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에 관한 인식과 태도: 타전공 대학생과의 비교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Child Abuse - Preparation with other Major Students - 원문보기

韓國保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18 no.3, 2018년, pp.65 - 75  

김태연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정현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후 아동학대의 가장 가까운 목격자이자 신고의무자가 될 예비보육교사들이 아동학대 신고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대신고를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5개 학교에서 아동학과와 타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두 집단 간 응답을 비교하여 예비보육교사들의 아동학대 및 신고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검사도구로는 정종오(2008)의 아동학대 인식척도와 김소연과 윤혜미(2003)의 아동학대 신고인식 태도 척도 등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IBM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독립표본 t-test와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의 학대에 대한 심각성 인식 수준은 타전공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학대신고제도 및 신고의무에 대한 인지 수준 역시 타전공 대학생보다 높았다. 그러나 아동학대 담당기관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하였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는 아동학대 목격 시 타전공 대학생보다 신고의향이 높았다. 그러나 신고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다소 부정적이었다. 또한, 신고의 저해요인으로써 신분 노출에 대한 우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신고의향을 높이기 위해 신고 처리과정 및 결과의 정확한 전달과 신고자의 신분 노출을 방지할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학대신고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학대신고의 정확한 방법과 필요성, 효과성에 관한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전달과 홍보가 필요함을 지적하는 등, 아동학대와 관련된 이후 정책 제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n childe abuse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ho will become the closest witnesses to child abuse, and also whether they have the proper knowledge and attitude to report abuse.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at five univers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보육교사가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 질문하였다. 예비보육교사 대부분이 보육교사가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임을 알고 있었다.
  • 즉, 아동학대 및 신고에 관한 지식적인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미래에 신고의무자가 될 예비보육교사들이 아동학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태도를 가졌는지 살펴보았다.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태도 변인은, 아동학대를 목격했을 시 신고하고자 하는 의향과 신고효과에 대한 기대, 신고하지 않는 이유에 관한 내용이다.
  • 아동학대를 목격했을 때에는 적절한 기관에 신고하여 아동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응답자들이 아동학대 신고를 위한 담당기관에 대해 알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표 3에 나타나듯 예비보육교사와 타전공 대학생 모두 아동학대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중앙아동보호기관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그, 다음으로 경찰서나 파출소를 선택하였다.
  • 또한 이 연구는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 이후에도 논란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아동학대 문제와 관련하여, 아동학대 예방 및 신고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사실에 대해 대학생들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아동학대 신고의무제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먼저 아동학대 신고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지 질문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 중 91명(8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및 신고 관련 인식과 태도에 관해 질문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 학대 인식척도와 아동학대 신고의무 태도 척도 및 기타 관련 문항을 사용하여 예비보육교사와 타전공 대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아동학대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와 타전공 대학생의 전반적인 인식을 비교하기에 앞서, 예비보육교사와 타전공 대학생들이 아동학대 문제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질문하였다. 예비보육교사(100%)는 물론 대부분의 타전공 대학생(95.
  • 예비보육교사와 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학대를 목격하였을 때 외부기관에 신고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와 타전공 대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2=23.
  • 보육교사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 학대받는 아동을 신속하게 발견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예비보육교사인 아동학전공자들이 아동학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동학대로 볼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고 각 상황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다고 느끼는지 질문하였다. 응답을 분석한 결과, 표 2에 나타난 것처럼 학대 전체(t = 4.
  • 이 연구는 최근 아동학대와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는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및 권리에 대한 인식 수준을 확인 하기 위해 대학교 전공과정에 있는 예비보육교사들의 ,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타전공 대학생들 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 아동학 전공 및 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그중 180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관련 사안에 대한 예비보육 교사와 타전공 대학생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5개 대학교에서 아동학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다른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특히 보육교사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 아동학대를 목격한 경우 반드시 관련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대학생들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아동학대 신고의무제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먼저 아동학대 신고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지 질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및 신고 관련 인식과 태도에 관해 질문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 학대 인식척도와 아동학대 신고의무 태도 척도 및 기타 관련 문항을 사용하여 예비보육교사와 타전공 대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식 관련 질문은 주로 관심 여부, 인지 여부 등과 같은 객관적인 사실을 확인하는 질문이 포함되었고, 태도 관련 질문에는 신고의향이나 신고의 효과성 저해요인에 대한 의견 등의 주관적 생각을 확인하는 질문이 포함되었다.
  • 아동학대 및 학대신고에 대한 인식 변인은, 아동학대 정황에 대한 인식, 신고방법, 신고제도, 신고의무 등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내용이다. 즉, 아동학대 및 신고에 관한 지식적인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미래에 신고의무자가 될 예비보육교사들이 아동학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태도를 가졌는지 살펴보았다.
  •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태도 변인은, 아동학대를 목격했을 시 신고하고자 하는 의향과 신고효과에 대한 기대, 신고하지 않는 이유에 관한 내용이다. 즉, 학대를 인지하고 신고방법과 의무에 대해 알고 있는 것과 별개로, 신고를 시행할 것인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대를 인지하더라도 실제로 신고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양명자, 2015).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전공 교과과정을 거치면서 아동학대에 대해 얼마나 알게 되는지, 해당 교과과정을 거치지 않은 타 전공학생들과 비교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로, 예비보육교사들이 아동의 권리나 아동이 학대받는 상황에 대해 알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아동학대 및 학대신고에 대한 인식 변인은, 아동학대 정황에 대한 인식, 신고방법, 신고제도, 신고의무 등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내용이다.
  • 추가적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관련지식 수준을 묻는 질문을 시행하였다. 해당 부분에는 아동학대 관련 관심 여부, 아동학대 신고방법, 아동학대 신고의무에 대한 인지 여부, 보육교사의 신고의무자 여부 등이 포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학대 경험은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선행연구에 따르면 아동기의 학대 경험은 아동의 공격성과 우울 성향을 높이고 (임선아,2015; 장신재, 양혜원, 2015) 아동이 사회적으로 위축되도록 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게 한다(박기원, 2014). 
가정 내 학대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가정 내 학대를 사생활 및 양육권의 문제로 보아 부모에 의한 아동의 학대를 예방하거나 학대상황에 개입하는 데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아동학대 대부분은 부모에 의해 발생하고 있고(81.8%), 주요 발생 원인으로 부모 등 보호자의 양육 태도 및 양육기술 미숙(33.1%), 사회경제적 과다한 스트레스 및 고립(20.4%), 부부와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10.0%) 등이 보고된다(보건복지부 /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즉, 아동학대의 절대 수치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 외부보다 가정 내부의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고 초기에 발견하여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아동기는 어떤 시기인가?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한 다양한 육아 지원 정책들이 제정되고 있으나, 그만큼 중요한 또 하나의 이슈는 아동이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동기는 인간의 성격과 가치관의 기반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며, 이 시기에 겪은 불안과 고통은 전 생애에 거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아동기 학대 경험은 성인기 중범죄를 예측하는 주요요인으로 고려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