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조직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의 비교
Intellectu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Nurses: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2, 2018년, pp.27 - 38  

오정은 (국립목포병원) ,  전경숙 (목포대학교 간호학과.여성연구소,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장광심 (동아보건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nursing organizations between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Methods : A total of 166 nurses (82 of public hospital and 84 of private hospital) were recru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간호사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의 차이를 확인하고 공공과 민간병원에서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병원 간호사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이 민간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간호사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기관 간호조직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지적자본의 영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에 개발된 국내간호조직의 지적자본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민간병원과 공공병원 간호조직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을 비교평가하고 지적자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이 두 조직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병원 간호조직의 조직유효성과 지적자본은 민간병원 간호조직보다 높았으며 지적자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두 조직 간에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간호사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먼저, 본 연구 대상자인 간호조직 구성원인 간호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동일 시 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과 민간병원 간호조직의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의 차이를 조직환경의 차이뿐만 아니라 간호조직 구성원인 간호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업관련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논의를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6곳의 병원 간호사들 대상으로 공공병원 혹은 민간병원 근무여부를 구분하여 각 그룹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에서 나타나는 지적자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탐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생태학적 오류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또한, 선행연구결과에 기초할 때[11] 병원규모 등의 병원조직 특성에 따라 간호조직 성과로 흔히 사용되는 조직유효성도 다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간호조직의 지적자본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기존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없었던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의 간호사의 지적자본의 형성정도와 조직유효성을 비교하고 간호지적자본이 간호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병원조직 유형에 따른 우리나라 간호조직의 지적자본 형성정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민간과 공공병원 간호조직의 지적자본 및 조직성과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자본이 유형자산보다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이유는? 정보화시대에 들어 지식창출과 이의 확산, 흡수 및 활용이 가속화되고 그 결과 우리사회는 지식기반 경제사회로 전환되었다. 지식기반 경제사회에서 지적자본은 혁신과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토지, 자본과 같은 유형자산보다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1]. 다른 산업분야의 조직과 마찬가지로 병원조직의 가장 가치 있는 자산 역시 지식, 기술과 전문가 및 리더들의 경험이다[2].
미국을 중심으로 간호지적자본 정의하고 개념화하며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내연구의 상황은 어떠한가? 그러나 간호지식과 조직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은 연구방법론의 상이성과 간호지식의 조작적 정의 및 개념의 상이성으로 인해 연구결과가 일관되지 않다는 평가이다[7]. 국내연구는 더 초보적 단계로 관련 연구자체가 극히 제한적이다. 최근 한 연구에서 국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간호조직의 지적자본을 간호인적자원, 구조자본, 고객과의 관계 등과 같은 조직의 가치창출을 촉진하는 무형자산의 총합이라 정의하고 지적자본을 인적자본, 구조자본,고객자본으로 분류·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8]. 김은희[9]는 국내 간호지적자본 도구를 활용하여 병원규모별 지적자본의 수준을 파악한 바 있다. 그러나 간호지적자본이 환자건강결과 및 조직성과기여하는 지에 대한 국내연구는 없으며, 병원의 규모, 전문성, 위치 등 병원조직의 제 특성에 따른 간호조직의 지적자본 수준에 대한 탐색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병원조직에서 가장 가치 있는 자신은 무엇인가? 지식기반 경제사회에서 지적자본은 혁신과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토지, 자본과 같은 유형자산보다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1]. 다른 산업분야의 조직과 마찬가지로 병원조직의 가장 가치 있는 자산 역시 지식, 기술과 전문가 및 리더들의 경험이다[2]. 이러한 무형적 자산은 내부 역량과 외부와의 관계에서 파생된 가치와 결합되어 병원조직의 지적자본으로 형성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 Kong, S.B. Thompson(2009), An intellectual capital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strategies and practices,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and Practice, Vol.7(4);356-364. 

  2. J.M. Evans, A. Brown, G.R. Baker(2015), Intellectual capital in the healthcare sector: a systematic review and critique of the literature,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5:556 https://doi.org/10.1186/s12913-015-1234-0. 

  3. L. Edvinsson, M. Malone(1997), Intellectual capital: Realizing your company's true value by finding its hidden brain power, Harper Collins, pp.5-14. 

  4. C.L. Covell(2008), The middle-range theory of nursing intellectual capit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3(1);94-103. 

  5. L.M. Aiken, J.P. Cimiotti, D.M. Sloane, H.L. Smith, L. Flynn, D.F. Neff(2011), Effects of nurse staffing and nurse education on patient deaths in hospital with different nurse work environments, Medical Care, Vol.49(12);1047-1053. 

  6. T. Sasichay-Akkadechanunt, C. Scalzi, J. Abbas(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staffing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3(9); 478-485. 

  7. C.L. Covell, S. Sidani(2013), Nursing intellectual capital theory: testing selected proposition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9(11);2432-2445. doi:10.1111/jan.12118. 

  8. E.A. Kim, K.S. Jang(2011),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of intellectual capital for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es, Vol.41(1); 129-140. 

  9. E.H. Kim(2016), Intellectual capital of nursing organization by hospital scale(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18-20. 

  10. K.H. Kim(2011), Impact of intellectual capital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focused on Jeolabuk-do(Masters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11-21. 

  11. M.J. Kim, S.S. Han(2007),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experience between national/public hospital nurses and private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3(1);22-30. 

  12. N. Bontis(1998), Intellectual capital: An exploratory study that develops measures and models, Management Decision, Vol.36(2);63-76. 

  13. L. Edvinsson(1997), Developing Intellectual Capital at Skandia, Long Range Planning, Vol.30(3);366-373. 

  14. S.J. Han(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8(3);441-456. 

  15. R.T. Mowday, R.M. Steers, L.W. Porter(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4;224-247. 

  16. Y.H. Shin(2017), A stud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Masters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p23. 

  17. M.J. Kim, Y.M. Lee(2016),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Calling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Focused on Clinical Nurses at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6 10(3):27-37. 

  18. M.S. Park(2004), Satisfaction with and changing from current job of nurses working at Seoul city hospitals(Masters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pp.10-11. 

  19. J.R. Hackman, G.R. Oldham(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16;250-279. https://doi.org/10.1016/0030-5073(76)90016-7. 

  20.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2018). Enforcement Decree of the Civil Servant Development Act. Retrieved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5833#0000. 

  21. S.C. Lee(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ublic institutions, Korean Association of Governmental Studies, Vol.46(4);181-205. 

  22. E.Y. Lee, N.H. Kim(2010), Relationship among nurses' attitude on job rota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1(2);154-163. 

  23. E.S. Do, M.Y. Kim(2012), Comparison of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nurses by size of medical care institution: Small-medium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8(1)56-66. 

  24. G.W. Jeon, K.J. Yun(2011),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job performance of welfare professional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49(2);205-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