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risoner's Perception of Stigma on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57, 2018년, pp.57 - 84  

공정식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일반인들이 출소자를 기피하고 차별하는 의식들의 근저에는 낙인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결국 출소자들의 재범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나, 낙인에 대한 출소자 스스로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편이다. 낙인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인의 하위척도를 대중낙인, 개인낙인, 그리고 자기낙인으로 구분한 Phillips(2016)의 견해에 기초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이 자기 낙인보다는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출소자들이 자기낙인보다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하면서도, 대인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는 대중낙인보다 자기낙인의 영향을 더 받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출소자들이 외면적인 사회적 인식보다는 내면적인 심리적 인식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소자의 내면적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낙인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자기낙인이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자기낙인이 심할수록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체적으로 가족관계 중에서는 자녀, 사회관계 중에서는 직장동료, 그리고 일반관계 중에서는 자신과의 신뢰에 낙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낙인이 출소자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타자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셋째 출소자들은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한데, 자기낙인은 자아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재정립하여 스스로를 일탈자로 인식하고 불량한 생활양식을 보이며, 경력범죄자로 발전해가는 것을 의미하는 바, 자아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청된다. 넷째 본 연구는 남성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성별에 따라 낙인을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낙인은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결국 사회 내 재통합과 재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바, 이를 추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umes that the perception of the ex-prisoner's against stigma will affect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ior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re is a stigma at the base of the awareness where people avoid and discriminate against ex-prisoner's. This in turn affects ex-prison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동안 일반인들이 출소자에 대하여 인식하는 낙인이 주 연구 대상이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와는 달리 낙인에 대한 출소자 스스로의 인식에 따라 사회 내 다양한 대인관계에서 어떻게 신뢰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낙인의 유형과 신뢰의 대상자에 따라서 그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대중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개인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자기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인이란? 낙인(stigma)이란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에 대하여 부정적인 편견이나 고정관념을갖고, 공정하지 않게 차별행동을 하여 이들을 불리한 상태로 몰아가는 표현이라 볼수 있다. 이러한 낙인은 1938년 Tannenbaum이 형사사법기관의 공식적 개입으로 인한 낙인의 효과를 언급한 이후, 1963년 Becker는 공식처벌에 따른 낙인을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개념으로 내재화하는 것이 재범의 중요 요소라고 하였으나, 대부분의 낙인연구에서 이러한 부분들이 경시되었다.
2개 이상의 낙인이 결합하는 복합낙인의 예는 어떤것이 있는가? 또한 사회적 약자들에게는 더욱이 2개 이상의 낙인이 결합하는 복합낙인(complex stigma)도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성범죄자이다. 여성이라는 종족적 정체성, 그리고 범죄자라는 개인적 결함이복합된 낙인자이다. 이러한 낙인은 통상 어떤 사람이나 집단에 대하여 독특한 특성에 근거한 차이인식과 가치평가의 절하를 포함한 사회적 구성물(social construction)로 이해되지만(Link & Phelan, 2001), 낙인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낙인은 어떤 유형이 있는가? 낙인의 주창자인 Goffman(1963)은 혐오스러운 신체(장애인 등)에 대한 낙인, 개인적 결함(범죄자, 알코올중독자, 동성애자, 실업자 등)에 대한 낙인, 그리고 종족적 정체성(흑인, 혼혈인, 여성, 이단종교자 등)에 대한 낙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범죄자는 개인적 결함에 따른 낙인의 유형에 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고성혜, 이완수, 정진희 (2005). 청소년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2. 김민정, 권인숙, 김선영 (2017). 성폭력 피해의 치명성 낙인이 피해자다움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 폭력 후유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25(3), 117-139. 

  3. 김소희, 황의갑 (2015). 학교 내 공식처벌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9(3), 103-129. 

  4. 김수정, 허찬희, 이지연 (2017). 구치소 재소자가 지각하는 낙인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1), 65-81. 

  5. 김은영, 강소영 (2012). 수형자들의 교정프로그램과 범죄경력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연구, 8(3), 89-111. 

  6. 김혜미 (2016). 사회적응을 위한 출소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선영 (2012). 여성 수형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성별 차이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미국 여성수형자의 사례. 한국범죄학, 3(2), 41-66. 

  8. 이동훈, 신연희, 최관 (2014).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방안 연구.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9. 이원복, 김미숙, 박민선, 박혜련 (2011). 재범방지를 위한 범죄자처우의 과학화에 관한 연구 II: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민간전문시설 확충방안: 종교단체의 참여확대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0. 이희명, 김영미 (2017).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화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7(9), 549-562. 

  11. 최인섭, 김지선 (1995). 전과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2. Anderson, E. (1999). Code of the Street: Decency, Violence, and the Moral Life of the Inner City. New York: Norton. 

  13. Applegate, B., Cullen, F., & Fisher, B. (2002). Public views toward crime and correctional policies: Is there a gender gap?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0, 89-100. 

  14. Aronson, J., & Steele, C. M. (2005). Stereotypes and the Fragility of Academic Competence, Motivation, and Self-Concept. pp. 436-456 in Handbook of Competence and Motivation, edited by A. J. Elliot and C. S. Dweck.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15. Benson, M. L., Alarid, L. F., Burton, V. S., & Cullen, F. T. (2011). Reintegration or Stigmatization? Offenders’ Expectations of Community Re-Entry.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9, 385-393. 

  16. Braithwaite, J. (1989). Crime, Shame and Reintegratation.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Braithwaite, J., & Braithwaite, V. (2001). Part I: Shame, Shame Management and Regulation. pp. 3-69 in Shame Management through Reintegration, edited by E. Ahmed, N. Harris, J. Braithwaite, and V. Braithwait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Brooks Holliday, S., King, C., & Heilbrun, K. (2013). Offenders' perceptions of risk factors for self and others: Theoretical importance and some empirical data.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40, 1044-1061. doi: 10.1177/0093854813482308 

  19. Corrigan, P. W. et al. (2005).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 Explanatory models and methods forchange. AppliedandPreventivePsychology, 11, 179-190. 

  20. Corrigan, P. W., & Miller, F. E. (2009). 'Shame, blame, and contamination': A review of the impact of mental illness stigma on family members. Journal of Mental Health, 13, 537-548. doi: 10.1080/09638230400017004. 

  21. Corrigan, P. W., Larson, J. E., & Kuwabara, S. A. (2010). Social psychology of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Public and self-stigma models. In J. E. Maddux & J. P. Tangney (Eds.), Social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clinical psychology (pp. 51-68). New York, NY: The Guildford Press. 

  22. Evans, T. D., & Adams, M. (2003). Salvation or damnation? Religion and correctional ideology.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8(1), 15-35. 

  23. Fletcher, D. R., Taylor, A., Hughes, S., & Breeze, J. (2001). Recruiting and employing offenders. Joseph Rowntree Foundation. 

  24. Goffman, E. (1963).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5. Hing, N., Nuske, E., Gainsbury, S. M., & Russell, A. M. (2016). Perceived stigma and self-stigma of problem gambling: perspectives of people with gambling problems. International Gambling Studies, 16(1), 31-48. 

  26. LeBel, T. P. (2012). Invisible stripes? Formerly incarcerated persons' perceptions of stigma. Deviant Behavior, 33, 89-107. doi: 10.1080/01639625.2010.538365 

  27. Link, B. G., & Phelan, J. C. (2001). Conceptualizing stigma. Annual Review of Sociology, 27, 363-385. 

  28. Link, B. G., Cullen, F. T., Struening, E., Shrout, P. E., & Dohrenwend, B. P. (1989). A modified labeling theory approach to mental disorders : An empirical assesment. American Sociology Review, 54, 400-423. 

  29. Major, B., & O’Brien, L. T. (2005). The Social Psychology of Stigma.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6, 393-421. 

  30. Maruna, S. (2001). Making Good: How Ex-Convicts Reform and Reclaim Their Liv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Mashek, D., Meyer, P., McGrath, J., Stuewig, J., & Tangney, J. (2002). Inmat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Stigma (IPES). George Mason University, Fairfax, VA. 

  32. McAnany, P. D., Tromanhauser, E., & Sullivan, D. (1974). The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of Ex-Offender Groups in the Chicago Area.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33. Metcalf, H., & Anderson, T. (2001). Barriers to Employment for Offenders and Ex-Offenders. National Institute for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34. Moore, K. E., Stuewig, J. B. & Tangney, J. P. (2016). The Effect of Stigma on Criminal Offenders' Functioning: A Longitudinal Mediational Model. Deviant Behavior, 37(2), 196-218, DOI: 10.1080/01639625.2014.1004035 

  35. Moore, K., Stuewig, J., & Tangney, J. (2013). Jail inmate's perceived and anticipated stigma: Implications for post-release functioning. Self and Identify, 12, 527-547. 

  36. Phillips, S. K. (2016). Offenders' Perceptions of Stigma:Importance and Measurement. 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Psychology in Drexel University. 

  37. Pronin, E., & Kugler, M. B. (2007). Valuing thoughts, ignoring behavior: The introspection illusion as a source of the bias blind spo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3, 565-578. doi:10.1016/j.jesp.2006.05.011 

  38. Schomerus, G., Corrigan, P. W., Kaluer, T., Kuwert, P., Freyberger, H. J., & Lucht, M. (2011). Self-Stigma in Alcohol Dependence: Consequences for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14, 12-17. 

  39. Semple, S. J., Patterson, T. L., & Rant, I. (2005). Methamphetamin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Heterosexual Men and Women. Journal of Substance Use, 10, 31-47. 

  40. Sprott, J. B. (1999). Are members of the public tough on crime? The dimensions of public punitivenes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7(5), 467-474. 

  41. Taylor, D. M., Wright, S. C., Moghaddam, F. M., & Lalonde, R. N. (1990). The personal/group discrimination discrepancy: Perceiving my group, but not myself, to be a target for discrimi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6, 254-262. 

  42. Triplett R. A., & Jarjoura, G. R. (1994). Theoretical and Empirical Specification of a Model of Informal Labeling.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0(3), 241-276. 

  43. Winnick, T. A., & Bodkin, M. (2008). Anticipated stigma and stigma management among those to be labeled "ex-con." Deviant Behavior, 29, 295-333. doi: 10.1080/01639620701588081. 

  44. Young, W. J. (1976). Impact of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on Criminal Offenders: Perceptions of Stigma by Men on Parole.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at Washington. 

  45. Zimring, F. E., & Johnson, D. T. (2006). Public opinion and the governance of punishment in democratic political systems.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 Social Science, 605, 266-28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