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Preliminary Analysis on Strategic Planning to Enter Chinese health Care Market: Focusing on SWOT-AHP Analysi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4, 2018년, pp.139 - 154  

손신영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aged worker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the $x^2-test$, t-test, ANOVA, and multip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근로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보건의료 프로그램 및 보건 의료 정책 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 이에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근로 형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규명하여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건의료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근거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들의 건강 상태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근로의 조건과 형태는 개별 근로자들의 경제적 지위, 사회심리적인 상태, 건강관련 행위, 직무상의 유해요인 노출 등에 영향을 줌으로써 다양한 경로로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4], 근로 특성에 따라 노출된 작업 환경과 사회 경제적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근로자들의 건강 상태는 근로 형태와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육체직 근로자의 사망률이 비육체직 근로자에 비해 높고, 건강수준이 낮으며 심한 육체노동의 경우 건강에 좋지않는 영향을 주어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5].
건강관련 삶의 질이란? 건강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중 건강관련 삶의 질이 지표의 하나로 사용되는데, 건강관련 삶의 질의 구성요소는 건강이며 개인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서 느껴지는 삶의 질을 의미하며 건강관련 문제들의 결과를 주로 반영한 개념이다[8][9].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집단과 비교를 통해 대상 집단의 건강수준을 확인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30%가 고용불안 상태인데, 이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0%인 것으로 나타나[1],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30%이상이 고용불안 상태에 있다. 고용불안에 대한 우려는 실직으로 인한 경제적 수입의 상실 및 사회적 지위 상실에 따른 일상생활의 어려움, 재취업에 대한 우려, 실직의 장기화가 가져오는 빈곤화 등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직업 안정성의 상실감과 불안감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고용 불안 때문에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위험과 건강상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저임금 노동을 만회하기 위해 장시간 노동과 강도 높은 노동을 함으로써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2018). http://kosis.kr/index/index.do 

  2. S.B. Shin(2017), The Quality of Life of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in Korea.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ol.8(1);225-256. 

  3. M.Bartely, J.Ferrie(2001), Glossary: Unemployment, Job Insecurity, and Health.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55;776-781. 

  4. C. Metcalfe, G. Smith, J.A.C. Sterne, P. Heslop, J. Macleod, C. Hart(2003) Frequent Job Change and Associated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6(1);1-15. 

  5. S.C. Shin, M.J. Kim(2007), The Effect of Occupation and Employment Status upon Perceived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22;205-224. 

  6. Y.M. Lee, Y.G. Phee(2016).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emale Labor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26(2);210-218. 

  7. T.Meijster , B. van Duuren-Stuurman, D. Heederik, R. Houba, E. Koningsveld, N. Warren, E.Tielemans(2011). Cost-Benefit Analysis in Occupational Health: A Comparison of Intervention Scenarios for Occupational Asthma and Rhinitis Among Bakery Worke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68(10);739-745. 

  8. B. Spiker, D.A. Revicki(1996), Taxonomy of Quality of Life. In: Spiker B, editor. Quality of Life and Pharmacoeconomics in Clinical Trials. 2nd ed. Philadelphia:Lippinicott-Raven Publisher, pp.25-31. 

  9. C.O. Larson(2002). Use of the SF-12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health of homeless persons. Health Services Research, Vol.37 (3);733-750. 

  10. W.J. Hwang, Y.H. Park(2015).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Korean Blu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4(2); 94-102. 

  11. S.Y. Sohn(2015). Effect of Regular and Temporary Employmen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4);171-182 

  12. Y.H. Park, D.H. Chae, S.H. Kim(2017). The Effects of Overtime Work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Blue-Colla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12);199-208. 

  13. H.K. Woo, O.R. Moon, J.H. Park(2009). The Difference of Health According to mployment Status and Income Level of Wage-Earner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Vol.19(2);85-110. 

  14.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1)(20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knhanes.cdc.go.kr 

  15. S.J. Park, H.R. Choi, J.H. Choi, K.W. Kim, J.P.Hong(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xiety and Mood, Vol.6,(2);119-124. 

  16. H.S. Nam, K.Y. Kim, S.S. Kweon, K.W. Koh, P. Kind(2007). Estimation Report on Quality Weights for EQ-5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p.1-20. 

  17. Y.R. Jung, S.H. Jung, S.S. Han(2018),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 28(1);117-123 

  18. H.Y. Kim(2010), The Effect of Married Woman's Job Stress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pp.4-11. 

  19. S.C. Shin, M.J. Kim(2007), The Effect of Occupation and Employment Status upon Perceived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22(1);205-224. 

  20. V. Marianna, M. Kivimaki, M. Joensuu, P. Virtanen, M. Elovainio(2005). Temporary Employment and Health: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Vol.34(3);610-622. 

  21. M.A. Han, S.Y. Ryu, J. Park, M.G. Kang, J.K. Park, K.S. Kim(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1(3);173-180. 

  22. J.E. Ferrie, M.J. Shipley, S.A. Stansfeld, M.G. Marmot(2002). Effects of Chronic Job Insecurity and Change in Job Security on Self Reported Health, Minor Psychiatric Morbidity, Physiological Measures, and Health Related Behaviours in British Civil Servants: the Whitehall II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56(6);450-4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