Sullivan F. Te John Bryden memorial lecture: improving health with the community health index and developments in record linkage. Inform Prim Care 2014;21(4):156-160. DOI: https://doi.org/10.14236/jhi.v21i4.76. 

  7. Reed JF 3rd, Burdine JN, Felix M. Aggregate health status: a benchmark index for community health. J Med Syst 2003;27(2):177-189. 

  8. De Blij H. Why geography matters: more than ever. 2nd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9. Marmot M. The health gap: the challenge of an unequal world. New York (NY): Bloomsbury Press; 2015. 

  1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at a glance 2017: OECD indicators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2017 [cited 2018 Jul 19].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health/health-systems/health-at-a-glance-19991312.htm. 

  11. Lozano R, Naghavi M, Foreman K, Lim S, Shibuya K, Aboyans V, et al.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Lancet 2012;380(9859):2095-2128. DOI: https://doi.org/10.1016/ S0140-6736(12)61728-0. 

  12.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c allcause and cause-specif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2015;385(9963):117-171. DOI: https:// doi.org/10.1016/S0140-6736(14)61682-2. 

  13. Kim NH, Jeon JE, Chung WG, Kim DK. Social determinants related to the regional difference of unmet dental need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1):62-72. 

  14. Hong JM, Lee SH, Shin HS. Variation in life expectancy by area deprivation: magnitude and trends in Korea, 2000-2011. Health Soc Sci 2013; 34(1):273-298. 

  15. Jeong JY, Kim CB, Shin MH, Ryu SY, Hong JY, Kim NH, et al. Factors related with regional variation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ata. Korean Public Health Res 2017;43(3):91-108. 

  16. Park JW.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at the regional level in Korea. Health Welf Forum 2018;(260):7-19. 

  17. The Korean Society for Equity in Health. Profle of health inequalities between nationwide metropolitan city.do and city.gun.gu [Internet]. Seoul: The Korean Society for Equity in Health; 2018 [cited 2018 Jul 27]. Available from: https://drive.google.com/open?id1Czdweu2_Db5QsK- JOiqSGo1BJp2ody0nI.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2017 Community health statistics at a glance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cited 2018 Jul 27]. Available from: https://chs.cdc.go.kr/chs/index.do. 

  1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 [cited 2018 Jul 2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W/eng/engMain.do. 

  20. Brenner N. New state spaces: urban governance and the rescaling of statehoo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1. Park BG, Kim DW. Nation and region: region in Korea according to multiscalar perspective. Seoul: Alt; 2013. 

  22. Heo HH.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pproach to reducing health inequalities. Health Welf Forum 2018;(260):62-77. 

  23. Jeong BG. Policy and regional health planning for reducing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Health Welf Forum 2018;(260):50-61. 

  24. Marmot M, Allen J, Goldblatt P, Boyce T, McNeish D, Grady M, et al. Fair society, healthy lives: strategic review of health inequalities in England post-2010. London: Te Marmot Review; 2010. 

  25. Whitehead M, Poval S, Loring B. The equity action spectrum: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guidance for addressing inequities in health.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14. 

  26. Lee SI. Regional disparity of health and the health resource allocation of the welfare state. Health Soc Sci 2015;38(1):123-145. 

  27. Kim DK. Tackling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 England: review and implications. Health Welf Forum 2017;(251):71-85. 

  28. Ki M. Community-level eforts to reduce health inequalities: lessons from selected countries. Health Welf Forum 2018;(260):39-49. 

  29. Ma KR. Black list of local city: compact city is only a living way! Goyang: Kaemagowon; 2017. 

  30. Yoo SJ, Noh MJ. Local extinction looked by population, household, and housing: what's the status? Seoul; Maekyung Book; 2018. 

  31. Hwang JH. Doe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work for Korea?: empirical evidence on regional disparit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32. Kim CB. Liaison and collaborative efort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or achieving Health Plan 2020. Proceedings of the 2017 Fall Conference on T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17 Oct 18-20; Busan, Korea. Seoul: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17. 

  3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fnance standards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2018 [cited 2018 Jul 30].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dac/fnancing-sustainable-development/development-fnance-standard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