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progressive proprioceptive motor program training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81 - 91  

김경훈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장상훈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점진적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B 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만성뇌졸중 환자 29명을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군 15명과 대조군 14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훈련군은 1주일 3번, 30분씩, 총 6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과 함께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았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 실시 전 후에 고유수용성 감각, 버그균형척도,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BioRescue장비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유수용성 감각, 균형능력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점진적 그리고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의 융합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뇌졸중 환자의 위한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motor program on proprioceptive and balance ability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wenty nine subjects were recruited by means of a convenience sampling from Gyeonggi-do B hospita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 proprioceptiv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프로그램은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으로 재활운동 동작을 재현하여 만성 뇌졸중의 대한 치료사들이 재활운동으로 정확하고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일정 수준의 운동량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지하며 만성 뇌졸중환자의 기능적인 증진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연구보고가 부족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재활치료의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12개월이 지난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의 일상 실험방법 중재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점진적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고유수용성 감각 훈련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며 다음의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점진적 고유수용운동 프로그램을 훈련 후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randomized control group design)이다. 각 집단의 실험방법에 따라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대조군),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BBS, TUG, Biorescue 장비를 사용하여 균형능력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TUG, BBS, REOSA, RECSA, 그리고 LOS에서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훈련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ㆍ가설 3.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ㆍ가설 1.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방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 능력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ㆍ가설 2.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방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경기도 있는 B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구체적인 선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의학적으로 뇌졸중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이 경과한 환자. 2) 구두지시에 대한 과제 이해력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점수가 24점 이상인 환자.
  • 3) 편측무시가 없는 자. 4) 체간균형이 3등급 이상인 자. 5) 보조도구 사용하거나 독립적으로 선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 능력은 무엇인가? 균형은 지지면내에서 체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이고, 균형 능력은 안정성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자세 조절을 의미한다[7]. 뇌졸중 환자들은 비대칭적인 자세로 인하여 신체의 균형 및 자세조절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체중을 양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능력이 감소되며 섬세한 기능 또는 선택적인 움직을 수행하는 특정 요소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기립과 보행능력에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뇌졸중 환자가 독립적인 생활이 어려운 이유는? 뇌졸중 환자는 흔히 감각소실, 균형 능력 저하, 보행 지구력 감소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운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1,2], 만성 뇌졸중 환자들에게서 일상생활활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능적인 문제점은 감각과 균형능력이다[3].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65%는 보호반응과 촉각 그리고 고유수용성감각의 상실을 경험하는데[4] 고유수용성감각과 근 긴장도 저하는 균형능력 상실, 동작의 효율성 저하[5], 불안정성과 통증에 기인한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그리고 일상생활동작 제한의 원인이 된다[6].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에서 균형 재훈련이 중요한 이유는? 균형은 지지면내에서 체중심을 유지하는 능력이고, 균형 능력은 안정성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자세 조절을 의미한다[7]. 뇌졸중 환자들은 비대칭적인 자세로 인하여 신체의 균형 및 자세조절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체중을 양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능력이 감소되며 섬세한 기능 또는 선택적인 움직을 수행하는 특정 요소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기립과 보행능력에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는 균형조절 능력이 감소한다[8,9].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들은 동일 연령의 정상인과 비교에서 가만히 선 자세에서의 신체동요가 약 2배 정도 커지고[10], 신체의 안정성 한계 또한 감소한다[11]. 체중의 61∼81%를 건측 하지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신체정렬에서 자세의 비대칭이 발생하게 된다[12]. 정적 자세에서는 뇌졸중 환자는 마비측 하지로 적은 힘을 사용하게 되며 체중분포가 비마비측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또한 정상인과 비교에서 뇌졸중 환자는 신체동요가 증가하면서 양쪽 하지에 비대칭적으로 체중이 부하되며, 환측으로 무게중심 이동능력이 저하를 보인다[11]. 따라서 균형 재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J. H. Crosbie, S. Lennon, J. R. Basford, & S. M. McDonough. (2007). Virtual reality in stroke rehabilitation: still more virtual than re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9(14), 1139-1146. 

  2. B. J. Darter, & J. M. Wiken. (2011). Gait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based real-time feedback: improving gait performance following transfemoral amputation. Physical Therapy, 91(9), 1385-94. DOI: 10.2522/ptj.20100360. 

  3. A. E. Chisholm, S. D. Perry, & W. E. Mcllroy. (2011). Inter-limb centre of pressure symmetry during gait among stroke survivors. Gait & Posture, 33(2), 238-243. DOI:10.1016/j.gaitpost.2010.11.012. 

  4. D. C Kerrigan, M. E. Karvosky, & P. O. Riley. (2001). Spastic paretic stiff-legged gait: joint kinetic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0(4), 244-249. 

  5. Y. H. Park, Y. M. Kim, & B. H. Lee. (2013). An ankle proprioceptive control program improves balance,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10), 1321-1324. Doi:10.1589/jpts.25.1321. 

  6. T. T. Simsek, & K. Cekok. (2016). The effects of Nintendo Wii(TM)-based balance and upper extremity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126(12), 1061-1070. DOI: 10.3109/00207454.2015.1115993. 

  7. A. Shumsway-Cook, & M. H. Woollacott. (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 Williams & Wilkins. 3-83. 

  8. R. W. Bohannon, & A. W. Andrews. (1987). Interrater reliability of hand-held dynamometry. Physical Therapy, 67(6), 931 -933 

  9. J. H. Carr, R. B. Shepherd, L. Nordholm, & D. Lynne. (1985).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65(2), 175-180. 

  10. D. S. Nichols. (1997).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ical Therapy, 77(5), 553-558. 

  11. R. A. Geiger, J. B. Allen, J. O'Keefe, & R. R. Hicks. (2001).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 / forceplate training. Physical Therapy 81(4), 995 -1005. 

  12. C. M. Sackley, & B. I Baguly. (1993).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with balance performance monitor: two single case studies. Clinical Rehabilitation, 7, 189-195. 

  13. T. J. Brindle, M. K. Lebiedowska, J. L. Miller, & S. J. Stanhope. (2010). The influence of ankle joint movement on knee joint kinesthesia at various movement velocities. Scandinavian Journal Medicine Science in Sports, 20(2), 262-267. DOI:10.1111/j.1600-0838.2009.00887.x 

  14. J. N. Bernier, & D. H. Perrin. (1998). Effect of coordination training on proprioception of the functionally unstable ankle.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7(4), 264-275. 

  15. M. A. Freeman. (1965). Instability of the foot after injuries to the lateral ligament of the ankle. The Journal Bone and Joint Surgery. British volume, 47(4), 669-677. 

  16. X. Chen, & X. Qu. (2018). Age-related differences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ower limb joint proprioception and postural balance. Hum Factors, 21, 18720818795064. Doi:10.1177/0018720818795064. 

  17. Z. Lai, Y. Zhang, S. Lee, & L. Wang. (2018). Effects of strength erercise on the knee and ankle proprioception of individual with knee osteeoarthritis. Research in sports medicine, 26(2), 138-146. Doi: 10.1080/15438627.2018.1431541. 

  18. S. Ryerson, N. N. Byl, D. A. Brown, R. A. Wong, & J. M. Hidler. (2008).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32(1), 14-20. Doi:10.1097/NPT.0b013e3181660f0c. 

  19. F. Amal, & Ahmed. (2011). Effect of sensorimotor training on balance in elderly patient with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2, 305-311. 

  20. J. E. Sullivan, & L. D Hedman. (2008). Sensory dysfunction following stroke: incidence, significance, examination, and intervention.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5(3), 200-217. DOI:10.1310/tsr1503-200. 

  21. R. W. Day, & B. P. Wildermuth. (1998). Proprioceptive training in the rehabilitation of lower extremity injury. Advance in Sports Med Fitness, 1, 241-258. 

  22. D. W. Franklin, E. Burdet, R. Osu, M. Kawato, & T. E. Milner. (2003). Functional significance of stiffness in adaptation of multijoint arm movements to stable and unstable dynamics. Exprimental Brain Research, 151(2), 145-157. 

  23. R. Chanubol, P. Wongphaet, N. Chavanich, C. Werner, S. Hesse, A. Bardeleben, et al. (2012).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Cognitive Sensory Motor Training Therapy on the recovery of arm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Clinical Rehabilitation, 26(12), 1096 -1104. DOI:10.1177/0269215512444631. 

  24. F. Cappellino, T. Paolucci, F. Zangrando, M. Iosa, E. Adriani, P. Mancini, et al. (2012). Neurocognitive rehabilitative approach effectivenes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patellar tend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anl Physical and Rehabilitaion Medicine, 48(1), 17-30. 

  25. M. Pohl, J. Mehrhoiz, C. Ritschel, & S. Ruckriem. (2002).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33(2), 553-558. 

  26. Y. R. Yang, I. H. Chen, K. K. Liao, C. C. Huang, & R. Y. Wang, (2010). Cortical reorganization induced by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of different stroke durations.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1(4), 513-518. Doi:10.1016/j.apmr.2009.11.021 

  27. P. B. O'Sullivan, A. Burnett, A. N. Floyd, K. Gadsdon, J. Logiudice, D. Miller, & H. Quirke. (2003). Lumbar repositioning deficit in a specific low back pain population. Spine, 28(10), 1074-1079. 

  28. A. Swinkels, & P. Dolan, (1998). Regional assessment of joint position sense in the spine. Spine, 23(5),590-597. 

  29. K. Berg, S. Wood-Dauphinee, & J. I. Williams. (1995).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lMedicine, 27(1), 27-36. 

  30. S. S. Ng, & C. W. Hui-Chan. (2005).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8), 1641-1647. 

  31. D. C. de Wit, J. H. Buurke, J. M. Nijlant, M. Ijzerman, & H. J. Hermens. (2004). The effect of an ankle-foot orthosis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18(5), 550-557. 

  32. C. L. Docherty, B. L. Arnold, S. M .Zinder, K. Granata, & B. M. Gansneder. (2004). Relationship between two proprioceptive measures and stiffness at the ankle. Jouran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4(3), 317-324. 

  33. Edwards S. (1996). Neurological Physiotherapy: A Problem-solving Approach.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34. K. S. Jung, H. Y. Cho, & T. S. In. (2016). Trunk exercises performed on an unstable surface improve trunk muscle activation, postural control, and gait speed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8(3), 940-944. DOI:10.1589/jpts.28.940. 

  35. E. Eils, D. Rosebaum. (2001). A multi-station proprioception exercise program in patients with ankle instabilit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Exercise, 33(12), 1991-1998. 

  36. L. M. Carey. (1995). Somatosensory loss after stroke. Critical Reviews in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7(1), 51-91. 

  37. A. S. Pollock, B. R. Durward, P. J. Paul, & J. P. Paul. (2000). What is balance?. Clinical Rehabilitation, 14(4), 402-406. 

  38. E. A. Lynch, S. L. Hillier, K. Stiller, R. R. Campanella, & P. H. Fisher. (2007). Sensory Retraining of the Lower Limb After 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9), 1101-1107. 

  39. N. Smania, A. Picelli, M. Gandolfi, A. Fiaschi, & M. Tinazzi. (2008). Rehabilitation of sensorimotor integration deficits in balance impairment of patients with stroke hemiparesis: a before/after pilot study. Neurological Sciences, 29(5), 313-319. 

  40. E. Bente, & G. Bassoe. (2008). The Bobath concept in adult neurology. Thieme, Stuttgart, NewYork, 109(109). 

  41. S. J Park, T. H. Kim, J. H. Go, P. S. Youn. (2017). The impact of convergence balance training and taping on spasticity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297-306. 

  42. Y. R. Kim, Y. I Kim & M. J. Kim. (2017). A convergent study of the physcial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SF-8 of stroke patient's caregiv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119-127. DOI: org/10.15207/JKCS.2017.8.12.119 

  43. S. Y. Kim, & Kim, I. Hong. (2018). Factors Convergent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among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75-3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