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덜란드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A Study on Social Integration in the Netherlands: For immigra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39 - 47  

이향수 (건국대학교 인문사회융합대학)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부 경제정책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 통합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네덜란드는 외국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로서, 우리보다 앞서 선제적으로 외국인에 대한 사회통합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네덜란드의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통합에 대한 문헌연구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자문을 시행하고, 네덜란드 정부의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네덜란드 사례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우선, 네덜란드 정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은 이주민들에게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의무화하였으며, 비용 역시 유료화하여 사회통합을 독려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에 참여가 소극적일때는 이주민들에게 제재를 하고 있으며, 이주민 개개인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정부의 추진체계에 있어서도 내무부를 콘트롤 타워로 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한 플랫폼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정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s of social integration in immigrants in the Netherlands an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for Korea. The Netherlands is a country that implement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targeting foreign immigrants. We are preemptively implementing social integrat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문헌들을 바탕으로 한 분석과 이민정책 전문가들에 대한 면담결과를 바탕으로 네덜란드의 사회통합정책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의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검토를 근거로 네덜란드의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을 위한 법체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네덜란드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을 추진하는 체계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이주민 통합정책을 총괄하는 정부부처나 집행부서 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한다.
  •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진들은 막연히 해외사례, 그 중에서도 네덜란드 사례를 전적으로 포용 한다기 보다는 다소 비판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이민정책이나 다문화 연구를 진행한 다수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하였으며, 다수의 문헌들을 분석하여 네덜란드 정부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노력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정부는 어떠한 방향으로 이주민들을 대해야 할지 혹은 난민문제를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할지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 셋째, 네덜란드의 사회통합 법체계와 정부추진체계 및 집행기관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또한 결론에서는 네덜란드의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 또한 법무부 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네덜란드의 이주민 사회통합정책 추진체계 등에 대한 시사점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동안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을 오랫동안 연구해온 사회통합정책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적 이주민통합정책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그동안 학회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인구저하를 해결하고 이주민통합정책의 소극성을 비판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다수 수렴하였다.
  • 이하에서는 먼저 네덜란드의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통합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고, 네덜란드 정부의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호주 사례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주민 사회통합정책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의 이민자 사회통합 사례 분석을 하고자 한다. 네덜란드는 외국인에 대해 매우 개방적인 나라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난민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 정책을 비교적 적극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있다.
  • 따라서 우리보다 앞서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통합 문제를 고민했던 선진국들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앞서 이주민들에 대한 통합문제를 고민하였던 네덜란드 사례를 분석하여 여전히 이주민이나 난민에 대해서 우호적이지 않은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국 이주민에 배타적인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 비추어 시사 하는 바가 매우 크다.
  • 네덜란드는 외국인에 대해 매우 개방적인 나라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난민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 정책을 비교적 적극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있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내용은 첫째, 네덜란드의 사회통합정책 법체계 및 제도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를 근거로 네덜란드의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을 위한 법체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정부의 이주민 사회통합정책 추진체계와 비교하고자 한다. 셋째, 네덜란드의 사회통합 법체계와 정부추진체계 및 집행기관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또한 결론에서는 네덜란드의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의 주요 내용은 첫째, 네덜란드의 사회통합정책 법체계 및 제도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를 근거로 네덜란드의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을 위한 법체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네덜란드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을 추진하는 체계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 이를 통해, 이주민 통합정책을 총괄하는 정부부처나 집행부서 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정부의 이주민 사회통합정책 추진체계와 비교하고자 한다. 셋째, 네덜란드의 사회통합 법체계와 정부추진체계 및 집행기관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이민정책이나 다문화 연구를 진행한 다수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하였으며, 다수의 문헌들을 분석하여 네덜란드 정부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노력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정부는 어떠한 방향으로 이주민들을 대해야 할지 혹은 난민문제를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할지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 둘째, 네덜란드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을 추진하는 체계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이주민 통합정책을 총괄하는 정부부처나 집행부서 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정부의 이주민 사회통합정책 추진체계와 비교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진들은 막연히 해외사례, 그 중에서도 네덜란드 사례를 전적으로 포용 한다기 보다는 다소 비판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이민정책이나 다문화 연구를 진행한 다수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하였으며, 다수의 문헌들을 분석하여 네덜란드 정부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노력하였다.
  • 이하에서는 먼저 네덜란드의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통합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고, 네덜란드 정부의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호주 사례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 또한 이주민들로 하여금 시험비용 등을 지불하도록 하여 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몰입을 유도하고 있다. 즉, 이주민들에 대한 통합이 단순히 인권차원이나 호혜차원이 아니라 이주민들의 필요에 의해서 이주한 것임을 명확히 하고 그에 상응하는이주 및 네덜란드 사회에 대한 통합의지를 밝히도록 하는 것이다.
  • 우리보다 앞서 이주민들 통합에 대한 고민을 했던 나라들로는 독일이나프랑스, 네덜란드나 호주 등이 많이 회자되고 있다. 특히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 통합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이주민 통합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네덜란드는 그동안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정책을 모범적으로 시행해 온 국가로 많은 나라들에서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민포용 문제를 우리보다 먼저 고민한 나라는 어디가 있는가? 이미 유럽 선진국에서는 우리에 앞서 난민포용 문제에 봉착해 많은 나라들이 고민을 해왔으며,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나라들이 많다. 우리보다 앞서 이주민들 통합에 대한 고민을 했던 나라들로는 독일이나프랑스, 네덜란드나 호주 등이 많이 회자되고 있다. 특히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 통합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이주민 통합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난민들 혹은 이주민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로 인해 우리사회가 난민들 혹은 이주민들에 대해서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하느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에서 외국 이주민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미 2016년 말 기준 200만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약3.9%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또한 국내 체류외국인은 2,049,441명으로 2015년 대비 8.5%(159,922명) 증가하였고, 최근 5년간 매년 9.26%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1].
우리나라는 이주민 문제를 인권이나 인본주의 관점에서만 고려하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실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통합은 단순히 인본주의적혹은 인권적인 시각에서만 접근 한다기 보다는 우리나라의 경우 실질적으로 우리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2018년 7월 현재 출생률이 1.0 이하로 저하된 국가로서향후 노동력 감소 문제 및 사회생산성 저하문제 등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이주민들을 바라보아야하기 때문이다. 이주민들을 저개발국가의 난민으로만 바라볼 것인지 아니면 우리의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 바라볼 것인지에 대해서는좀더 냉철한 시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ttp://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6 

  2. http://www.statista.com/statistics/525804/netherlands-largest-groups-of-immigrants-by-nationality/ 

  3. R. B. Andeweg & G.. A. Irwin. (2014). Governance and Politics of the Netherlands,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4. J. W. Duyvendak & P. W. A. Scholten (2011). Beyond the Dutch "Multicultural Model",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12(3), 331-348. 

  5. N. Meer & T. Modood. (2012). How does interculturalism contrast with multiculturalism?, Journal of intercultural studies, 33(2), 175-196, DOI : 10.1080/07256868.2011.618266 

  6. C. Joppke. (2007). Transformation of Immigrant Integration: Civic Integration and Antidiscrimination in the Netherlands, France, and Germany, World Politics, 59(2), 243-273, DOI : 10.1353/wp.2007.0022 

  7. B. G. Moon, H. M. Ra & S. J. Han. (2015). Comprehensive Diagnosis and Improvement Plan of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Policy. Ministry of Justice Immigration and Foreign Policy Headquarters. 

  8. D. H. Seol & B. H. Lee. (2013). From multiculturalism to citizen integration: the Dutch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Journal of Korean Political Science., 35(1), 207-234. DOI : 0102-2012-300-003132269 

  9. IND Information and Analysis Centre. (2011). Annual policy Report 2010: Developments in Dutch Migration and Asylum Policy, IND Information and Analysis Centre 

  10. Korea Institute of Public Affairs. (2015).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Korea Institute of Public Affairs. 

  11. https://www.defensie.nl/english/(2016.11.10.search 

  12. http://www.government.nl/topics/new-in-the-nethelands/contents/integration-of-newcomers 

  13. S. D. Ko. (2012). Russia's Position towards European Integration and its Determinants. European Studies, 30(2), 279-300, DOI: I410-ECN-0102-2013-920-002052428 

  14. https: www.government.nl/latest/news/2014/06/27/focus-on-work-in-civic-integration-exam 

  15. U. G. Bong. (2011). Comparative Study on Immigrati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16. C. S. Shin & S. W. Kim. (2015).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Convergence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 341-350. DOI : 10.14400/JDC.2015.13.6.341 

  17. Y. S. Kim. (2014).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575-583. DOI : 10.14400/JDC.2014.12.11.575 

  18. H. J. Lee. (2014). Exploratory Study on Experience in Cultural Competence of Multicultural Counselors Working with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519-530. DOI : 10.14400/JDC.2014.12.2.519 

  19. B. J. Jeon. (2014). A Study on National Identity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4), 33-41. DOI : 10.14400/JDC.2014.12.4.33 

  20. J. A. Lee. (2015).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Civic Multiculturalism Policy of Canad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15-23. DOI : 10.14400/JDC.2015.13.11.15 

  21. Y. A. Jung & H. S. Kim. (2014). A Method of Using Digital Map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iency: A Design of 'e-Atlas of Society and Culture'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Overcome Contextual Limit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13-21. DOI : 10.14400/JDC.2014.12.11.13 

  22. K. S. Noh, J. Y. Lee & S. T. Park.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Multicultural Family Business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199-207. DOI : 10.14400/JDC.2016.14.3.199 

  23. S. W. Byun, S. H. Kim & S. H. Park.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duTech for Multicultur al Peopl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55-62.DOI : 10.14400/JDC.2016.14.3.55 

  24. S. H. Park & J. Y. Yu. (2017).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xperience on Empathy in Adolescent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Cultural Empath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499-510 . DOI : /10.14400/JDC.2017.15.4.499 

  25. S. J. Han. (2017). Study on Ef ec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Awareness of Un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1-7. DOI :10.14400/JDC.2017.15.10.1 

  26. N. Y. Goo & O. S. Lee. (2018). Influ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187-195. DOI : 10.14400/JDC.2018.16.1.187 

  27. H. S. Lee & S. H. Lee. (2017). A study on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based on case in Fr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95-100. DOI : 10.14400/JDC.2017.15.12.95 

  28. H. Entzinger & R. Biezeveld. (2003). Benchmarking in Immigrant Integration, European Research Centre on Migration and Ethnic Rel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