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소자의 직무만족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Job Stress in the Process of Effect of Ex-prisoners's Job Satisfaction on Occuapational Adapt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2, 2019년, pp.93 - 100  

공정식 (경기대학교 인문사회계열) ,  권준성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금 생활을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출소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직장 내에서 느끼는 직무에 대한 만족이 그들의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그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사회·환경적 적응의 주요 심리요인으로 작용하는 자존감의 매개 효과와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함께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출소자의 직무만족은 직업적응에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자존감이 매개하여 부분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간접효과를 직무스트레스가 조절하여 부적인 조절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에 대한 만족을 통해 얻어지는 출소자의 주요한 심리적 요인인 자존감이 직업유지와 적응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직무스트레스가 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기존 연구들의 경우 직무 관련 정서들이 개인의 어떤 심리적 요인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인지, 그리고 무엇이 이를 조절할 수 있는지와 같은 종합적 연구는 미진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출소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본격적인 탐색과 검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usality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vocational adaptation of ex-prisoners through empirical study and to verify the moderated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job str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job satisfaction have a static ef...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수행된 박광원(2019)의 연구에서 역시 취업· 직업훈련에 참여한 출소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재범률이 낮다는 결과가 확인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위에서 언급한 요인들의 개념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 관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그러나 이 과정에서 어떠한 심리요소가 직무 관련 요인에 영향을 받고 직업에 적응하고 유지하는 부분에 영향을 주는지와 같은 매개 역할과 조절역할에 대한 부분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소자가 느끼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직업적응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이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 출소자의 자존감은 직업적응에 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정시설에 입소하는 수형자 중 재범자의 비율은? 법무부와 경찰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교정시설에 입소하는 수형자 중 약 45% 정도가 재범자이고 출소자의 재범률은 2015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또한, 검거된 범죄자 중 전과자의 비율은 2008년 65.
직업과 관련된 요인들 중 직업을 유지하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나는 것은? 직업과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직업만족, 직무 능력, 직업적응 등이 직업을 유지하는 데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1], 그 중에서도 직업적응이 직업을 유지 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 구체적으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는 서로 부(-)적으로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는데[5][6], 통계조사원을 대상으로 한 윤기혁(2016)의 연구에서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조절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범률 증가의 다양한 원인 중 사회적응에 관한 어려움은 무엇이 있는가? 재범률 증가의 다양한 원인 중 출소자가 겪는 출소후 사회적응의 어려움은 이들을 범죄의 길로 다시 이끌어가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출소자는 구금 생활을 마친 이후 사회복귀 장면에서 고용 불안, 주거 불안정, 사회적 지원, 가족관계 등의 문제와 부딪치게 되며, 이는 출소자들의 사회적응 성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직업과 관련된 요소들은 출소자의 사회 적응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연구 되었으며[1], 범죄와 직업의 관련성에 대한 자료들을 살펴본 결과, 3분의 2의 수형자들이 양형 단계에서 직업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일반인 실업률의 약 13배에 달하는 높은 수치이다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혜미, 사회적응을 위한 출소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 F. Cosgrove and M. O'Neill, The Impact of Social Enterprise on Reducing Re-offending, Durham University, 2011. 

  3. 연성진, "출소자 사회복귀를 위한 지역사회회복 모델-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교정담론, 제7권, 제1호, pp.35-62, 2013. 

  4. 심경순,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 변중현,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 담당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 변재우, 호텔 종사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7. 안혜영, 문화적응, 사회적 지원, 자존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K항공사 외국인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M. H. Kernis,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Vol.14 No.1, pp.1-26, 2003. 

  9. 정민경, 성인 자존감 안정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0. 최경하, 김석웅, 임형문, 김세영, 전기숙, 오수성, "보호대상자의 심리건강척도 개발," 교정복지연구, 제49호, pp.195-230, 2017. 

  11. 권명옥, 병사들의 군사특기와 성격유형별 직무만족도 및 자존감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조인수,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문화충돌과 직업적응과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3. 신성만, "출소자 지역사회 재활서비스의 국내외 현황과 시사점: 정신사회 재활모델의 적용," 보호관찰, 제14권, 제2호, pp.149-189, 2014. 

  14. 심경순,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5. 김형섭, "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觀光硏究, 제19권, 제3호, pp.12-224, 2005. 

  16. 배병렬, Amos24 구조방정식 모델링, 2017. 

  17. 공정식,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제57호, pp.57-84, 2018. 

  18. 박광원, 출소자의 직업적 재사회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출소자 보호사업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