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거유무에 따른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Living Alone and Living Together in the Elder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293 - 302  

손신영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들의 동거유무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건의료 프로그램과 정책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제 7기 3차년도 국민 건강영양조사 연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동거노인의 삶의 질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연령, 스트레스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동거노인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연령, 성별, 손상, 스트레스가 영향요인이었다.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according to living typ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7th-3 Perio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거노인과 동거 노인 간 건강 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며,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한 보건의료 프로 그램 및 정책 개발의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동거 유무에 따른 독거노인과 동거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경제적 수준 등 사회경제적 요인,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검진 수진 여부, 흡연 경험, 음주 경험, 손상 등 건강 관련 요인, 스트레스, 우울 등 정신 심리적 요인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보건의료 정책개발의 근거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동거 유무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건의료 프로그램과 정책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동거 유무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므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를 통해 동거 유무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정도 및 차이를 분석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동거 유무에 따른 독거노인과 동거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삶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경제적 수준 등 사회경제적 요인,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검진 수진 여부, 흡연 경험, 음주 경험, 손상 등 건강 관련 요인, 스트레스, 우울 등 정신 심리적 요인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보건의료 정책개발의 근거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tatistics Korea. (2020). Estimated Population by Major Age Groups.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2. A. R. Choi & H. Jung. (2013). A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ation Factor of Quality of Life for Senior between Korea and Japan.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3(1), 29-57. 

  3. E. R. Kim. (2013). Social Capital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with Chronic Arthritis.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3(1), 59-83. 

  4. B.Spiker & D.A. Revick. i(1996), Taxonomy of quality of life. In: Spiker B, editor. Quality of life and pharmacoeconomics in clinical trials. 2nd ed. Philadelphia: Lippinicott-Raven Publisher 

  5. S. Y. Kim & S. Y, Sohn. (2012)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4(2), 91-98. 

  6. E. J. Jung. (2019).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with fami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9(4), 577-589. DOI : 10.13065/jksdh.20190040. 

  7. J. H. Moon & D.H.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 44-54. DOI : 10.5392/JKCA.2018.18.01.044 

  8. R. Fukunaga, Y. Abe , Y. Nakagawa, A. Koyama, N. Fujise & M. Ikeda. (2012). Living Alone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in Japan. Psychogeriatrics, 12(3), 179-85. DOI : 10.1111/j.1479-8301.2012.00402.x 

  9. M. A. Lee, J. B. Kim & J. H. Kang. (2011). Living Arrange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9, 41-67. 

  10. Statistics Korea. (2019).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11. K. M. Nam & H. J. Nam. (2013). The Influence of Older People's Satisfaction Factors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Social Welfare Studies, 44(4), 395-420. 

  12. S.S. Zhang & O. S. Kwon. (2020). A Comparative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of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in China and Korea. Korean Governance Review, 27(1), 149-173.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8).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https://knhanes.cdc.go.kr/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Guidelines on the use of raw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7 th Period(2016-2018). https://knhanes.cdc.go.kr/ 

  15. EuroQol Group. (1990), EuroQol: a New Facility for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6, 199-208. 

  16. R. L. Spitzer, K. Kroenke & J. B. Wiliams. (199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rimary Care Study Group. Vali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282(18), 1737-1744. DOI : 10.1001/jama.282.18.1737. 

  17. K.Y, Park. (2017). Reliability, Valid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Global Health and Nursing, 7(2), 71-78. DOI : 10.35144/ghn.2017.7.2.71 

  18. H. C, Kang. (2014). A Study on Comparison of Yangseng(traditional health behavior), Depression, Anxiety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the Aged in the Living with Family.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5(2), 23-32. DOI :10.7231/jon.2014.25.2.123 

  19. Y. M. Jung. (2007).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ccording to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7(1), 71-86. 

  20. Y. C. Kim. (2019).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Before and After the Community Social Services: Focus o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Local Government Studies, 23(1), 417-435. DOI : 10.20484/klog.23.1.17 

  21. K. S. Kim. (2017).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8(1), 78-87. DOI : 10.12799/jkachn.2017.28.1.78 

  22. Y. H. Choi & S. H. Kim. (2008).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8(2), 34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