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 대학생의 월경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menstrual knowledge, attitudes and education need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497 - 505  

황라일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월경 지식, 월경 태도 및 월경 교육요구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일개 대학의 남녀 대학생 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ver.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월경 지식이 낮았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월경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월경 교육 및 정보에 대한 이해도, 교육의 도움 정도 및 충분성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경 교육에 대한 교육 내용 역시 남녀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인 초기인 남녀 대학생 대상 월경 지식 및 태도를 함양하고 상호 이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남녀 맞춤형 교과 및 비교과 융합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nstrual knowledge, menstrual attitude and education need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85 students in a university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lower menstrual knowledge than female student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월경 관련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월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남녀 상호 이해도 증진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월경 지식, 월경 태도 및 월경 교육요구도를 비교하여, 향후 이들 특성에 부합하는 월경 교육 프로그램 및 남녀 상호관계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월경 관련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성의 기본 생리현상인 월경에 대한 남녀 대학생들의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를 비교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들의 월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월경은 여성의 생식능력을 상징하며 가임기 여성의 건강을 대표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여성들에게 월경은 자연스러운 생리적 현상이며 모성역할에 필수적 준비과정이다[1].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여성들은 월경주기에 따라 기분, 행동 및 신체증상 등 복합적이고 다양한 불편감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주기적으로 방해를 받음으로써 월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다[2-3]. 또한 여성들은 월경으로 인한 불편감을 숨기고 평상시처럼 안정된 상태로 보여지는 것을 바람직한 태도로 받아들이도록 학습되어졌다[4-5].
대학생은 어떤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인가? 한편 대학생은 사회심리적 및 경제적 측면에서 미성숙하고 자신의 미래 직업과 삶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많은 혼란을 거듭하는 시기이다. 또한 자신이 선호하는 성적 대상을 선택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적절한 성역할을 학습하는 등 성적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주요 발달단계이다[8]. 월경 전 증상 호소가 가장 많은 집단인 여자 대학생들은 월경 전후로 학업능률저하, 대인관계에서의 갈등, 충동성과 공격성의 증가 및 삶의 질 저하 등을 경험하지만 월경에 대해 주로 회피적 대처방식을 택하고 있다[9-11].
우리나라 성교육 표준안에서의 월경은 어떠한가? 그러나 우리나라 성교육 표준안에는 월경 교육을 초등학교 시기로만 한정하고 있고 교육내용도 주로 호르몬 변화 관련 생물학적 지식만을 포함하고 있어, 정규 교육과정에서의 월경 교육 기회는 매우 제한적이다[13]. 또한 개방적 서구 문화와 남성중심적 전통문화가 여전히 혼재하고 있는 가정 내에서의 월경 관련 일상적 대화 및 교육도 주로 여성만을 대상으로 이루지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H. Jun. (2007). Effects of experience based menstrual education program on menstrual attitude and menstrual discomfort among female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Busan University, Busan 

  2. J. M. Park, S. R. Suh, K. Y. Kim, H. J. Kim. (2012). Female worker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premenstrual discomfort and cop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6(1), 100-112. 

  3. H. J. Choi. (2006). The ralation of premenstrual symptom, hypochondriasis and menstrual attitude. Unpublished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4. J. E. Noah. (1995). A study of the experiences of menstruation and the cultural taboos. Women's Studies Review, 12, 373-374. 

  5. D. O. Yang & G. H Youn. (2001).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6(3), 37-48 

  6. S. K. Kim. (2016). You can not stand urinating? "... Men who do not know the menstrual period.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7/01/20 16070102047.html 

  7. E. A. Impett, L. A. Peplau. (2003). Sexual compliance: gender, motivational, and relationship perspectives. The Journal of Sex Research, 40(1), 87-100. DOI: 10.1080/00224490309552169 

  8. S. M. Ho.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9. H. S. Choi, E. D. Lee, H. Y. (2013). Ahn. Relationship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perfection and anxiety among the college stud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4), 265-274. doi.org/10.4069/kjwhn.2013.19.4.265 

  10. S. Y. Kim. (2017). Menstrual attitudes, menstrual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s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Kunyang University. Daejeon. 

  11. M. Kleinstauber, K. Schmelzer, B. Ditzen, G. Andersson, W. Hiller, C. Weise. (2016). Psychosocial Profile of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and healthy controls: A compar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Medicine, 23(6), 752-763. 

  12. M. S. Yoo, J. W. Park, & M. A. You.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gender egalitarianism, sexual attitudes and sexual harassment myth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6 (1), 14-22. doi: 10.21896/jksmch.2012.16.1.14 

  13. J. H. Min. Effects of menstrual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14. N. M. Kang. (2018). A comparative study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menstruation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ATE, 8, 193-213 

  15. Y. T. Chang, M. Hayter, M. L. Lin. (2012) Pubescent male students'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in Taiwan: implications for reproductive health education and schoo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3-4), 513-21. doi: 10.1111/j.1365-2702.2011.03700.x. Epub 2011 Feb 25. 

  16. L. Mason, M. Sivakami, H. Thakur, N. Kakade, A. Beauman, K. T. Alexander, A. M. van Eijke, K. F. Laserson, M. B. Thakkar, P. A. Phillips-Howard. (2017). 'We do not know':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boys perceptions of menstruation in India. Reproductive Health, 14(1), 174. doi: 10.1186/s12978-017-0435-x. 

  17. C. Y. Cheng, K. Yang, S. R Liou. (2007). Taiwanese adolescents' gender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Nursing Health Science, 9(2), 127-34. 

  18. G. S. Jung, H. M. Oh, I. R. Choi. (2014).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college femal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3025-3036. doi: 10.5762/KAIS.2014.15.5.3025 

  19. M. Kathleen B. Lustyk, Winslow G. Gerrish, Haley Douglas, Sarah Bowen, G. Alan Marlatt. (2011). Relationships among premenstrual symptom reports, menstrual attitudes, and mindfulness. Mindfulness, 2(1), 37-48. doi: 10.1007/s12671-011-0041-x 

  20. H. J. Jo.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Premenstrual Syndrome (PMS) and Menstrual Attitudes. Unpublished Master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1. Y. M. Lim. (2018). Female worker′s 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focus on hospital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259-266. doi:10.15207/JKCS.2018.9.2.259 

  22. S. H. Yang. (2014). The study on conditions of sex education by parents from the view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ditions in Jeju. Unpublished Master thesis, Jeju University, Jeju. 

  23. H. H. Cho, S. H. Moon. (2012).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 menstruation in elementary school gir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enarc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4), 302-311. ://doi.org/10.4069/kjwhn.2012.18.4.302 

  24. Y. Y. Lee, H. H. Yoon, S. H. Lee, J. S. Park, E. H. Lee, S. H. Jin. (2017).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smoking, drinking and stress on female college premenstrual syndrome(PM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35-142. doi:10.15207/JKCS.2017.8.9.135 

  25. W. . Choi1, J. H. Park, S. W. Lee, J. E. Yim, H. C. Jeong, Y. S. Lim, S. J. Han. The effects of convergen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145-152. doi: 10.15207/JKCS.2018.9.3.1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