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경제에서 서비스품질이 공유가치창출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공유자전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haring Bicycle Service Quality on Creating Shared Value and Use Intention in China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46 no.3, 2018년, pp.523 - 538  

이은지 (강남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조철호 (대구한의대학교 의료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useful suggestions by analyzing causal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haring bicycle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CSV, and continuos use intention in China.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tructure equ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Churchill and Suprenant(1982)는 기대와 제품성과가 부정적으로 불일치하면 고객 불만족을 유발시킨다고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는 자전거에 대한 서비스품질이나 공유자전거 이용실태의 일부분으로 서비스품질을 연구하거나 사용자 이용형태로 고객만족에 대해서 연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PZB 이론을 적용한 공유자전거 서비스품질을 고려하여 선행 연구에서 광의의 의미인 고객만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공유경제 및 공유자전거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는 이뤄지고 있으나, 고객만족, 공유가치창출, 지속이용의도의 관계를 밝히는 논문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유경제 및 공유자전거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결과를 통해 공유경제에 대한 고객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공유자전거산업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전 세계적으로 다수의 공유자전거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유자전거를 다룬 연구는 활발하지 못했으며, 특히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유자전거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PZB 모델의 5가지 차원인 유형성, 신뢰성, 정확성, 대응성, 공감성으로 분류하고 각 요인별 하위변수를 공유자 전거에 맞춰서 조사를 실시한 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제시된 공유경제 및 공유가치창출(CSV) 등의 개념이 아직은 대중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새로운 개념들이 향후 학문적으로 어떻게 정착이 되고, 실무적으로 어떤 방향이 의미가 있을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살펴보아야 한다.
  • 본 연구는 Porter와 Kramer가 그들의 연구에서 애초 제시했던 CSV 모델을 가장 근본적인 인식의 틀로 개념화하여 기존 여러 선행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구분하여 전제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라는 두 관점을 공통적인 요인으로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유자전거의 서비스품질 차원이 고객만족, 공유가치창출,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비교하여 연구모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공유경제에서 중국 공유자전거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공유가치창출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공유경제가 발전해야 할 방향성을 살펴보고 전략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유자전거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공유가치창출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가설들을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Table 5]와 같이 24개의 가설 중 13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공유경제에 대해서 살펴보고 공유경제 중에서 여러 가지 사회문제 해결과 빅데이터로 접근해볼 수 있는 공유자전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공유자전거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공유자전거 시장을 중심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 Yun(2017)의 연구에서 핀테크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도는 재이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지속이용의도를 공유자전거에 대한 미래행동의 개념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특히 공유자전거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공유자전거 시장을 중심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중국의 공유자전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공유자전거 서비스 품질에 대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살펴보고, 공유자전거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공유가치창출과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공유경제 및 공유자전거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는 이뤄지고 있으나, 고객만족, 공유가치창출, 지속이용의도의 관계를 밝히는 논문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 지금까지 공유자전거의 구성요인, 공유자전거정책과 이용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전 세계적으로 다수의 공유자전거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유자전거를 다룬 연구는 활발하지 못했으며, 특히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공유경제에 대해서 살펴보고 공유경제 중에서 여러 가지 사회문제 해결과 빅데이터로 접근해볼 수 있는 공유자전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공유자전거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공유자전거 시장을 중심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중국의 공유자전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공유자전거 서비스 품질에 대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살펴보고, 공유자전거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공유가치창출과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1 : 공유자전거의 서비스품질인 유형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 공유자전거의 서비스품질인 신뢰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 공유자전거의 서비스품질인 정확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 공유자전거의 서비스품질인 대응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 공유자전거의 서비스품질인 공감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 고객만족은 공유가치창출인 경제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 고객만족은 공유가치창출인 사회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 서비스품질은 공유가치창출인 경제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4 : 서비스품질은 공유가치창출인 사회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 : 공유가치창출인 경제적 가치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2 : 공유가치창출인 사회적 가치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3 : 서비스품질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유경제의 목표는 무엇인가? 공유경제란 대량생산, 개인 소유의 경제원칙을 공유를 근간으로 하는 협력적인 소비로 전환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중국 공유경제 시장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소비시장의 지형을 변화시키고 있다.
초기 공유경제와 달리 현재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공유경제는 어느 영역에 집중되어 있는가? 공유경제는 차량, 숙박, 사무실, 임차 등 고가의 소비로부터 자전거 임차 등 저가 생활소비, 즉 일상생활에서 시작했다. 현재 플랫폼에서 많이 이뤄지는 공유경제는 생활서비스, 생산능력, 교통차량, 숙박, 지식공유 등 다양하며, 주로 생활서비스 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PZB가 찾은 서비스 품질의 5가지 속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1985). PZB(1985)는 궁극적으로 10가지 차원의 결정요인을 찾아냈고, 1998년 22개 항목에서 5가지 차원인 유형성(tangibility), 신뢰성(reliability), 반응성(responsiveness), 확신성(assurance), 공감성(empathy)을 SERVQUAL의 측정요인으로 주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연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ex, S. 2015. The Business of Sharing, Hans Media. 

  2. Anderson, R. E. 1973. "Consumer dissatisfaction: The effect of disconfirm expectancy on perceived product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2):38-44. 

  3. Anderson, E., Fornell, C., and Lehnmann, D. R. 1994. "Customer satisfaction,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findings from Sweden." Journal of Marketing 58(3):53-66. 

  4. Churchill, G. A., and Suprenant, C. 1982. "An Investigation into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6(11):491-504. 

  5. Cronin, Jr., Joseph. J., and Taylor, S. A.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55-68. 

  6. Engel, J. F., Blackwell, R. D., and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N.Y. Dryden Press. 

  7. Gronroos, C. 1984.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4):36-44. 

  8.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Prentice Hall. 

  9. Jang, Y. J. 2015. "The Exploratory Research of CSV(Creating Shared Value) Cognition" 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0. Jeon, S. Y. 2014. "A Study 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Intention of Online Sharing Economy Platforms." A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1. Joreskog, K. G., and Sorborn, D. 1993. Lisrel 8 User's Reference Guide,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12. Kang, B. S. 2002. Research methodology for cause and effect analysis Seoul: trade management corp. 

  13. Kang, B. J. 2012. "A Study on Application of social enterprise of the sharing economy system."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012(4):107-134. 

  14. Kim, J. H., Choi, K. C., and Kim, S. H. 2015. "Percieved Features of Cycling and Value of Public Bike System." Journal of Korea Society of Transportation 33(2):125-135. 

  15. Kim, H. J., Park, J. W., and Jo, D. H. 2016. "An Empirical Study on Success Factors of Sharing Economy Service."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1):214-229. 

  16. Kim, H. S. 2010.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Public Bicycle Facilities in Changwon." A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17. Lai, S. 2012. "The Acceptance and Satisfaction of Public Bike System: A Case Study on Taiwan's YouBike System." Journal of the Chinese institute of Transportation 24(3):1-24. 

  18. Lee, E. J., and Cho, C. H. 2017.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Types of Delivery and Customer on China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30(8):1409-1432. 

  19. Lee, H. S. 2006.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performances of post officer's delivery service." A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 Lee, K. J. 2011. "A study on the Location of Bicycle Stations for Encouraging Public Bicycle System." A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21. Mingzi, S. 2018.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 Values for Sharing Economy Services on Sustainable Use Intentions." A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22. Oh, M. Y. 2014. "A Study of the Effects of CSV on Corporate Value." A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23.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460-470. 

  24. Park, H. S. 2015.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isks, Perceived Values, Trust, and Intention to use for Sharing Economy Service." A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25.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41-50. 

  26. Porter, M. E., and Kramer, M. R. 2011. "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89(1):4-17. 

  27. Rha, J. Y., Kim H. K., Kim H. J., Lee, Y. L., and Lee, J. M. 2014.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n Era of Creating Shared Value."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25(3);141-162. 

  28. Shin, H. C., Kim, D. J., and Jeong S. Y. 2012. "Impact Analysis on Bike-Sharing and Its Improvement Plan." KOTI, 2012:1-310. 

  29. Tse, D. K. 1988. "Model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A Cognitive Model of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2):204-212. 

  30. Yoon, B. H.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Fintech Service Quality and Technology Acceptance on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Creating Shared Value(CSV), and Corporate Reputation." A doctorate thesis Hansung University. 

  31. Xu, Y. 2010. "The Public Bicycle System in Hangzhou, China: Options from Providers and Us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Netherland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